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아 결체조직질환9

HSP 헤노흐 쇤라인 자반증 검사소견 , 예후, 치료약 완치 Henoch-Schönlein Purpura (HSP)는 자반, 복통, 관절통, 신질환을 주 증상으로 하는 IgA 매개 전신 소혈관염입니다. 앞선 포스트에서 증상을 다뤘다면, 이번에는 검사 소견과 치료, 예후 인자를 알아봅니다. 헤노흐-쉔라인 자반병 (Henoch-Schönlein Purpura, HSP) : 자반, 복통, 관절통 신장침범 단백뇨 혈뇨, IgA vasculitis 혈관염 헤노흐-쉔라인 자반병 (Henoch-Schönlein Purpura, HSP) : 자반, 복통, 관절통 신장침범 단백뇨 혈뇨, IgA vaHenoch-Schönlein 자반병(HSP)는 이름부터 한글용어로 표현하기 어려워 헤노흐-쉔라인 자반병, 헤노흐-쉰라인(쇤라인) 자반병 - 헤노호-쉘라인 자반병 등 다양한 한국명칭.. 2025. 7. 24.
헤노흐-쉔라인 자반병 (Henoch-Schönlein Purpura, HSP) : 자반, 복통, 관절통 신장침범 단백뇨 혈뇨, IgA vasculitis 혈관염 Henoch-Schönlein 자반병(HSP)는 이름부터 한글용어로 표현하기 어려워 헤노흐-쉔라인 자반병, 헤노흐-쉰라인(쇤라인) 자반병 - 헤노호-쉘라인 자반병 등 다양한 한국명칭으로 불립니다. 간단히 헤노흐 자반병이라고도 하는 이 질환은, 소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전신성 소혈관염으로, 피부·관절·위장관·신장을 주로 침범하며, 자가면역성 IgA 침착과 관련된 질환입니다. 다른 말로는 IgA vascularitis 로 불립니다. 병태기전은 작은 혈관 침범이 있는 소혈관염 입니다. IgA 신병증 (IgA nephropathy)와 유사한 신장 병리 소견을 보이는 것으로 주로 IgA 면역복합체가 혈관에 침착 되는것으로생각되지만, 명확한 병인은 불명확하고, 약 50%에서 상기도 감염이 선행합니다. 주 연.. 2025. 7. 24.
소아기 피부근염(JDM)의 치료와 합병증 : 스테로이드를 줄이는 전략과 폐렴 예방까지 소아기 피부근염(JDM, juvenile dermatomyositis)은 피부 증상과 근력 약화가 동반되는 자가면역 근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함께 적절한 면역조절 치료와 감염 예방 전략이 핵심입니다. 이번에는 JDM의 치료 단계와 대표적 합병증에 대해 정리합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환아에게 적용되는 관리사항은, 자외선 차단입니다. 이는 광과민성 발진을 막기 위해 선크림을 필수로 사용해야합니다 또한 골 건강 관리를 위해 Vitamin D + 칼슘 섭취를 해야합니다. 특히,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 사용 시 골감소증, 골절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우유, 유제품 섭취가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는 단계별 접근에 따라서 결정합니다. 질병 정도에 따라 치료 약제를 선택하게되는데, 경증 환아에서는 Pr.. 2025. 7. 22.
소아기 피부근염(Juvenile Dermatomyositis, JDM) : 피부 발진 및 근력저하 진단기준 증상 원인 Heliotrope rash Gottron papules 소아기 피부근염(JDM)은 피부 증상 + 대칭적인 근위부 근력 약화를 보이는 대표적 염증성 근육질환입니다. 진단적 가치가 높은 피부 소견과, 점진적인 근력 약화 양상을 함께 본다면 비교적 명확하게 진단 할수 있는 질환입니다. 소아기 피부근염 (Juvenile Dermatomyositis)는 소아에서 가장 흔한 염증성 근질환으로 여아 > 남아 (M:F = 1:2) 로 여아에서 더 자주 발생합니다. 장바이러스(콕사키바이러스)나 A군 사슬알균 등의 감염될때 생긴다고 생각되며, 국소적인 감염이 자가면역 유발 요인으로 작용하는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피부증상은.. Heliotrope rash: 눈꺼풀 주위 홍반 및 착색 Gottron papules: 손가락, 팔꿈치, 슬개골에 생기는 각질성 구.. 2025. 7. 22.
