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30

골수검사(Bone marrow biopsy) 나이 연령별 부위 선택 골수천자 골수검사는 혈액질환 진단과 치료 방침 결정에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특히 소아에서의 안전한 시술 부위 선택은 합병증을 줄이는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골수검사의 목적은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골수섬유화, 골수형성이상증후군 등 혈액질환 진단을 위해서 이빈다. 또한 빈혈 원인 감별을 통해 골수에서의 생성이 정상적인지 혹은 그렇지 못한지으 ㅣ감별을 위해서입니다. 즉, 조혈 부전 인지 파괴성 빈혈인지 , 즉 생성의 장애인지, 생성은 정상이나 파괴가되는것인지의 감별을 합니다. 또한 혈액 질환 이외에서도, 악성 종양의 골수 침범 여부를 확인하게되고, 항암치료 후 골수 회복 정도를 평가합니다. 골수검사 부위는 연령별로 차이가 납니다. 2세 미만 영유아에서는 정강이에서 채위하는데, 양측 근위 경골(proximal .. 2025. 8. 8.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ITP 진단 치료 급성 만성 ITP 치료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ITP)은 정상적인 골수 조혈 기능을 가지면서, 말초 혈소판이 자가항체에 의해 비장에서 파괴되는 면역성 출혈성 질환입니다. 혈소판 수만 보지 말고 출혈 증상 + 면역 반응 + 치료 반응성까지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ITP의 증상은 출혈성 경향으로, 자반(purpura) easy bruising(쉽게 멍듦), 점막 출혈 과 함꼐 여성에서는 과다월경(menorrhagia)이 나타납니다. 다른 질환과의 중요한 감별 포인트는, 비장비대가 없고, 림프절 비대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들이 있다면 반드시 백혈병, 림프종, SLE 등 다른 질환의 감별이 필요합니다. 검사 소견에서 Platelet count 가 감소되어 나타납니다. 보통 니다. Platelet lifespan 단.. 2025. 8. 8.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ITP) 잦은멍, 점상출혈, 코피, 급성 만성 나이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ITP(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는 정상 골수에서 혈소판이 잘 만들어지고 있음에도, 자가항체에 의해 말초에서 혈소판이 파괴되어 생기는 면역성 혈소판감소증입니다. 연령에 따라 Acute ITP와 Chronic ITP로 나뉘며, 치료 전략과 예후가 매우 다릅니다. Acute ITP (급성 특발성 혈소판감소증)은보통 2~6세의 소아에서 성별 무관 (M = F) 하게 발생합니다. 발병 기전은, 주로 상기도 바이러스 감염 1~4주 후에 바이러스 항원 자극에 의해 혈소판 표면에 대한 비정상적인 항체가 형성되는데, 항체-혈소판 복합체가 비장의 대식세포(macrophage)에 의해 파괴 되는것입니다. 대부분 6개월 이내 자연 호전 (spontan.. 2025. 8. 5.
출혈성 질환의 진단 : 혈소판수, Bleeding time (BT), PT 와 aPTT, 피브리노겐 측정 출혈성 질환은 단순히 출혈이 멈추지 않는 문제가 아니라, 지혈과 응고 체계의 어느 단계가 손상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기본 혈액응고 검사 항목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해석 해야만 합니다. 기본 검사 항목 에는 다음과같은 항목들이 있습니다. 우선 혈소판 수(Platelet count, PC)와 혈소판의 기능(Bleeding time, BT)입니다. 혈소판 수(Platelet Count, PC) 는 1차 지혈을 담당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혈소판 수가 적으면 혈관손상 시 지혈이 지연됩니다. Bleeding Time (BT)은 혈소판 기능을 측정하는 지표로, 혈소판 수가 정상이어도 BT가 길다면 기능 이상이 있어, 지혈이 잘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혈소판의 수 + 기능(BT)을 함.. 2025. 8. 5.
백혈구(WBC)의 양적 이상 : 호중구 증가증 호중구감소증 림프구 증가 호산구증가 백혈구 수는 우리 몸의 면역 반응 상태를 보여주는 민감한 지표입니다. 감염, 염증, 약물,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통해 임상적 단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백혈구, white blood cell, WBC 의 양적이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1. 호중구 증가증 (Neutrophilia) 호중구(Neutrophil)는 가장 흔한 백혈구 유형으로, 특히 급성 세균 감염에서 수치가 증가합니다. 급성 감염으로, 화농성 감염 (예: 농양, 폐렴, 패혈증 등)이 있는 경우 세균감염에 대응하여, 호중구가 증가합니다. 자가면역성 염증성 질환으로, 류마티스성 열(rheumatic fever), 류마티스 관절염, 결절성 동맥 주위염 등의 collagen vascu.. 2025. 8. 5.
