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각 시각 경로에 따른 전형적인 시야 장애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 - 뇌 병변과 시야 장애 1 : 시신경 교차부의 병변
지난 포스팅에서는 시신경 교차부(optic chiasm)의 병변에 따른 시야 장애의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정상적인 시각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시각 경로 순서에 맞추어서 각 병변에서의 시야 장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신경 (optic nerve) -> 시신경 교차부 (optic chiasm) -> 시신경로 (옛 용어: 시삭) (optic tract) -> 가쪽무릎체 (옛 용어: 외측슬상체) (lateral geniculate body) -> 마이어 고리 (Meyer's loop) & 바움 고리(Baum's loop) -> 시각로부챗살 (옛 용어: 시방선, 시방사) (optic radiation) -> 시각겉질 (옛 용어: 시피질, 시각피질) (visual cortex) -> 시각연합영역 (visual association area) |
용어 정리입니다.
congruous : 일치 incongruous : 불일치 homonymous : 동측 (옛용어 : 동명성) sectoranopia : 부채꼴시야결손 quadranopsia (quadrantanopia) : 사분맹, 사반맹 (1/4) hemianopsia : 반맹 (1/2) ex) congruous homonymous hemianopsia : 일치 동측(동명성) 반맹 incongruous homonymous hemianopsia : 불일치 동측(동명성) 반맹 |
기본적인 시야 장애 패턴이 보이는 원칙 입니다.
위쪽 병변은 아래쪽 시야 결손이 나타난다. |
2. 시삭(optic tract)의 병변 : 병변 반대측 시야에서 나타나는 불일치 동명성 반맹(Incongruous contralateral homonymous hemianopsia)
: 시삭을 포함하여 시삭 이후의 병변은 동명성임(homonymous : 동측)
: 시삭을 포함하여 시삭 이후의 병변은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음
: 시야 장애가 더 큰 눈에 Bowtie atrophy 와 RAPD (+), 더 작은 눈에 서있는 Bowtie atrophy
ex) 우측 병변이면 좌안에 Bowtie atrophy 와 RAPD (+), 우안에 Sup & Inf atrophy
3. 외슬상체(Lateral geniculate body, LGB) 병변 : 병변 반대측 시야에서 나타나는 일치 동명성 부채꼴시야결손(Congruous contralateral homonymous sectoranopia)
: LGB 외측 병변은 위쪽 시야 결손
: LGB 내측 병변은 아래쪽 시야 결손
: 우측 병변은 좌안에 Bowtie atrophy (+), RAPD 는 없음. 우안 서있는 bowtie atrophy도 없음.
4. 시방사(optic radiation)의 병변 : 병변 반대측 시야에서 나타나는 Pie in the Sky or Pie in the Floor
4-1. 측두엽(temporal lobe) 병변 : 병변 반대측 시야에서 나타나는 불일치 동명성 위사분결손 (Contralateral Pie in the Sky : Incongruous Contralateral homonymous quadrantanopia)
: 마이어 고리 병변
: 아래쪽에 있는 시방사
: 위쪽 시야 담당
4-2. 두정엽(parietal lobe) 병변 : 병변 반대측 시야에서 나타나는 일치 동명성 아래사분결손 (Contralateral Pie in the Floor : Congruous Contralateral homonymous quadrantanopia)
: 바움 고리 병변
: 위쪽에 있는 시방사
: 아래쪽 시야 담당
: 우측 병변일 경우 우측으로 OKN 을 돌리면 OKN asymmetry
5. 편측 시피질(visual cortex)의 병변 : 위치에 따라서 다양
시피질의 병변은 그 위치에 따라서 가장 다양하게 나타날수 있습니다.
5-1. 편측 후두엽 뒤쪽 끝 (바깥쪽 끝) 병변 : 병변 반대측 시야에서 나타나는 황반부를 침범하는 일치성 동명성 중심암점 (Macular involving Contralateral homonymous hemianopsia, Macular involving Congruous Contralateral homonymous central scotoma)
: Calcarine fissure의 가장 바깥쪽 부위에는 중심부 시야를 담당하는 macular fiber가 지남
5-1-1. 조거열 아랫 입술은 위쪽 시야 담당
5-1-2. 조거열 위 입술은 아래쪽 시야 담당
5-2. 편측 후두엽 앞쪽 끝 (안쪽 끝) 병변 : 병변 반대안의, 병변 반대측 주변부 시야에서 나타나는 이측 초승달의 시야결손 (Contralateral Half-moon syndrome of Contralateral eye)
: Calcarine fissure 의 가장 안쪽 부위가 귀쪽 주변부 60~90도를 담당함
: 반달 증후군(half-moon syndrome)
: 보통은 양측성 병변이 발생하므로, 양안에 시야 장애가 모두 나타남
6. 양측 시피질(visual cortex)의 병변 : 위치에 따라서 다양
: 동시에 발생하거나 따로 발생할 수 있음.
