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철선 iron line 종류 원인 치료 증상

by 아그점빵 2025. 5. 15.
반응형

철선 iron line 이란 주로 눈물에 존재하는 철분 iron 성분이

눈물이 고이는 부분이나 각막이 패인 부분에 오랫동안 눈물이 고임으로 인해, 

각막에 철이 침착되는 현상을 의마합니다.



철분은 각막 상피 세포내에 존재하게되는데, 

각막 상피의 바닥층 즉, basal layer 에 위치하게 됩니다.

 Iron Line이 보이는 대표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1. Hudson–Stahli Line
2. Ferry Line 
3. Stocker Line 
4. Fleischer Ring  
5. Radial Keratotomy 후 Iron Line 
6. Mannis Line 
7. Salzmann's Nodular Degeneration 




1. Hudson–Stahli Line 허드슨 스탈리 선

허드슨 스탈리 선은, 각막의 아래 1/3 경계 부위에서 관찰됩니다.

이는 대개 노화에 의한 생리적 현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각막의 아래 1/3 위치에서 나타나는 철침작 허드슨 스탈리 선

 



비측에서 이측으로의 약간 비스듬한 경사가진 1-2mm의 수평선으로 

선의 양쪽끝은 여러개의 선이나 점으로 나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각막의 흉터 혹은 콘택트렌즈의 착용등에 의해서 선의 모양이 변할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선이 더 길어지고 넓어질수 있습니다.


2세 정도의 유아에서부터 관찰될수 있으며, 

중년 이상에서 흔하며,  

70세 이후로는 발병률이 감소합니다.


별다른 증상은 없으며, 눈을깜빡일때 눈꺼풀은 내려오고, 각막은 위로올라가게되는데, 

이러한 벨현상 bell's phenomenon 에 의해서 각막이 윗눈꺼풀이나 아랫눈꺼풀 가장자리와 만나는 곳

생기는 것이 허드슨 스탈리 선입니다.

 



2. Ferry Line

이는 1968년 Ferry 에 의해서 기술된 철선 iron line 으로

녹내장 수술이후 여과포화 관련된 철분 침착입니다

 

여과포가 기능을 하면 나타나는 철침착 ferry line




섬유주절제술 후 여과포 주변에 형성되는 것으로, 

여과포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모양 달라집니다.

이는 수술후 예후 관찰의 지표로 이용될수도 있습니다.

 



3. Stocker Line

이는 익상편(pterygium) 경계 부위에서 관찰되는 철선을 의미합니다.

익상편 진행과 관련 있으며, 군날개를 수술한 가장자리에서도 나타납니다.

익상편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철침착 stocker line

 

 

 

이상으로 각막에 철이 침착될수 있는 상황들 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