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17

국소 망막신경섬유층 결손 RNFL defect 와 ISNT rule, IST rule 칼라 안저 소견(color fundus photo)에서 발견되거나, 적색차단필터 안저 사진(red free fundus photo)에서 발견되거나, 안구광학단층촬영(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에서 발견되는 국소적 망막신경섬유층의 결손 RNFL defect는 녹내장성 손상을 조기에 발견하는게 가장 유용한 지표가 됩니다. RNFL defect가 있으면 해당부위가 어둡고 검게 보이기 때문에, 이를 쉽게 발견하기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안저에 RPE의 색소침착이 많을수록 관찰이 쉽습니다. 시신경유두의 상이측이나 하이측의 경우, RNFL섬유가 활모양으로 휘어서 시신경유두로 들어오기 때문에, RNFL defect가 발생하게되면, 칼라 혹은 적색차단필터(RNFL 관찰전용) 안저사진에서 쐐.. 2022. 5. 3.
시신경유두 창백, 국소창백증가 안구내의 압력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시신경유두가 보일수 있는 변화는 단순히 함몰이 되는것 뿐이아니라, 압력에 의해서 혈관이 눌려, 혈액공급이 안됨으로 인해 창백해질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optic disc 가 pale해졌다고 하여 pale disc 하고 합니다. 시신경유두에 혈액를 공급하는 동맥의 혈류에 의해서 시신경의 신경섬유테(neuroretinal rim)가 혈액공급을 받아서, 신경섬유테(neuroretinal rim)은 정상적으로 약간 붉은 빛을 띠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압이 시신경유두의 혈류를 방해할정도로 높게되는 경우, 순간적으로 시신경유두가 창백해지게됩니다 이후 안압이 정상화되면서 혈류가 다시 정상화되게되면, 시신경유두의 색깔이 정상으로 회복되게 될것입니다. 한편, 어떠한 이유로든간에, .. 2022. 5. 2.
시신경유두함몰의 Concentric enlargement, 시신경유두출혈, Disc hemorrhage 녹내장이 발생하는 단계에서 혹은 녹내장이 진행하는 단계에서, 나타나는 시신경유두의 변화소견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소견들은 녹내장 유무를 진단하고 판단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그러한 변화소견들중에서 몇가지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녹내장이 진행함에 따라 정상적인 유두함몰이 점점 커지게 됩니다. 정상적으로 유두함몰(Cup)이 시신경유두(Disc)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Cup/Disc ratio, 즉, C/D ratio 는 정상적으로 0.2~ 0.3 정도입니다. 이때 눈속에서 압력이 증가하면서, 유두에 압력이가해지면, 처음에는 동심원상으로 모든 방향으로 유두함몰이 커지게됩니다. 이런 초기변화를 Concentric enlargement 이라고 합니다. 유두함몰이 동심원적으로 모든 방향에서 커지게됨에 따.. 2022. 5. 1.
후천성 시신경 유두오목 (Acquired Pit of the Optic Nerve, APON, Pseudopit) 대규모 연구를 통해 녹내장이 동반된 환자에서 보이는 시신경 유두의 형태를 살펴봄으로써 역으로 시신경유두가 어떠한 변화를 보일때 녹내장을 의심해야하는지를 알수 있습니다. 그러한 녹내장을 의심해야하는 소견들에는, 수직유두함몰비증가 시신경유두테패임 후천성시신경유두오목 유두함몰의 균일한 동심성 증가 국소창백의증가 시신경유두출혈 망막신경섬유층 RNFL defect Temporal unfolding Nasal Cupping Overpass Cupping Senile Sclerosis Peripapillary atrophy Vascular loop 이와 같은 소견들이 있으며, 이번에 살펴볼 내용은 후천성시신경유두오목입니다. Pit 라는 것은 구멍 혹은 구덩이라고 하여, 크고 깊은 구덩이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후천성.. 2022. 4. 30.
