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noch-Schönlein 자반병(HSP)는 이름부터 한글용어로 표현하기 어려워
헤노흐-쉔라인 자반병, 헤노흐-쉰라인(쇤라인) 자반병 - 헤노호-쉘라인 자반병 등 다양한 한국명칭으로 불립니다.
간단히 헤노흐 자반병이라고도 하는 이 질환은, 소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전신성 소혈관염으로,
피부·관절·위장관·신장을 주로 침범하며, 자가면역성 IgA 침착과 관련된 질환입니다.
다른 말로는 IgA vascularitis 로 불립니다.
병태기전은 작은 혈관 침범이 있는 소혈관염 입니다.
IgA 신병증 (IgA nephropathy)와 유사한 신장 병리 소견을 보이는 것으로
주로 IgA 면역복합체가 혈관에 침착 되는것으로생각되지만,
명확한 병인은 불명확하고, 약 50%에서 상기도 감염이 선행합니다.
주 연령대는 4~5세에서 가장 흔하며,
성비는 남아 : 여아 = 1.3 : 1로 남아에서 약간더 흔합니다.
소아에서 발견될수 있는 소아 신장염(신염)의 소아기의 약 15%를 차지합니다.
임상 증상은, 피부, 위장관, 관절, 신장의 4대 증상군으로 나뉩니다.
1) 피부 증상 – 자반 (palpable purpura)
주로 하지 및 엉덩이부분에 중점적으로 나타나며, 대퇴, 장요근 부근 에 가장흔합니다.
단, 얼굴, 손바닥, 발바닥에는 드뭅니다.
초기에는 홍반/두드러기 모양 발진으로 나타나서
점차 붉은 자반( palpable purpura)으로 진행하고,
적갈색으로 되어 몇주동안 지속됩니다.
눌러도 안 사라지지 않는 비압박성의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혈관염이기 때문입니다.
수주 내 소실되지만 재발 가능성 있으며, 수개월간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위장관 증상
전체 환자의 25~90% 에서 발하는데,
급성 복통, 구토, 오심 등이 나타나며,
혈변 (점액성 출혈, 선홍색) 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중증 합병증으로는,
장중첩증, 장천공, 장괴사, 심한경우는 장출혈로 인한 쇼크 도 가능합니다.
3) 관절 증상은,
무릎, 발목 관절에 호발하는
관절통 혹은 삼출액이 있는 관절염 형태입니다.
후유증 없이 호전되며, 영구적인 관절변형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4) 신장 증상이 가장 이 질환의 예후를 결정하는 핵심입니다.
다른 증상 이후 수일~수주 후 발생 가능하며,
혈뇨, 경증 단백뇨가 발생하는데,
심한 경우 신증후군이나 급성신염의 양상을 보입니다.
빈도는 경증 형태 포함 시 약 40~60%에서 발생하는 흔한 증상으로,
신침범 여부가 예후 결정에 가장 중요합니다.
따라서 모든 HSP 환자에게 요검사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것이 필요합니다.
기타 드물게 발생하는 기타 증상으로는,
신경계증상으로, 의식저하, 경련, 마비 등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뇌혈관염 동반 시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상으로,
헤노흐-쉔라인 자반병 (Henoch-Schönlein Purpura, HSP) : 자반, 복통, 관절통 신장침범 단백뇨 혈뇨, IgA vasculitis 혈관염 입니다.
'소아 결체조직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HSP 헤노흐 쇤라인 자반증 검사소견 , 예후, 치료약 완치 (0) | 2025.07.24 |
---|---|
소아기 피부근염(JDM)의 치료와 합병증 : 스테로이드를 줄이는 전략과 폐렴 예방까지 (0) | 2025.07.22 |
소아기 피부근염(Juvenile Dermatomyositis, JDM) : 피부 발진 및 근력저하 진단기준 증상 원인 Heliotrope rash Gottron papules (1) | 2025.07.22 |
소아기 특발성 관절염(JIA) 치료약 치료단계 DMARDS, bDMARDS, TNF alpha 길항제 (1) | 2025.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