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아 혈액질환

출혈성 질환의 진단 : 혈소판수, Bleeding time (BT), PT 와 aPTT, 피브리노겐 측정

by 아그점빵 2025. 8. 5.
반응형

출혈성 질환은 단순히 출혈이 멈추지 않는 문제가 아니라,

지혈과 응고 체계의 어느 단계가 손상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기본 혈액응고 검사 항목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해석 해야만 합니다.


 기본 검사 항목 에는 다음과같은 항목들이 있습니다.


우선 혈소판 수(Platelet count, PC)와 혈소판의 기능(Bleeding time, BT)입니다.

혈소판 수(Platelet Count, PC) 는 1차 지혈을 담당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혈소판 수가 적으면 혈관손상 시 지혈이 지연됩니다.

 

혈소판 수(Platelet Count, PC)





Bleeding Time (BT)은 혈소판 기능을 측정하는 지표로, 

혈소판 수가 정상이어도 BT가 길다면 기능 이상이 있어, 지혈이 잘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혈소판의 수 + 기능(BT)을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Bleeding Time (BT)

 



Duke method라 하여, 란셋으로 손가락 or 귓불을 찌르고

피가 멈출 때까지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측정하게되는데, 

이것이 연장되는 경우는,  

특발성 혈소판 감소 자반병 (ITP,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von Willebrand disease

혈소판 기능 이상 (글랜즈만, 베르나르술리에 등)

아스피린 복용 효과 

이러한 경우들이 있습니다.

 

 




다음올, PT 와 aPTT 입니다.

PT (Prothrombin Time)은  2차 지혈 경로로,  외인성 & 공통 경로에 해당하는 것으로 Factor 7, 10, 5, 2, 1 관련 이 있습니다.

aPT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역시  2차 지혈 경로로, 내인성 & 공통 경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Factor 12, 11, 9, 8, 10, 5, 2, 1 관련 이 있습니다.

 

지혈과정에서의 여러 Factor 들 : 외인성 내인서여





PT 는   외인성 + 공통경로 로서, Factor 7, 10, 5, 2, 1
aPTT는 내인성 + 공통경로로서, Factor 12, 11, 9, 8, 10, 5, 2, 1

 

PT 와 aPTT의 의미

 




이렇게 관련있습니다.

 

 



마지막으로,  Fibrinogen 섬유소원의 측정입니다

피브리노겐, 섬유소원의 측정은, 2차 지혈의 최종단계로,  섬유소 용해 이상(fibrinolysis) 이 있는지를 감별하기위함입니다.

Fibrinogen 섬유소원
Fibrinogen 섬유소원

 


정상치가 유지되는 정상적인 응고과정의 종결이 가능함을 의미하고, 

감소 시 소모성 질환 (DIC), 심한 간기능 저하,  또는 선천성 결핍을 의미하기도합니다.


 

이상으로, 

 

출혈성 질환의 진단 : 혈소판수, Bleeding time (BT), PT 와 aPTT, 피브리노겐 측정 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