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212

각막 상피 이상성숙증 (corneal dysmaturation) 각막상피 이상성숙증(epithelial dysmaturation)은 주로 각막 상피만 침범하는 질환으로 광범위하게 얼어있는듯한 모양의 각막상피 혼탁이 발생하게됩니다. 각막상피의 투명도가 없어지면서 유백색의 병변으로 상피의 혼탁이 관찰되며, 주로 각막 상피만을 침범합니다. 이는 양성의 병변으로 서서히 진행하거나, 그대로 유지되며, 조직학적으로 핵크기만 다른, 정상과 비슷한 상피세포가 관찰됩니다. 치료는 긁어내거나 각막윤부를 포함한 광범위 절제로 가능하나, 표층 각막 절제술을 시행시 보우만막을 제거하면 혼탁이 더 심해지므로 주의해야합니다. 2025. 5. 29.
침습성 편평상피세포암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SCC) 침습성 편평상피 세포암은 문자그대로 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한 암종 으로서, 각막 윤부 부위의 결막에서 호발합니다 발생빈도는 CIN보다 낮으며, CIN에서부터 진행하여 ,상피의 기저막을 뚫고 아래조직으로 자라나가면 그때부터 Invasive SCC 라고 명명합니다. 결막의 상피에서부터 발생하여 결막의 전층 및 하부 조직이 침범하게되면서, 홍채, 전방각 홍채근육 등 안구의 안쪽까지 확장될수도 있습니다. (advanced stage) 하지만 대개 진행은 성장이 느리고 심층 침범이나 전이는 드뭅니다. 대부분 젤라틴 모양의 표면을 가지며, 때로는 유두모양이 보이기도 합니다. 때로 상피가 비정상적으로 각화되어 백반증 (leukoplakia)소견을 보입니다. 경계가 불명확하며 혈관침윤이 가능하며, 각막.. 2025. 5. 28.
결막 상피내 신생물, 결막 상피내암종 CIN (Conjunctival Intraepithelial Neoplasia) 결막의 표면 상피에 발생하는 표면 상피의 악성 종양 중, 결막 상피세포내에 암종이 위치하고 아직, 주변 조직으로 침윤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결막 상피내 신생물, 결막 상피내 암종이라고 합니다. 즉, 결막 상피에서 악성 종양 , 암종이 발생하였는데, 이가 결막 상피에서부터 더 이상 퍼지지 않고 (결막 상피 아래의 기저막을 뚫지 않고) 결막 상피내에만 위치하는 경우를 이와 같이 표현합니다. 여러 용어로 불리는데, CIN (Conjunctiv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S (Carcinoma In Situ) Bowen’s disease conjunctival dysplasia and intraepithelial epithelioma 이와 같이 여러 용어로 불립니다. .. 2025. 5. 27.
OSSN = Ocular Surface Squamous Neoplasia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종양 OSSN (Ocular Surface Squamous Neoplasia)는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종양 으로 번역됩니다. 문자그대로 Ocular 안구의 Surface 표면에 있는 Squamous cell 편평세포 편평상피세포 에서 유래된 Neoplasia 종양 : 양성 종양 + 악성종양 모두 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결막/각막의 편평상피에서 기원하는 이형성, 이행성, 암성 병변 전체를 포함하는 용어로, 앞서 살펴본 양성종양인 papilloma, 부터 시작하여 악성 종양(암) 에 해당되는 Squamous cell carcinoma (SCC)에까지 이루는 포괄적 진단명입니다. 가장흔한 발생위치는 각막 윤부 limbus 에서부터 발생하게되고, 편평상피세포가 가지는 특징인, nodular or irreg.. 2025. 5. 26.
결막 유두종 papilloma, 결막 표면 상피의 양성 종양 유두종 papilloma 는 HPV 바이러스 의 감염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HPV 6, 11 의 감염에 의해 주로 발생하며, 최근에는 6, 11 이 주가되지만, 그외에도 16, 18, 33, 45 형이 기타 고위험형으로분류되어, 이로인한 감염에 의해 안구 표면에 유두종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두종은 종양의 중심부에 혈관이 있고, 이것을 편평상피세포가 둘러싸거나 덮는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병변을 유두종이라고 합니다. 즉, 혈관을 둘러싼 증식성병변이 있으며 편평상피세포가 증식하여 생긴 덩어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결막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양성 상피 종양입니다. HPV 바이러스가 접촉하게되는 부위에 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눈물의 흐름에 따라 HPV 바이러스가 이동할수 .. 2025. 5. 25.