6-1. 양측 후두엽 뒤쪽 끝 (바깥쪽 끝) 병변 : 양측 시야 모두의 황반부를 침범하는 일치성 동명성 중심암점(Macular involving Bilateral homonymous hemianopsia, Macula involving Congruous Bilateral homonymous central scotoma)
: 5-1-1과 5-1-2의 손상이 양쪽 모두에서 발생한 경우
: 양측 뒤대뇌동맥(Posterior cerebral artery)의 동맥 경화에 의한 뇌졸증, 뇌경막하 혈종(subdural hematoma, SDH)로 인한 갈고리 탈출(uncal herniation), 편두통 등이 원인
6-2. 양측 후두엽 뒤쪽 끝 (바깥쪽 끝) 병변이나 황반 회피가 발생하는 경우 : 양측 시야 모두의, 황반부를 보존하는 일치성 동명성 중심 암점(Macula sparing Bilateral homonymous hemianopsia, Macula sparing Congruous Bilateral homonymous central scotoma))
: 외상의 경우 황반부 보존(macula sparing)이 잘 발생함.
: 황반부 섬유가 피질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크고, 해당부위는 중간 대뇌동맥(Middle Cerabral artery)와 뒤 대뇌동맥(Posterior Cerebral artery)의 Dual supply 를 받기 때문
: 정상 시력, 정상 동공, 정상 안저, 정상 눈운동을 보임
: 고리암점(ring scotoma)
6-3. 양측 후두엽 전체의 병변이나 황반 회피가 발생하는 경우 : 양측 시야 모두의, 황반부를 보존하는 일치성 동명성 반맹(Macula sparing Bilateral homonymous hemianopsia)
: 외상의 경우 황반부 보존(macula sparing)이 잘 발생함.
: 황반부 섬유가 피질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크고, 해당부위는 중간 대뇌동맥(Middle Cerabral artery)와 뒤 대뇌동맥(Posterior Cerebral artery)의 Dual supply 를 받기 때문
: 정상 시력, 정상 동공, 정상 안저, 정상 눈운동을 보임
6-4. 양측 후두엽의 손상이 비스듬히 발생한 경우 : Check Board Visual field defect.
: 5-1의 손상이 비스듬히 발생 : 우측 후두엽은 아래쪽 손상(5-1-1), 좌측 후두엽은 위쪽 손상(5-1-2를 좌우 대칭)
: 우측 조거열 아래 입술 병변에 의한 좌측 위쪽 시야 손상과, 좌측 조거열 윗 입술 병변에 의한 우측 아래쪽 시야 손상
: 양측 후두엽이 아래쪽에 손상을 받을 경우 경막동(dural sinus)의 파열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기에 잘 관찰되지 않음.
6-5. 양측 후두엽의 손상이 후두엽 상부에서 발생한 경우 : 양측성 동명성 아래 시야 수평결손(Bilateral Homonymous Inferior visual field defect)
: 5-1-2 의 손상이 양측에서 발생
: 양측 후두엽이 아래쪽에 손상을 받을 경우 경막동(dural sinus)의 파열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기에 잘 관찰되지 않음.
지금까지 시삭(optic tract), 외측 슬상체(lateral geniculate body), 시방사(optic radiation), 시피질(visual cortex) 의 병변에서 발생할수 있는 시야 장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 > 신경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핵 치료약, 에탐부톨(ethambutol, EMB) 시신경 병증 (12) | 2017.10.08 |
---|---|
결핵 치료약, 에탐부톨(ethambutol, EMB)의 부작용 (12) | 2017.10.07 |
뇌 병변과 시야 장애 1 : 시신경 교차부의 병변 (24) | 2017.10.05 |
정상적인 시각 경로(optic pathway) (26) | 2017.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