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아 결체조직질환2

가와사키병 치료 및 예후 : 면역글로불린 IVIG, 아스피린, 스테로이드, 예방접종 라이증후군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은 근본적으로 급성으로 발생하는 소아의 자가면역성 혈관염으로, 혈관염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하고 관상동맥 병변을 포함한 심혈관 계통의 합병증 예방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치료는 IVIG(면역글로불린)와 aspirin 병합요법이 표준이며, 치료 반응에 따라 스테로이드 및 항응고 치료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1차 치료는 IVIG + Aspirin 의 조합입니다. IVIG (면역글로불린)은, 보통 2g/kg의 용량으로 혈관내 주사하게됩니다. 투여 방식은 입원한뒤, 10~12시간에 걸쳐 정맥 주사한번으로 마치는방식이며, 초기에 주사헤게되면, 고열이 급속히 해소되면서, 대부분의 증상이 24~48시간 내 완화됩니다. 또한, 이 주사하나로 관상동맥류 발생률을 .. 2025. 7. 9.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 원인 치료 딸기혀 입원 후유증 증상 전염 후유증 합병증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은 주로 4세 미만의 영유아에서 발생하는 전신성 혈관염의 일종으로, 심장을 먹여살리는 관상동맥을 포함한 중소혈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결체조직 질환입니다. 결체조직질환이란 자가면역질환을 의미하는것으로 내몸이 나를 공격하는 질환입니다. 이처럼 드문 질환이 소아에서 발생하는것으로, 가와사키 병의 진단은 전형적인 임상 증상에 기반하며, 빠른 진단과 치료가 심장 합병증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가와사키병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임상 진단 기준에 근거하여 내려집니다. 진단 기준은 아래 항목 중 ① 포함하고 나머지 ②~⑥ 중 4가지 이상 충족해야만 진단내려지게됩니다. ① 5일 이상 지속되는 발열 이 필수 조건이며, ② 화농성 눈꼽이 없는 양측성 결막 충혈 즉,.. 2025. 7.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