유전구형적혈구증 Hereditary Spherocytosis (HS) 치료 – 비정절제술 수혈, 엽산 보충, 철분보충 유전성 구형적혈구증 Hereditary Spherocytosis (HS) 는 적혈구 세포골격 이상으로 인해 비장에서 파괴되는 용혈성 빈혈입니다. 중등도 이상의 경우 비장절제술(splenectomy)이 가장 강력한 치료법이지만, 그 시기와 적응증, 예방조치까지 꼼꼼히 판단해야 합니다. 대증적 치료, 즉 증상에 맞춘 대응적 치료를 우선하여야합니다. 신생아기 황달이 심할 경우 광선치료를 적용합니다. 수혈은 급격한 용혈이나 aplastic crisis 시 필요할수 있습니다. 그외에, 정상적인 성장이 이루어지고잇는지 정기 관찰하며, 황달 정도, 비장 크기, 감염여부, 특히 파보바이러스 B19 감염여부를 모니터링 합니다. 중등도~중증의 유전성 구형적혈구증은, 조혈 요구가 높아져서, Erythropoie.. 2025. 8. 4.
유전구형적혈구증 (Hereditary Spherocytosis, HS) - 유전구상적혈구증 원인 유전 증상 진단 Hereditary Spherocytosis (HS)는 적혈구 세포골격 단백질 이상으로 인해 동그란 구형의(spherical) 적혈구가 만들어지고, 이로 인해 비장을 통과하지 못하고 비장에서 파괴(용혈)되면서 빈혈, 황달 등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유전성 용혈성 빈혈입니다. HS는 상염색체 우성(Autosomal Dominant, AD)으로 유전하기 때문에, 가족력이 흔합니다. 유전성 구형 적혈구증은, α-spectrin, β-spectrin, Ankyrin, Band 3 protein 이라고 하는 세포막의 구성 성분의 이상으로, ① 세포골격의 불안정성 증가② Na⁺ 유출 증가로 인한 세포 내 수분 증가 ③ 수분 저류로 인한 적혈구가 원반형에서 구형(spherocyte)으로 변화 ④ 비장에서 쉽게.. 2025. 8. 1.
철결핍성 빈혈 iron deficiency anemia : 진단 지표와 철분 치료 용량 피검사 철결핍성 빈혈(IDA)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빈혈의 원인입니다. 진단은 RBC index와 Lab 패널, 치료는 oral iron 중심으로 접근하며, 연령별 철분 권장량과 철분 반응의 시점을 알면 치료 경과를 정확히 해석할 수 있습니다. IDA의 진단은 피검사를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빈혈의 정도가 심한 경우, RBC index 소견으로 추정하고, 검사를 통해서 확진할수 있습니다. IDA 철겹핍성 빈혈은 Microcytic, hypochromic anemia 소견을 보이기에, MCV↓, MCH↓등의 수치가 변화가 보이므로, 이를 통해서 의심합니다. 빈혈이 심하지 않는 경우에는 철패널 검사라고 불리는 혈청내의 철분에 대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철겹핍시 피검사 소견은, Ferritin ↓ (Ser.. 2025. 7. 28.
소아청소년 철결핍성 빈혈 (IDA, iron deficiency anemia) 원인 나이 철섭취부족, 모유수유 우유, 출혈 조산 미숙아 철결핍성 빈혈(IDA, iron deficiency anemia)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미세적혈구 저색소성 빈혈로, 이유식 시기 지연, 우유 과다섭취, 급성장기 수요 증가 등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서 발생할수 있는 만큼 성장 발달과 영양 패턴의 영향을 감안해야합니다. IDA의 원인은 철 저장 부족, 철 섭취 부족, 철 수요 증가, 실혈 등 총 4가지로 나뉩니다. 1) 출생 시 철 저장량 부족 임신 3기 후반에 태아의 신체에 철 저장이 증가하게되는데, 조산아의 경우는 빨리 태어나기 때문에, 조산 시 철 저장량이 부족합니다 쌍둥이는 모체 철분을 나누어서 사용하기에, 정상에 비해서 철 저장량이 부족하게됩니다. 분만 시 출혈이 발생한 경우, 즉 태반 손상, 탯줄 출혈, twin-to-twin .. 2025. 7.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