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을 통하여,
마이봄샘의구조, 기능, 생리, 마이봄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눈의 피지샘 - 마이봄선, 마이봄샘(meibomian gland)의 구조, 생리, 마이봄의 특징
이번에는, 마이봄샘 기능장애(meibomian gland dysfunction)에 대해서 조금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마이봄샘 기능장애(meibomian gland dysfunction)의 분류>
마이봄샘 기능장애(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는,
문자그대로, 눈꺼풀 가장자리의 뒤편에 있는 마이봄샘의 기능에 장애가 발생한것으로,
뒤눈꺼풀염 (posterior blepharitis), 마이봄샘염(meibomitis)이라고도 불립니다.
마이봄샘 기능장애(MGD)는 다소 최근에 들어서 연구되기 시작한 분야로, 그전까지는 이에 대한 공통적인 consensus 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보니, 어느하나 제대로 채택되어서 널리쓰이는 분류가 없었습니다.
최근들어, IOVS 발표를 기점으로 하여 MGD 에 대한 workshop 이 열렸고, 점차 임상적인 분류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마이봄샘 기능장애의 분류, MGD분류 한글판 - 각막 교과서
마이봄샘기능장애(MGD/posterior blephaitis)는,근본적으로 마이봄샘 입구가 폐쇄된 것으로 시작합니다.
마이봄샘 입구가 과각질화(hyperkeratinization)로 인해서 폐쇄되고 막히게 되면, 마이봄의 분비가 원활해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원활하지 못한 마이봄샘의 변화는 마이봄 지질의 질적, 양적 변화를 일으키는데,
이변화의 방향은 크게 두가지 방향으로 나뉩니다.
<마이봄의 과분비, hypersecretory MGD, Meibomian seborrhea>
고인물이 썩는다는 말처럼, 마이봄의 배출이 원활해지지 못하면, 마이봄샘 내부에 세균이 성장하게 됩니다.
실제로 MGD 환자에서는 S. aureus 균은 정상의 10% 정도로, 유의하게 적게 관찰되나,
정상 상재균인 S. epidermidis, Propionibacterium, Corynebacterium 등은 훨씬 높은 성장을 보입니다.
이 3가지 균주들은 지질분해효소(bacterial lipase)를 분비하게되는데, 이는 마이봄샘의 지질성분의 변화를 발생시킵니다.
세균성 지질분해효소의 영향을 받은 마이봄은, 마이봄의 용해점이 내려가서, 액체 상태로 변하게 됩니다.
액체 성분으로 변한 마이봄은 마이봄샘 입구에서부터 저절로 흘러나오게 되면서, 과분비 되는 양상이 됩니다.
과분비된 마이봄은 눈물층내의 기름층을 과도하게 두텁게 만들면서, 눈물층이 과도하게 hydrophobic 해지면서,
눈물층의 파괴와, 눈물층의 불안정성을 유발하게 됩니다.
마이봄샘의 과분비 - Cornea 2014;33:826–831
<마이봄의 저분비, hyposecretory MGD, Obstructive MGD, Meimobian obstruction>
반면, 마이봄의 배출이 원활해지지 못한 상태에서, 마이봄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되면,
내부 마이봄샘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마이봄샘 내부의 작은 분비샘들이 위축에 빠질수도 있습니다.
작은 분비샘들이 모두 위축되게 되면 결국, 마이봄이 분비가 되지 않게 됩니다.
이로 이한 눈물의 지질층이 부족은, 수성 눈물층의 증발을 쉽게 일어나게 하여,
증발성 안구건조증의 발생 및, 눈물층의 불안정성을 유발하게 됩니다.
마이봄샘의 저분비 - Cornea 2014;33:826–831
저분비성 마이봄샘 기능장애를 조금더 세분화하여,
Obvious Obstructive MGD (명백한 폐쇄성 마이봄샘기능장애)와,
Non-obvious Obstructive MGD (명확하지 않은 폐쇄성 마이봄샘 기능장애)로 나누기도 합니다.
Obvious Obstructive MGD (명백한 폐쇄성 마이봄샘기능장애)는.. 눈꺼풀 테두리의 관찰에서 명백하게 마이봄샘 배출구의 obstruction 이 관찰되는 경우로,
Obvious MGD 의 평상시 모습 - Cornea. 2010 Dec;29(12):1333-45
Meibomian gland orifice capping 이나, 흉터화(cicatrization)가 관찰되거나,
눈꺼풀테가 두꺼워지고, 과각질화되어 있으며, 모세혈관 확장증(telangiectasis)이나 혈관화 등이 동반되어 관찰됩니다.
힘주어 마이봄샘 입구를 짜는 경우에도, 마이봄샘의 분비가 원활하게 나오지 않으며, 마이봄의 농축(inspissated meibom) 소견을 보입니다.
Obvious MGD 의 힘주어 짰을때의 모습 - Cornea. 2010 Dec;29(12):1333-45
Non-obvious MGD (NOMGD, 명확하지 않은 폐쇄성 마이봄샘 기능장애)의 경우는..
눈꺼풀 테두리를 관찰할때는 명확한 배출구의 폐쇄가 관찰되지 않으며, 염증 소견이 명확하지 않아 정상처럼 보이지만
NOMGD 의 평소 모습 - Cornea. 2010 Dec;29(12):1333-45
마이봄샘 배출구를 짜보앗을때, 마이봄샘의 성상이 고체화되어 있거나, 치약과 같은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즉, 겉으로 보기에는 정상처럼 보인다고 할지라도, 실제 마이봄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마이봄샘을 짜보는 것이 진단에 필수적입니다.
지금까지...
마이봄샘 기능장애(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의 분류, 과분비와 저분비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