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녹내장

자율신경계(교감신경, 부교감신경)과 녹내장 약물의 원리

by 아그점빵 2017. 10. 21.
반응형

앞선 포스팅을 통해서  눈에 존재하는 자율신경계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 - 눈의 자율신경계 :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 알파, 베타, 무스카린 수용체


이제는 이러한 자율신경계의 원리를 바탕으로 녹내장 약물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단순히 약을 처방해주는데로 쓰는것 보다, 이 약이 어떠한 원리에 의해서 안압을 떨어뜨려주는지를 이해하면,  치료과정에서 흥미로움을 느낄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눈의 자율신경계의 원리를 한마디로 정리하면 다음과 


  1. α1 수용(α1 receptor)에 교감신경이 작용 할 경우, 홍채가 산동되어 "동공이 커지고",

  2. β2 수용체(β2 receptor)에 교감신경이 작용 할 경우, 섬모체 근육이 이완되어 "초점을 멀리 보도록" 맞춥니다.

  3. M3 수용체 (M3 receptor)에 부교감신경이 작용할 경우, 홍채가 축동되어 "동공이 작아지고", 

  4. M3 수용체 (M3 receptor)에 부교감신경이 작용할 경우, 섬모체 근육이 수축하여 "초점을 가까이 보도록" 맞춥니


자 이제 본격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눈에서 방수가 빠져나갈때 통로두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섬유주 유출로(trabecular outflow)" 로, 사람에서 방수유출의 90%를 담당합니다.


나머지 10%는 "포도막공막 유출로(uveoscleral outflow)" 라고 하여, 포도막조직(홍채, 섬모체)에서 직접적으로 흡수되어서 배출되는 경로 입니다.


방수의 두가지 유출 통로방수의 두가지 유출 통로

자세한 설명은 링크를 참조하세요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 - 녹내장 수술, 섬유주절제술(trabeculectomy)의 수술




1. M3 수용체에 작용하면 (M3 agonist)  섬유주 유출로(Trabecular outflow)가 증가합니다 : 엠↑ 티


M3 수용체 섬모체 근육을 수축한다고 하였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M3 수용체 (M3 receptor)에 약물이 작용 (M3 agonist) 하면 섬모체 근육수축하면서 섬유주(trabecular meshwork, TM)를 늘려 줍니다.


섬유주(TM)이 늘어나기에, 이를 통한 유출인 섬유주 유출로(trabecular outflow)가 증가합니다.


엠↑ 티↑엠↑ 티↑






2. α1 수용체에 작용하면 (α1 agonist)  섬유주 유출로(Trabecular outflow)가 증가합니다 : ↑ 


α1 수용체 홍채를 산동한다고 하였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α1 수용체 (α1 receptor)에 약물이 작용 (α1 agonist) 하면 홍채산동하면서 섬유주(trabecular meshwork, TM)의 아랫부분을 밀어 줍니다.


섬유주(TM)의 아랫부분이 밀리면서,  섬유주가 늘어나기에, 이를 통한 유출인 섬유주 유출로(trabecular outflow)가 증가합니다.


알↑ 티↑알↑ 티↑






   




3. α1 수용체에 길항하면 (α1 antagonist)  포도막공막 유출로(Uveoscleral outflow)가 증가합니다 : 알감 유


α1 수용체 홍채를 산동한다고 하였습니다.  반대로 α1 수용체길항(억제) 하면 홍채는 축동됩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α1 수용체 (α1 receptor)를 약물이 길항(억제) (α1 antagonist) 하면 홍채축동하면서 섬모체 근육(ciliary body muscle)의 근섬유 사이 간격넓혀 줍니다.


섬모체의 근육 섬유 사이 간격이 넓혀지면서, 이를 통한 유출인 포도막공막 유출로(Uveoscleral outflow)가 증가합니다.


알감 유↑알감 유↑




4. β2 수용체에 길항하면 (β2 antagonist)  생성이 감소합니다 : 배감 생감


지금까지의 내용들은 모두 거시적인 구조와 관련된 내용이었습니다.


β2 수용체는 조금더 미시적인 구조와 관련되어있습니다.


β2 수용체는 아래와 같이 섬모체 상피(ciliary body epithelium)에 있습니다.


β2 수용체의 분포β2 수용체의 분포


이 섬모체는 단순히 근육으로써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방수를 생성해주는 방수의 생성소 역할을 합니다.


배감 생감배감 생감


그리고 여기에 존재하는 β2 수용체는 섬모체로의 혈류를 조절하는 혈관에 존재합니다.


β2 수용체 섬모체의 혈관을 확장합니다.


배감 생감배감 생감





그럼 반대로...

β2 수용체 (β2 receptor)를 약물이 길항(억제) (β2 antagonist) 하면 섬모체 혈관이 확장되지 못할 것입니다.


섬모체 혈관이 확장되지 못하면, 섬모체로의 혈류가 감소합니다. 


섬모체로의 혈류가 감소하면, 섬모체의 기능인 섬모체에서의 방수 생성이 감소합니다.



결국 β2 수용체 길항하면 (β2 antagonist)  방수 생성이 감소합니다





   




참고로 α2 수용체는 α1, β1, β2 수용체 모두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총 정리하면.....


  1. M3 수용체에 작용하면 (M3 agonist)  섬유주 유출로(Trabecular outflow)가 증가합니다 : 엠↑ 티

  2. α1 수용체에 작용하면 (α1 agonist)  섬유주 유출로(Trabecular outflow)가 증가합니다 : ↑ 

  3. α1 수용체에 길항하면 (α1 antagonist)  포도막공막 유출로(Uveoscleral outflow)가 증가합니다 : 알감 유

  4. β2 수용체에 길항하면 (β2 antagonist)  생성이 감소합니다 : 배감 생감

  5. α2 수용체에 작용하면 (α2 agonist) 포도막공막 유출로(uveoscleral outflow)를 증가시키고, 생성을 감소시킵니다. : 알투 유↑ 생감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이 아래의 사진에 나오는 녹내장 약물들의 원리입니다.


이제 부터 이 녹내장 약물의 원리를 바탕으로  각 약물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녹내장 약물들의 원리 정리녹내장 약물들의 원리 정리


녹내장 약물들의 원리 정리녹내장 약물들의 원리 정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