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250

감염성 공막염의 특수 형태 – 헤르페스 공막염 & 결핵 공막염 감염성 공막염 중에서도 HSV, VZV, 결핵균에 의한 공막염은 흔하지 않지만, 비전형적인 양상과 심각한 조직 손상을 동반할 수 있어 주의 깊은 진단과 치료가 요구됩니다. 특히 스테로이드의 사용 여부에 따라 예후가 극단적으로 달라질 수 있는 대표적 질환입니다. 헤르페스 공막염 (Herpetic Scleritis)은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HSV (Herpes Simplex Virus)와 VZV (Varicella-Zoster Virus)에 의해서 발생할수 있습니다. 두가지 모두 흔하지는 않지만, 보통, 대상포진에 의한 경우가 좀더 흔합니다. HSV 와 VZV 모두 컨디션 저하, 노화, 국소면역 저하로 인해, HSV 트리거로 HSV가 재활성화 되었을때 결절성 공막염으로 나타나게되며, 대상포진 이.. 2025. 7. 20.
안과 수술 후 공막염, 공막감염 – 공막돌륭술 및 군날개 제거 이후의 합병증 감염성 공막염(scleritis)은 드물지만 안과적 수술 후 발생 가능한 중대한 합병증으로, 특히 공막돌륭술과 군날개제거술 이후 감염성 염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수술이후 수년 후에도 지연 발생할 수 있어, 환자와 술자 모두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공막돌륭술은 망막 박리를 치료하기 위한 공막돌륭술이라는 수술을 시행후 공막염이 발생하는것입니다. 망막박리는 안구 내부의 망막이라는 신경이 안구와 떨어지게되는 병으로 공막돌륭술은 안구 외부에서 부터 안구의 모양을 변형시켜 안구와 신경이 달라 붙게 해주는 방법입니다. 공막돌륭이후 공막염은 수술 직후 또는 수년 후 지연성으로도 발생 가능한데, 수술부위의 통증, 이물감, 만성 포도막염, 농양으로 발생할수 있습니다. 수술당시 들어간 이물질이나, 봉합.. 2025. 7. 20.
감염성 공막염, 세균성 각막염 및 안내염에 의한 공막의 세균감염 앞서 이야기한것 처럼, 감염성 공막염에는, 감염성 각막공막염 즉 각막염과 공막염이 동반된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대부분 각막의 심한 세균성 감염에 의해서 발생하게되는데, 심한 세균성 각막염에 의한 파급에 의해서 감염성 공막염이 발생합니다. 감염성 각막공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Pseudomonas aeruginosa 입니다. 조절되지 않은 세균감염이 말초 각막을 침범하고 이것이 조절되지 않아 공막으로 이어지게되는데, 이때 감염성 각막 공막염이 발생합니다. 세균에 의한 감염시 치료가 필요한데, IV로 전신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보통 ceftazidime, aminoglycoside 등의 항생제를 사용하며, 각막염 + 공막염인 경우 근거는 명확히 없지만, 대부분 IV 로 전신 항생제를 사용합니.. 2025. 7. 20.
감염공막염 (Infectious Scleritis) 원인 이유 증상 병태생리와 임상 양상 특징 공막염은 자가면역 질환으로 인한 비감염성 형태가 대부분이지만, 일부는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공막염(infectious scleritis)입니다. 감염성 공막염은 드물지만 제대로 진단되지 못하고 치료가 늦어지면,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항생제 치료가 필수입니다. 감염성 공막염의 감염의 원인에 따른 분류는 외인성 감염이 가장 흔한 형태로, 외상이나 수술 후, 직접 감염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그외 내인성 감염 역시 가능하나, 이는 드물며, 비감염성 공막염과 임상적으로 유사합니다. 대부분 혈행성 전파 등으로 발생하는것으로 전신적인 감염성 질환이 있을때, 이것이 혈행을 통해 눈으로 전해져서, 공막에 감염이 퍼지는 것입니다. 외인성 감염공막염의 주요 원인 중에서 가장 .. 2025. 7. 19.