유전성 양성 상피내 각화증 (Hereditary Benign intraepithelial dyskeratosis, HBID) 유전성 양성 상피내 각화증 (hereditary benign intraepithelial dyskeratosis, HBID)은 문자그대로 유전성 hereditary : 유전되는 소아에게 발생하는 양성 benign : 악성 전환의 가능성을 내피하는 상피세포의 이형성 dysplasia 은 없는, 조직학적인 악성 가능성은 없는 상피내 각화증 intraepithelial dyskeratosis 상피세포의 각질이 각질화가되어서 각화이상증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양측성으로 10세이전에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어린나이에 봄철 각결막염 알러지반응에서 나타나는것 처럼 각막 윤부를 둘러가면서 하얀 병변이 나타나는데 이때 알러지 등의 증상없이, 각막 윤부에 V자형태로 융기된 증식성.. 2025. 5. 24.
후원추각막 posterior keratoconus 증상 원인 치료 수술 후원추각막은 원추각막과는 별개의 질환입니다. 각막 후면의 함몰로 인해, 후면 곡률 증가, 즉 각막 후면이 앞으로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질환입니다 이는 전통적 ‘원추각막’과는 달리, 전면 곡률은 정상이며, 이름만 비슷한 질환이지 실제로는 연관이 없는 서로다른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대개 편측성이며, 출생시부터 각막의 중심 주변이 얇아집니다. 각막 전면부에서는 돌출이 대개 없으며, 후면에서만 함요가 나타납니다. A. keratoconus posticus generalis전체적으로 각막 후면이 얇아지며, 곡률 증가되는 형태로 각막은 투명함을 유지하는 형태입니다. B. keratoconus posticus circumscriptus 국소적 함몰로 경계가 뚜렷하게 되며, 각막 후면의 함요가 보입니다... 2025. 5. 23.
공모양 각막 Keratoglobus 정의 특징 원인 구분 치료 수술 원추각막은 각막의 중심 시축 바로 아래에서부터 각막의 후면에서부터 얇아지면서 전층이 얇아지며 앞으로 원뿔 모양으로 돌출되는 질환입니다. 공모양 각막 keratoglobus 는 각막의 주변부에서부터 각막전체가 얇아지면서 각막 전체가 앞으로 돌출되는 질환입니다. 선천성으로, 대개 출생시부터 발생하게되며, 양안성입니다. 주로 각막의 주변부가 가장 얇아지며, 전반적인 돌출이 나타납니다. 진행하지는 않는 질환으로, 원추각막과는 달리 철침착선 = Fleischer ring이 없습니다. 각막이 얇기 때문에, 가벼운 외상에도 각막파열이 발생할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보통은 진행하지 않아 급성 수종이 발생하는것은 원추각막보다 드뭅니다 치료는, 안경교정으로 시력 개선 효과 적지만 사용 가능하며, 외상과 .. 2025. 5. 22.
원추각막 Keratoconus, KC의 치료 안경 렌즈 콜라겐크로스링킹, 각막기질 고리 삽입술 (Intacs ring) 삽입술 원추각막, KC 의 치료입니다. 가장 처음은 안경 교정입니다. 각막이 부정난시 = 불규칙난시를 일으킨다고하더라도 안경으로 근시와 규칙난시 (직난시, 도난시) 와 같은 저위수차를 교정해주면, 시력개선을 얻을수 있습니다. 원추각막에서는 각막의 불규칙난시가 발생하게되면, 안경으로 교정되지 않는 고위수차, 그중에서도 특히 코마수차가 발생하게되면서, 시력의 질이떨어집니다. 하지만, 치료의 시작은 여전히 안경 교정으로 많이 진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경으로 시력개선을 얻을수 있습니다.. 그다음으로 선택할수 있는 방법은 콘택트 렌즈입니다 안경교정으로 시력개선이 되지않을 정도로 불규칙난시가 심해지는 경우, 각막의 불규칙난시를 제거해줄수 있는 방법이 콘택트 렌즈 입니다. 예전에는 콘택트 렌즈로, RGP 렌즈.. 2025. 5.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