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아 혈액질환

소아청소년 철결핍성 빈혈 (IDA, iron deficiency anemia) 원인 나이 철섭취부족, 모유수유 우유, 출혈 조산 미숙아

by 아그점빵 2025. 7. 25.
반응형


철결핍성 빈혈(IDA, iron deficiency anemia)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미세적혈구 저색소성 빈혈로,

 

적혈구의 부족 - 빈혈

 




이유식 시기 지연, 우유 과다섭취, 급성장기 수요 증가 등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서 발생할수 있는 만큼

성장 발달과 영양 패턴의 영향을 감안해야합니다.

 

 




IDA의 원인은 철 저장 부족, 철 섭취 부족, 철 수요 증가, 실혈 등 총 4가지로 나뉩니다.

 

 

 

 

철겹핍성빈혈로 인한 증상들

 





1) 출생 시 철 저장량 부족

임신 3기 후반에 태아의 신체에 철 저장이 증가하게되는데, 조산아의 경우는 빨리 태어나기 때문에, 

조산 시 철 저장량이 부족합니다

 

조산아에서 빈혈로 인해 나타날수 있는 증상들




쌍둥이는 모체 철분을 나누어서 사용하기에, 정상에 비해서 철 저장량이 부족하게됩니다.

분만 시 출혈이 발생한 경우,  즉  태반 손상, 탯줄 출혈, twin-to-twin transfusion 등의 경우에는

철 저장량이 더욱 떨어지기 때문에, 역시 철겹핍성 빈혈의 가능성이 커집니다.



2) 철분 섭취 부족

이유식 지연은 철분섭취 부족의 원인이됩니다.

생후 9개월 이후로 이유식을 시작하는 경우 철분 부족 위험이 커지는데, 

이때 모유·우유만 지속하는 것은 철분 섭취의 부족의 원인이 됩니다.

 

 

철 섭취 부족의 원인이 되는 식단 : 우유과다, 비건 음식, 영양섭취부족

 




우유는 과다 섭취시 오히려 철분의 흡수를 방해하며, 철분의 흡수는 Ca과 경쟁적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우유는 오히려 철분 흡수 불량을 유발합니다.


모유는 흡수율이 높지만, 철분 함량이 낮습니다.

즉, 모유는 좋지만, 곡물·육류 이유식과 함께 시작해야 철분 보충이 가능합니다.



 3) 철 수요 증가

조산아의 경우 태내 철 저장이 부족한데, 생후 성장을 빠르게 하는 경우, 철 수요의 증가가 급증하기에,

상대적으로 철겹핍성 빈혈이 발생하게됩니다.


급성장기 소아 즉, 6개월~2세, 사춘기 등에는 

급격한 성장으로 혈액량이 급증하면 그에 따라 철 수요 폭증으로 이어집니다.

이는 상대적인 철겹핍을 일으켜 철겹핍성 빈혈로 이어집니다.



 4) 실혈

기생충감염, 특히 구충(ancylostoma) 등 흡혈성 기생충의 감염이나 

궤양, 장 폴립, Meckel’s diverticulum 등으로 인한 위장관 출혈

반복 코피와, 월경 과다 시기 (11~17세 연령군에서 흔함)에는 실혈로 인해 

철이 부족합니다.



정리하자면, 연령대에 따라 구분하면, 

3~6개월까지까지는 태내 철분 저장분을 사용 가능합니다.


6개월~2세에는 저장된 철이 고갈되며 급격한 성장을 거치는 시기라서 

 가장 흔한 IDA 발생 연령이 됩니다.


이후 11~17세에는 사춘기 성장과 함께 월경 시작으로 인해 실혈이 많아져서,

 2번째로 빈혈 호발 연령군이 됩니다.

 

 

 

이상으로, 

 

소아청소년 철결핍성 빈혈 (IDA, iron deficiency anemia) 원인 나이 철섭취부족, 모유수유 우유, 출혈 조산 미숙아 입니다.

 

 

 

 

 

신생아 생리적 빈혈 수치 원인 치료방법 정상 빈혈 수치

 

신생아 생리적 빈혈 수치 원인 치료방법 정상 빈혈 수치

소아에서의 빈혈은 소아청소년기 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모든 빈혈이 병적 상태는 아닙니다. 특히 생후 2~3 개월경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생리적 빈혈(physiologic anemia)은 병이 아닌 정상

eyeamfinethankyou.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