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야 결손3

결핵 치료약, 에탐부톨(ethambutol, EMB)의 부작용 결핵 약제는 1940년대에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S)과 파스(p-aminosalicylic acid, PAS)가 결핵치료에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이후 이소니아지드(isoniazid, H), 피라진아미드(pyrazinamide, Z), 에탐부톨(ethambutol, E) 리팜핀(rifampin, R) 등 효과적인 항결핵제들이 차례로 개발되어 이들 약제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치료하면 대부분의 결핵이 완치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항결핵제는 일반적으로 일차 항결핵제(first-line drug)와 이차 항결핵제(second-line drug)로 구분됩니다.치료 효과가 좋을 뿐 아니라 부작용이 적어서 초치료 결핵에 사용되는 약제들을 일차 항결핵제라고 하며, 이에 비하여 항결핵 효과가 낮고 부작용이.. 2017. 10. 7.
뇌 병변과 시야 장애 2 : 시삭, 외측 슬상체, 시방사, 시피질의 병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각 시각 경로에 따른 전형적인 시야 장애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 - 뇌 병변과 시야 장애 1 : 시신경 교차부의 병변 지난 포스팅에서는 시신경 교차부(optic chiasm)의 병변에 따른 시야 장애의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이제 그 다음 시각 경로인 시삭(optic tract), 외측 슬상체(lateral geniculate body), 시방사(optic radiation), 시피질(visual cortex) 의 병변에서 발생할수 있는 시야 장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상적인 시각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시각 경로 순서에 맞추어서 각 병변에서의 시야 장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시신경 (optic nerve)-> 시신경 교차부 (op.. 2017. 10. 6.
뇌 병변과 시야 장애 1 : 시신경 교차부의 병변 눈은 발생학적으로 뇌신경의 일부로 발생하였고, 해부학적으로 기능적으로 뇌신경으로 작용합니다. 이처럼 뇌와 눈은 해부학적 및 기능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중추신경계의 이상 병변이나 뇌종양 등과 같은 뇌 병변이 있는 경우 그 종류와 위치에 따라서 안과적 증상이 발현됩니다. 따라서 시각로에 인접한 뇌병변이 있는 경우 여러가지 안과적인 검사를 통해서 뇌병변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고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안과 검사 중에서 상대적 구심성 동공장애(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 RAPD) 유무, 시신경 검사, 시야 검사 등이 사용 될 수 있습니다.그중 시야검사(visual field)는 여러 안과적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 흔히 사용되며 중추신경계에서는.. 2017. 10.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