시신경유두비증가, 유두함몰비증가, C/D ratio 및 시신경유두테패임, notching 녹내장이 있을 때 시신경 유두 혹은 망막신경섬유층(RNFL)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와 역으로 안저사진에서 어떤 형태를 띠고 있을 때, 녹내장을 의심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어떤 소견을 보이면 반드시 녹내장이다, 혹은 녹내장에서는 반드시 이러하다 라는 소견은 없습니다. 어떠어떠한 소견을 보이면 녹내장을 의심해야하고, 정밀검진을 통해 녹내장 진단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정도의 판단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소견들은 총 13가지 정도 있습니다. 수직유두함몰비증가 시신경유두테패임 후천성시신경유두오목 유두함몰의 균일한 동심성 증가 국소창백의증가 시신경유두출혈 망막신경섬유층 RNFL defect Temporal unfolding Nasal Cupping Overpass Cupping Senile Scle.. 2022. 4. 29.
녹내장과 시신경유두 Optic disc, Optic nerve head, ONH 시신경유두는 산동검사를 하면서 망막의 시신경을 관찰하게되면, 시신경유두는 약간 볼록한 모양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름을 시신경유두라고 불리며, 영어로는 Papilla, Optic disc 혹은 Optic nerve head 라고합니다. 시신경유두는 망막의 신경절세포(Retinal ganglion cell)의 축삭(Axon)이 모여서, 망막신경섬유(Retinal nerve fiber)가 되어서 이들이모여서, 안구를 빠져나가는 부위, 출구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출구를 빠져나가 안구 바깥으로 나가게되면, 망막신경절세포축삭 혹은 망막신경섬유 라고 하지않고, 이때부터는 시신경(optic nerve) 라고 불리게됩니다. 시신경유두에는 망막과, 이를둘러싸고 있는 맥락막, 가장 바깥쪽의 공막이 모두 모여있는 부위입.. 2022. 4. 28.
녹내장 망막신경섬유층 RNFL, Retinal nerve fiber layer 구조 대사, 손상 녹내장에서 중요한 평가의 대상이되는 것은 망막신경섬유층의 손상입니다 즉, 녹내장에서 안압의 상승으로 인해 망막신경섬유층이 압력에 의해서 눌려서, 얼마나 얇아졌는지를 평가하는것이 녹내장에서의 구조적 변화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망막신경섬유층 RNFL Retinal nerve fiber layer 는 앞서이야기한 것 처럼 망막을 구성하는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의 구심성축삭(머리쪽으로가는 축삭, axon)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개의 신경절세포(ganglion cell)에서는 1개의 축삭(axon)만이 뻗어나오는데, 약 100만개의 신경절세포들이 망막에 존재하기 때문에, 결국 약 100만개의 구심성 축삭들이 눈에서 모여서 시신경 유두(optic nerve disc, optic nerve.. 2022. 4. 27.
신경절세포 Ganglion Cell 의 종류 : M cell 및 P cell 신경절 세포에는 크게 3개의 종류가 있습니다. midget cells parasol cells Small bistratified cells 이러한 3가지 종류가 전체 신경절 세포의 70%를 차지하고 나머지들은 heterogenous 한 양상을 보입니다. 위와 같은 분류는 조직학적으로 어떤 세포 형태를 띠고 있느냐에 대한 분류입니다 한편, 기능적으로 분류하게되면 아래과 같이 분류되게 됩니다. P cell : Parvocellular neuron cell M cell : Magnocellular neuron cell 위에서 이야기한 midget cell 은 P cell 에 해당되고, Parasol cell 은 M cell 에 해당합니다. P cell : Parvocellular neuron cell, Par.. 2022. 4. 26.
신경절세포 Ganglion cell 와 RNFL 망막신경섬유층 눈에 빛이 들어오면 망막으로 들어온 빛은 아래의 사진과 같은 양상으로 진행하게됩니다 투명한 망막을 통해서 침투해서 RPE (Pigmented epithelium, 망막색소상피층) 에 도달하게됩니다. RPE층에는 색소가 있어 빛이 투과하지 못하고, 흡수되게됩니다. 이때 RPE층 바로 앞에 있는 Photoreceptor (시세포 : Cone, Rod) 층이 빛을 감지하게됩니다. Cone 과 Rod 등의 시세포가 빛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게 됩니다. 시세포에서부터의 전기적신호를 다음단계로 전달을 해주는 세포들이 Bipolar cell (양극세포)입니다. Bipolar cell (양극세포)은 문자그대로, 양쪽으로 돌기를 내고 있어, Photoreceptor(시세포)와 Ganglion cell (신경절세포)을 이어.. 2022. 4.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