소아기 특발성 관절염(JIA) 치료약 치료단계 DMARDS, bDMARDS, TNF alpha 길항제 JIA(Juvenile Idiopathic Arthritis)는 소아에게 발생하는 대표적인 자가면역성 관절염으로, 과거에는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JRA), 소아기 만성 관절염(JCA)으로 불렸으나 현재는 모두 통합되어 JIA라는 용어로 통일되었습니다. 15세 이하 소아에게서 6주 이상 지속되는 관절염이 한 개 이상의 관절에서 관찰될 때 진단내려지며, 소수 관절형, 다수 관절형, 전신형 등 다양한 임상 양상 존재합니다. JIA의 치료는 질병의 활성도, 아형, 예후 인자 유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단계적으로 접근합니다. 1차치료는 NSAIDs: 비스테로이드 항소염제입니다. 이는 관절의 염증 감소 및 통증 조절에 도움이 되고, 염증 심할 때는 직접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를 시행하기도 하빈다. 단, 예후.. 2025. 7. 22.
전신형 소아기특발성 관절염, systemic JIA, 스틸씨병, 스틸병 & 다수관절형 Polyarthritis, polyarticular JIA 소아기 특발성 관절염(JIA)은 다양한 임상 형태를 가진 자가면역성 관절염으로, 특히 전신형(Systemic type)과 다수관절형(Polyarticular type)은 전신 증상, 심한 염증, 예후 다양성이 두드러지는 유형입니다. 전신형 JIA (Systemic type, Still disease)은, 흔히 STILL 병이라고 알려져 있는 질환으로, 성인에서 나타나는 성인 스틸병의 소아형태라고보면 됩니다. 이는 George Frederic Still 에 의해서 처음 기술되어 스틸씨 병, 스틸 병이라고 알려졌습니다. Systemic Type of Idiopathic Juvenile Arteritis 혹은 STILL 의 앞글자를 따서 Spiking Fever Transient Rash Infla.. 2025. 7. 21.
소아기 특발성 관절염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JIA) – 소수관절형 pauciarticular type, Oligoarthritis 소아 특발성 관절염 JIA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는 소아에서 6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 관절염을 포함하는 질환군으로, 과거에 불리던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JRA :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또는 소아기 만성 관절염(JCA: juvenile chronic arthritis)을 모두 포괄하는 현대적인 진단명입니다. 단순히 성인의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응하는 소아의 질환이라고 보는것이아니라, 별개의 소아에서의 독특한 질환의 특징이 있어, 별도의 질환으로 보아야 합니다. 소아기 특발성 관절염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JIA)의 정의는. 나이 기준이 15세 이하 소아로, 진단 기준은 6주 이상 지속되는 관절염이 1개.. 2025. 7. 20.
가와사키병 치료 및 예후 : 면역글로불린 IVIG, 아스피린, 스테로이드, 예방접종 라이증후군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은 근본적으로 급성으로 발생하는 소아의 자가면역성 혈관염으로, 혈관염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하고 관상동맥 병변을 포함한 심혈관 계통의 합병증 예방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치료는 IVIG(면역글로불린)와 aspirin 병합요법이 표준이며, 치료 반응에 따라 스테로이드 및 항응고 치료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1차 치료는 IVIG + Aspirin 의 조합입니다. IVIG (면역글로불린)은, 보통 2g/kg의 용량으로 혈관내 주사하게됩니다. 투여 방식은 입원한뒤, 10~12시간에 걸쳐 정맥 주사한번으로 마치는방식이며, 초기에 주사헤게되면, 고열이 급속히 해소되면서, 대부분의 증상이 24~48시간 내 완화됩니다. 또한, 이 주사하나로 관상동맥류 발생률을 .. 2025. 7. 9.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 원인 치료 딸기혀 입원 후유증 증상 전염 후유증 합병증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은 주로 4세 미만의 영유아에서 발생하는 전신성 혈관염의 일종으로, 심장을 먹여살리는 관상동맥을 포함한 중소혈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결체조직 질환입니다. 결체조직질환이란 자가면역질환을 의미하는것으로 내몸이 나를 공격하는 질환입니다. 이처럼 드문 질환이 소아에서 발생하는것으로, 가와사키 병의 진단은 전형적인 임상 증상에 기반하며, 빠른 진단과 치료가 심장 합병증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가와사키병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임상 진단 기준에 근거하여 내려집니다. 진단 기준은 아래 항목 중 ① 포함하고 나머지 ②~⑥ 중 4가지 이상 충족해야만 진단내려지게됩니다. ① 5일 이상 지속되는 발열 이 필수 조건이며, ② 화농성 눈꼽이 없는 양측성 결막 충혈 즉,.. 2025. 7.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