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아 혈액질환

신생아 생리적 빈혈 수치 원인 치료방법 정상 빈혈 수치

by 아그점빵 2025. 7. 24.
반응형



소아에서의 빈혈은 소아청소년기 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모든 빈혈이 병적 상태는 아닙니다.


특히 생후 2~3 개월경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생리적 빈혈(physiologic anemia)은

병이 아닌 정상 발달의 일부이므로 불필요한 치료는 피해야 합니다.

특히 생후 3~6개월 사이 혈색소가 9.5g/dL까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 시기의 일시적인 빈혈은 대부분 생리적빈혈입니다.

 

 

 

소아에서의 빈혈을 진단하기 위한 , 

 

각각의 나이별 혈색소 (Hb) 수치와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대혈 ≥ 13.5 ≥ 42
1개월 ≥ 10.0 ≥ 31
3~6개월 ≥ 9.5 ≥ 29
6개월~2세 ≥ 10.5 ≥ 33
6~12세 ≥ 11.5 ≥ 35

 

이 수치 보다 낮으면 빈혈이라 진단하게 됩니다.



 생리적 빈혈 (Physiologic Anemia)의 정의는

생후 8~12주경, 혈색소가 9~11 g/dL로 일시적 저하되는 것으로, 

이후 점차 회복되며 조혈기능이 다시 활성화됩니다.


이러한 생기럭 빈혈은

1단계로 출생 직후 태반에서 보다 공기중에서의 호흡에 의해서 산소포화도 상승 (50% → 95%)

2단계로 산소공급 증가로 인해 적혈구 생산의 필요성이 감소하게되고,

3단계로 헤모글로빈 자체도 HbF(태아형) 에서 HbA(성인형)으로 전환되면, 

 

HbF에서 HbA로의 전환

 


산소 친화도가 더 낮은 상태로 감소하면서 적혈수 생성인자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조절됩니다.

 

 

 

 

신생아 생리적 빈혈의 원인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일시적으로 적혈구 수 및 혈색소 농도가 감소하는데, 

이러한 정상 생리 반응에 의해서 “생리적 빈혈”이 발생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아 빈혈이 의심될 때는, 

CBC로 전반적 수치를 확인하고 (Hb, Hct, WBC, Plt 등)

망상적혈구 수로 골수 반응 여부를 평가하고

RBC indices (MCV, MCH 등)을 바탕으로 빈혈 유형을 구분하게되며 (철결핍 vs 용혈성 등)

말초혈액도말검사를 통해 세포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합니다.


그뢰에 필요시

Coombs’ test (용혈성 의심 시)

Hb 전기영동 (지중해빈혈 등)

삼투압 취약성 검사

골수 검사 등을 함꼐 할수 있습니다.



생리적 빈혈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는데,

약물치료 즉, 철분, 엽산, 간 추출물 등의 투약에 효과가 없으며,

대부분 자연 회복됩니다.


다만, 장기적 철분 결핍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예방적 철분 섭취가 필요하며

 철분제 복용보다는 철분이 포함된 이유식 중심으로 먹이는것이 좋습니다.


이처럼 생리적 빈혈은 치료 대상이 아니라 관찰 대상이지만,

이후 철분결핍성 빈혈(IDA)로의 이행을 막기 위해 예방적 영양관리는 중요합니다.

 

 

이상, 신생아 생리적 빈혈 수치 원인 치료방법 정상 빈혈 수치  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