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공막염과 공막염의 차이 분류 구분 증상 원인
공막염(scleritis)은 눈의 흰동자(sclera), 즉 결막 아래에 있는 눈알 안구 자체의 흰자 부분에 염증이 발생하느것이고, 상공막염(episcleritis)은 공막위의 조직, 공막의 표면 조직 , 즉 공막위, 결막 아래에서 염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단순 결막염이 충혈과 눈꼽, 아침에 눈달라붙음, 눈물 등이 증상인 반면에, 상공막염이나 공막염은 눈꼽이 동반되지 않는 충혈이 주된증상이며, 경우가 심한 경우 통증, 눈뿌리 아픔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상공막염이나 공막염을 넓게 공막염증성 질환으로 분류하게되며, 상공막염은, 단순 미만형(simple diffuse)과, 결절성(nodular, simple nodular)으로 분류되며, 공막염은 전안부 공막염 anterior scelriti..
2025. 6. 26.
신생아 각막부종, 선천성 각막부종 , 분만외상 겸자외상, 포셉 손상
신생아가 태어나는 과정에서 출산 과정에서 겸자를 이용해서 아이를 끄집어내는 경우, 겸자, 즉 포셉에 의한 각막 손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태아가 좌전방 후두위 자세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보통은 왼쪽눈에 잘 발생하며, 이 경우 파열은 하비측 ~ 상이측 모양의 사선으로 각막을 가로지르는 모양을 하거나 태아가 일직선상으로 나오는 경우에는 수직선에 가까운 모양으로 각막을 가로지르는 양상을 하게됩니다. 겸자 분만에 의한 눈꺼풀 외상이 보통 동반되어 피부에 상처가 발생한것이 모이며, 손상에 의해서 각막이 바로 손상이 되면, 각막 부종은 생기게 됩니다. 때로 그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각막 부종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각막의 데스메막, 내피세포 등이 압박에 의해서 파열되면서 발생하게되며,..
2025. 6. 23.
공막화 각막 sclerocornea 정의 뜻 분류 치료 수술 시력
공막화 각막 : sclerocornea 는, 결막 혈관을 가진 공막조직, 흰빛 혼탁이 각막 가장자리까지 넘어와서 각막 가장자리가 명확하지 않은것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각막의 주변부에만 침범될 수도 있고, 각막 전체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각막 전체에 나타나더라도 주변부에서부터 들어오는것이라서, 중심부는 주변부보다 덜 혼탁한 편입니다. 대부분 양측성으로 나타나며, 50%는 산발적으로 나타나게되고, 50%에서는 유전적으로 나타납니다 공막화각막에선느 각막의 특징적인 보우만막이없으며, 각막기질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각막기질이 가지는 특징적인 콜라겐 구조가 깨지면서, 불투명해집니다. 치료는 시력발달을 위해 빠른 시기에 전층각막이식을 해주는것입니다. 이상으로, 공막화 각막 sc..
2025. 6. 23.
각막 피터이상 Peter's anomaly 원인 치료 시력 예후 분류 증상
피터 이상 : Peter’s anomaly 는 양안성이고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각막 중앙에 불투명한 혼탁이 발생하면서, 각막 기질· 데스메막, 각막 내피의 결손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입니다 과거에는 1형과 2형으로 분류하였는데, 이제 분류가 의미없다고하기도 합니다만, 1형 피터이상은 중배엽형으로, 수정체를 침범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중심부 각막에 원형의 선천성 각막백반과 함께,, 홍채의 일부가 유착된 경우를 의미합니다. 2형 피터이상은 표면외배협형으로, 수정체까지 침범한 경우입니다. 중심부 각막의 혼탁 + 홍채 침범 + 수정체에 백내장 발생까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각막의 후변부에 홍채의 일부 조직이 붙어 있거나, 때때로는 수정체가 각막 혼탁의 후변에 붙어 있는..
2025. 6. 23.
홍역(Measles) 전구기 잠복기 발진기 회복기 증상 코플릭반점 3C 원인 감염
홍역, measle 은 잠복기 전구기 발진기 회복기의 과정을 겪게되는 대표적인 감염성 질환입니다. 3C Cough, 기침, Coryza, 콧물, Conjunctivitis, 결막염 + 발열로 대표되는 호흡기질환이자, 피부 점막의 질환이자, 안과적인 질환입니다. 홍역의 감염 방식은 전구기에 호흡기 분비물 비말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홍역은 전염력이 매우 강하여 접촉자의 90% 이상에서 발병하며, 불현성 감염, 즉 걸리로 난뒤에 증상이 없이 잠복된 경우는 거의 없이 대부분에서 증상이 나타납니다. 모체로부터 얻은 수동 면역은 생후 4~6개월 동안만 유효 하기 때문에, 그이후부터는 홍역에 감염될수 있습니다. 질환은 전구기, 잠복기, 발진기, 회복기로 이루어집니다. 매우 특징적인 임상 경과로 진단할..
2025.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