공막염의 치료 – 비괴사성 및 괴사성 공막염 치료방법 스테로이드 NSAID 면역억제제 비감염성 공막염 공막염(scleritis)은 상공막염에서의 치료인 NSAID 안약나 점안 스테로이드에는 조절이 되지 않습니다. 염즈의 깊이가 더 깊고, 중증이기에, 더 즉각적인 치료를 요합니다. 특히 괴사성 공막염의 경우 적극적인 전신 면역조절 치료가 필요합니다. 비괴사성 공막염 (Non-necrotizing scleritis)에서는 NSAID 경구제 (NSAID p.o.)를 1차 치료제로 사용합니다.이는, 염증 조절 및 통증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대표 약물은 Indomethacin, Naproxen, Flurbiprofen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NSAID p.o에 반응이 없는 경우, 경구 스테로이드 (steroid p.o.)를 시도합니다. 보통 Prednisolone 1 mg/kg/day 으로 시작하게됩.. 2025. 7. 8.
공막염 합병증 : 포도막염 및 각막염 주변부각막궤양 공막염(scleritis)은 공막이라고 하는 안구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에 발생한 염증으로, 염증 진행 시 안구 내부 구조물까지 파급되어 시력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괴사성 공막염에서 이러한 합병증의 빈도가 높습니다. 공막염 환자의 약 60%에서 합병증이 발생하느넫, 특히 괴사성 공막염은 염증이 깊고 파괴적이기 때문에 시력 손상, 조직 괴사, 안구 변형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큽니다. ① 포도막염(Uveitis) 공막 염증이 공막 주변의 포도막(홍채, 섬모체, 망막·맥락막)으로 파급되는것입니다. 대개 전방내 염증반응은 심하지 않으나, 발생하는 경우 중증 염증 반응이 발생하며, 시력 저하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또한 발생하면, 예후 불량하기 때문에 조기발생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 2025. 7. 8.
공막염과 전신 자가면역질환 면역학적 공막염 루푸스 류마티스 베게너 육아종증 다발현관염 공막염(scleritis)은 국소적인 안과 질환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전신 자가면역질환의 반영인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괴사성 공막염 및 회복이후의 천공성 공막연화증 환자의 경우, 단순한 눈의 염증이 아니라 전신 질환의 활성을 반영하는 신호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신 평가가 필요합니다. 공막염 환자의 전신질환 동반율은 전체 공막염 환자의 약 50%에서 전신 자가면역질환이 동반될정도로 높습니다. 특히 괴사 공막염에서는 이 비율이 더욱 높아집니다.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 다발혈관염 동반 육아종증(Granulomatosis with polyangiitis, GPA) = Wegener granulomatosis(베게너 육아종증) 전신홍반루푸.. 2025. 7. 7.
후부 공막염(Posterior scleritis) 진단 소견 초음파 T-sign 망막부종 시신경부종 시신경염 망막주름 후부 공막염(posterior scleritis)은 안구의 뒤쪽, 즉 시신경 주위와 망막·맥락막에 인접한 공막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으로, 전안부에 나타나는 공막염 없이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진단이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경우, 시력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합병증을 동반하기 쉽습니다. 대부분의 안과 검사는 전안부 검사에 의존하게되는데, 후부 공막염의 경우는, 안구의 충혈이 없는 경우가 많아, 전부 공막염 동반이 없으면 다른 질환으로 오인될 수 있습니다. 즉, 증상이 시력저하, 복시, 통증 등으로 모호하게 나타나며, 갑자기 발생한, 원시, 결막 부종, 안구돌출, 눈꺼풀부종, 눈근육의 마비 등과 같은 애매한 증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환자가 뚜렷한 외관 이상 없이 통.. 2025. 7. 7.
괴사성 공막염 necrotizing scleritis 염증 동반 미동반 천공성 공막연화증 공막천공 괴사성 공막염 necrotizing scleritis 이란 안구 전안부에 발생하는 공막염 중에서 공막의 괴사를 동반하여, 공막의 얇아침 및 심한 경우 천공이 발생할수 있는 형태입니다. 이때 현재 활성화된 염증이 동반된 경우와, 염증이 현재는 없는 경우로 구분하게되는데, 염증을 동반한 괴사 공막염 (Necrotizing scleritis with inflammation) 염증을 동반하지 않는 괴사 공막염 (Scleromalacia perforans) 두가지로 구분합니다. 염증을 동반한 괴사 공막염 (Necrotizing scleritis with inflammation)은 공막염 중 가장 심한 형태입니다.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며, 시력 저하 가능성 가장 큽니다. 심한 염증과 함께 심층부 공막 괴사를.. 2025. 7.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