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벨리노 이영양증, 아벨리노 이상증, Avellino dystrophy
라식 라섹과 관련하여, 유전자검사를 하게되는 질환인 아벨리노 이상증, avellino dystrophy 는 국내에서 상당수 발견되기에, 각막 수술 이전에 반드시 검사가 필요한 항목입니다. 이는 과립각막이상증(granular dystrophy)의 변종으로 이해되고 잇으며, 제2형 과립각막이상증, 즉, granular dystrophy type 2 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과립 각막이상증 granular dystrophy, granular corneal dystrophy 전형적인 과립병변에 격자모양이 같이 나타납니다. 이에 따라서 combined granular-lattice corneal dystrophy 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즉, 아벨리노는 granula..
2025. 3. 23.
과립 각막이상증 granular dystrophy, granular corneal dystrophy
과립 각막 이상증 (granular dystrophy)은 각막의 중간층인 각막기질, 각막실질(corneal stroma)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이상증입니다. 이는 상염색체 우성(autosomal dominent, AD)로 유전되며 유전성 질환으로 청소년 초기에 발생하나, 중년기까지는 시력이 좋게 유지되는 질환입니다. 보통 50대 정도쯤되어서 시력저하가 발생하게됩니다. 각막의 기질에 빵부스러기, breadcrumb 모양의 흰색의 침착물이 쌓이는데, 이는 각막의 중심부, 기질의 앞쪽쯕에 모이게됩니다. 혼탁의 모양은 둥글며, 병변들의 윤곽이 명확하며 흔히 눈송이, 빵부스러기 등의 모양으로 하고 있으며, 경계가 명확하여, 병변이 없는 부위과 구분됩니다. 미약한 염증이나 작열감이 발생하수 잇으나, 기본적..
2025. 3. 23.
보우만막 각막 이상증, Corneal dystrophy of Bowman's layer, CDB
보우만막은 각막의 5층중인 각막상피 - 보우만막 - 실질 - 데스메막 - 내피 이 중에서 위에서 2번째 층에 해당합니다 보우만막은 superficial stroma 라고 불리기도 하며, 각막기질의 상부에 해당합니다 보우만막 각막 이상증에는 2가지 형태가 있는데, 보우만막 각막 이상증 1형 (Corneal Dystrophy of Bowman's layer type I, CDB 1) = Reis-Bücklers dystrophy, RBCD, 라이스-뷔클러 이상증보우만막 각막 이상증 2형 (Corneal Dystrophy of Bowman's layer type II, CDB 2) = Thiel-Behnke dystrophy, TBD, 티엘벤케 (티엘-벵케)이렇게 분류됩니다 두 이상증 모두 임상양상과 ..
2025. 3. 21.
Meesmann’s Juvenile Epithelial Dystrophy, 미스만 소아 각막 상피 이영양증, MJED
Meesmann’s Juvenile Epithelial Dystrophy, 미스만 소아 각막 상피 이영양증, MJED 라고 불리는 이 질환은, 희귀한 유전성 각막 질환으로, 각막 상피층에 미세한 낭포(microcyst)와 소포(vesicle) 가 형성되는 질환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미세낭포(microcyst)가 모여서 소포(vesicle, bulla)가 되면서, 이러한 낭포가 터지며 이물감과 시각적 불편함을 유발하게되는 질환입니다. 이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Juvenile epithelial corneal dystrophy 연소 각막 상피 이상증Meesmann’s juvenile epithelial dystrophy, MJED 미즈만 소아 각막 상피 이영양증Meesmann’s dystroph..
2025. 3. 18.
신생혈관 녹내장, Neovascular glaucoma, NVG 뜻, 의미, 원인 질환, 기전, 발생이유
신생혈관 녹내장(neovascular glaucoma)은.. 당뇨 망막병증, 망막혈관폐쇄, 안허혈 증후군 등에 의해 망막이 저산소증 상태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이차성 녹내장의 한 종류입니다. 망막이 저산소증(ischemia) 상태가 되면, 망막의 혈류를 증가시키기위한 목적으로 혈관 성장이 있어야 한다는 신호가 발생합니다. 이에 의해서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라는 물질이 안구내에서 농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는 문자그대로, 혈관의 성장을 돕는 체내의 물질인데, 정상적인 혈관 생성이아닌, 성글게 생긴 비정상적인 혈관성장(신생혈관, new vessel, neovascularization NV)이 일어나게 됩니다. ..
2022. 7. 19.
수정체 단백질성 녹내장, lens protein glaucoma, lens particle glaucoma
안구의 천공상은 물론이고, 안구에가해지는 둔상이후에도 수정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수정체의 낭(lens capsule)이 파열될수 있습니다. 안구내 수술이나 안구내 주사시술과 같은 시술 이후에도, 수정체낭을 건드리게 되면, 수정체낭이 뾰족한 기구들로 인해서 손상되어 수정체낭이 파열될수 있습니다. 혹은 백내장 수술이후 수정체 물질들을 완전히 제거해야하는데, 일부가 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처럼 외상이나 수술로 인해서 수정체낭이 파열되면, 수정체 물질이 전방으로 유출되면서, 수정체 단백질들이 섬유주를 막아서 안압이 오르게됩니다. 일반적으로 수술이나 외상이 있고 난뒤에 수일후에 안압상승이 되는 소견을 보이며, 안압상승의 정도는 수정체 물질의 양, 안구내 염증 유발 정도, 섬유주의 이물제거능력 등에 따라서 다릅니다..
2022.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