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비늘 녹내장(Pseudoexfoliation glaucoma, PXG)의 원인, 치료
거짓비늘 녹내장(PseudoExfoliation glaucoma, PXG)는 거짓비늘 증후군(PseudoExfoliation syndrome, PXS)에서 발생하는 녹내장을 의미합니다. 거짓비늘물질(PseudoExfoliation Material)이 전방을 떠돌다가 섬유주를 막음으로써, 섬유주의 손상을 일으키커나, 섬유주 자체에서부터 거짓비늘물질이 생성되어, 다시 섬유주의 손상을 일으켜, 안압이 올라가는 것이 거짓비늘 녹내장(PXG)의 기전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1. 개방각 녹내장, Open angle glaucoma 거짓비늘 증후군에서 약 40%에서 녹내장이 동반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앞선 기전, 즉 거짓비늘물질에 의한 섬유주의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개방각 녹내장입니다. 거짓비늘녹내장(PXG..
2022. 7. 10.
거짓비늘증후군(Pseudoexfoliation syndrome, PES, PXF)의 증상, 검사소견, 백내장 발생
거짓 Pseudo 비늘 Exfoliation 증후군 Syndrome 약어로, 앞글자를 따서 PES 혹은 PXF 라고 하는, 거짓비늘증후군은, 수정체낭 표면이 긁혀서, 그 표면에서부터 비늘 같은 물질이 떨어져나온 것처럼 비정상적인 하얀 단백질이 안구내에 퍼져 있는 원인 미상의 질환입니다. 이때 비정상적 단백질은 실제 수정체낭으로부터 유래된 실제비늘(true exfoliation)이 아니기에, 거짓비늘물질(PseudoExfoliation Material)이라고 합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녹내장] - 거짓비늘증후군(Pseudoexfoliation syndrome, PEX, PXS)의 원인, 유전자, 특징, 진행 1. 수정체의 변화 수정체는 전형적인 거짓비늘증후군에서는 3개의 지역으로 구부됩니다. Cen..
2022. 7. 9.
거짓비늘증후군(Pseudoexfoliation syndrome, PEX, PXS)의 원인, 유전자, 특징, 진행
거짓 비늘증후군(Pseudoexfoliation syndrome, PEX, PXS)이란, 수정체, 홍채 및 눈의 전안부의 여러부위에 비정상적인 단백질 축적과 침착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이름에서부터 알수 있듯이, 이때 침착되는 물질은 거짓비늘물질(pseudoexfoliation material)이라고 합니다. 비늘(exfoliation)이란, 낙설이라고도 하며, 마찰에 의해서 표면에서부터 껍질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홍채와 수정체의 마찰로 인해서 홍채가 수정체 표면을 긁어서, 수정체 표면으로부터 수정체물질들이 껍질이 일어나듯이 일어나고, 이 물질이 떠다니는 경우를 진성비늘증후군(true exfoliation syndrome)이라고 합니다. 거짓비늘(pseudoexfoliation)이란,..
2022. 7. 8.
색소녹내장(Pigmentary glaucoma, PG) 및 색소분산증후군(Pigment dispersion syndrome, PDS) 정의 의미 원인 기전
색소분산증후군(PDS: Pigment Dispersion Syndrome)이란, 안구 전반부에 색소의 비정상적인 분산이 나타난 상태를 의미합니다. 원인 미상으로, 홍채의 뒷부분과 같은 짙은 색소들이 전방에 퍼지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아직 이러한 색소들로 인한 합병증 발생, 즉, 녹내장은 아직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주로 젊은사람(30대), 근시안, 남자에서 많이 발생하고,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인종적으로는 백인에서 잘 나타납니다. 한편, 색소녹내장(PG: Pigmentary glaucoma)이란, 색소분산증후군(PDS)에 의해서 초래되는 이차적인 개방각 녹내장의 한 형태입니다. 색소 분산 증후군(PDS)에서 전방에 떠나니는 색소들이 섬유주를 통해서 걸러지고 제거되면 문제가 ..
2022. 7. 5.
홍채 층간분리, Iridoschisis, 증상, 녹내장, 각막부종.
홍채층간분리, Iridoschisis는 1922년 Schmitt에 의해 처음보고된 질환으로, 보통 노년층에서 나타나는 일종의 퇴행성 변화로 알려져 있습니다. 양측성으로 발생하고 성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60~70대의 노년층에서 발생합니다. 간혹 외상이나 선천성 질환의 소견으로 젊은층에서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홍채 실질의 양측성 분리가 특징적인 소견이며, 하반부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홍채 층간분리(Iridoschisis)와 녹내장 1. 개방각 녹내장 층간분리된 홍채에서 염증이 발생하여, 홍채염이 발생하면, 홍채에서부터 이탈된 물질이나 염증 세포들이 섬유주를 막으면서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일반적인 개방각녹내장(open angle glaucoma, OAG) 에 준해서 치료합니다..
2022. 7. 4.
Fuchs’ Endothelial Dystrophy, 푹스각막이상증, 푹스이영양증의 증상, 원인, 치료 녹내장, 각막이식
푹스이상증은 1910년 Fuchs에 의하여 밝혀진 질환으로, 양안의 각막내피 세포의 이상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이후 안과의사 Fuchs 의 이름을 따서, 푹스 각막이상증 푹스 각막이영양증 푹스 각막내피이상증 Fuchs’ Dystrophy Fuchs’ Endothelial Dystrophy (FED) Fuchs’ Endothelial Corneal Dystrophy (FECD) 이러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국내에서는 드물지만, 미국에서는 40대 이상의 인구에서 4% 이내의 유병률을 보일정도로 상당히 흔한 질환으로, 여성에서 더 흔하게 발견됩니다. 푹스각막이상증(Fuchs’ corneal endothelial dystrophy)은 각막내피세포에 구타타(Guttata)가 관찰되고, 정상적인 각막내피세포가..
2022.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