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곳에 있는 사물을 보기위해
눈의 도수, 즉 눈의 굴절력을 바꾸어
보고자 하는 거리에 따라 망막에 정확히 상이 맺히도록
눈의 초점을 맞추는 기능을 눈의 조절 작용이라 합니다.
이때 눈의 굴절력을 바꾸는 방식이,
눈속에 있는 섬모체근육에 힘을 줌으로써, 수정체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이며,
이때 눈이 할수 있는 최대의 조절 능력, 즉 수정체 두께를 최대로 두껍게 할수 있는 정도를
조절력(accommodative power)이라 합니다.
한편, 백내장 수술을 시행하여, 수정체가 인공 수정체가 된 인공수정체안이나
다양한 이유로 수정체가 없는 무수정체안에서도 어느 정도의 조절이 일어나는데
이를 수정체에 의한 조절(Accommodation)과 구별하여 위조절(Pseudoaccommodation)이라 하기도 합니다.
이때는 수정체의 두께 변화, 즉 수정체 자체의 굴절률은 변하지 않으나
- 동공 크기의 변화에 따른 초점심도가 달라지는 효과,
- 기존의 각막난시
- 안축장의 변화
- 인공수정체의 이동에 따른 전방 깊이의 변화
이러한 요소들에 의해서 위조절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40대 중후반이 되면, 수정체의 단백질의 성분이 변하면서, 아무리 섬모체 근육에 힘을 주어도,
수정체가 두꺼워질수 있는데 한계가 발생하게되어, 가까운거리가 더이상 보이지 않게됩니다.
이를 노안이라고 하게되며, 보통 25cm 앞의 물체가 보이지 않으면 노안을 진단하게됩니다.
최대 25cm 앞의 물체를 선명하게 볼수 있는 경우의 조절력을 1 / 0.25 m = 4 D 의 조절력을 가졌다고하며,
최대 10cm 앞의 물체를 선명하게 볼수 있느 경우의 조절력을 1 / 0.1m = 10 D 의 조절력을 가졌다고합니다.
이처럼 조절력을 수치화하여 측정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 Push up 방법
앞서 이야기한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거리에서 굴절이상을 완전히 교정하고난뒤,
시표를 1m 정도에서부터 조금씩 눈앞으로 가까이 가져가면서 여전히 선명하게보이는지, 흐리게보이는지를 환자에게 물어봅니다.
시표를 점점 가까이 가져가면서 시표를 못보게되는 거리가 아니라, 흐리게보이는 시작하는 시점
바로 그 거리를 근점거리(Near Point of Accommodation, NPA)라고 하며,
조절력은 이 근점거리, NPA의 역수가 됩니다.
앞서 말한것 처럼 1m 에서부터도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경우, 조절력은 1 / 1m = 1D 라고하며,
50cm 에서부터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경우의 조절력은 1 / 0.5 m = 2D가 됩니다.
10cm 앞에까지도 선명하게보이는 경우, 근점거리(NPA)는 10cm 이되어, 조절력은 1 / 0.1m = 10D 가 됩니다.
2. Prince rule 방법
이는 원거리에서 굴절이상을 완전히 교정하고난뒤, 눈앞에 +3.0D의 lens를 갖다대어,
조절을 완전히 못하게해놓은뒤,
시표를 멀리해서 흐려보이는 점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때를 원점이라고하며,
시표를 가까이해서 흐려보이는 점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때를 근점이라고하여, 근점과 원점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조절을 하지 못하게 해놓은 상태에서 원점과 근점을 측정
예를들어, 환자의 원점이 33cm 이나오고, 근점이 10cm 에서 나왔다고하면
원점은 33cm 이므로 3D, 근점은 10cm 이므로 10D 가되어
이때 조절력은 근점 - 원점으로 7 D가 됩니다.
이를 계산하기 쉽도록 해놓은 Prince rule 에 대한 Ruler 가 나와있어, 이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Prince rule 를 이용한 측정기
3. Spherical Add 방법
40cm 앞에 있는 작은 글씨를 보도록한뒤,
눈에 (+) lens 를 수치를 높여가며 점점 갖다대어서 선명하게보이는지 흐리게보이는지를 물어봅니다.
흐리게 보이는 때의 (+) lens 도수 를 기입합니다.
그리고 다시 눈앞에 (-) lens 를 갖다대면서 점점 수치를 높여가면서 동일하게 측정합니다.
그리고 흐려보이는 (-) lens 도수를 측정합니다.
이때 조절력은 (+) lens 도수 와 (-) lens 도수 의 합이 조절력입니다.
예를들어 40cm 앞의 물체를 보고 있는 상태에서
(+) 렌즈를 2D를 더했더니 물체가 흐리게보이기 시작했다면 이때가 원점이 되며,
(-) 렌즈를 3D를 더했더니 물체가 흐리게보이기 시작했다면 이때가 근점이 되면서,
최대 조절력은 5D가 됩니다.
4. (-) 렌즈를 이용하는 방법
이는 최대 교정된 상태에서 5 m 거리의 시력표의 1.0 시표를 주시하도록 한 뒤
0.25D 간격으로 마이너스 렌즈를 추가하여,
시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에서의 첨가된 마이너스 도수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쉽게 측정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혹은 최대로 교정한 상태에서 40cm 앞의 시력표를 보도록 합니다.
그리고 0.25D 간격으로 마이너스 렌즈를 추가하여,
시표를 알아볼 수 없을 때까지 마이너스 도수를 점점 첨가함으로써,
그때의 마이너스 도수를 측정한뒤, 이 수치에다가 2.5D (40cm 거리)를 더한값이
최대 조절력입니다.
예를들어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안경을 착용한상태에서
40cm 앞의 거리의 시력표를 볼때
-2.5D를 눈앞에 놓을때까지는 선명하게 보였으나,
-3.0D를 눈앞에 대니 흐리게 보였다고 한다면,
3.0D + 2.5D (40cm 에 필요한 조절력) = 5.5D 가 최대 조절력입니다.
5. WAM-5500 open-view 형태의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는 방법
WAM-5500는 일반적인 자동굴절검사기와는 달리,
동일한 open-view 형태를 띄고 있는 굴절검사기입니다.
즉, 열린 유리창을 통해서 사물을 보고 있을때의 눈 도수를 측정하는 검사기계로,
원거리의 굴절이상을 교정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원거리를 평가하기 위해 5 m 거리에 시표를 설치하여 피검자에게 주시하도록 한 뒤 눈의도수를 측정하고,
근거리 평가를 위하여 시표를 눈앞 20 cm까지 이동시켜 주시하게 한 후 눈의 도수를 측정하여,
굴절력의 구면렌즈대응치의 차를 이용하여 객관적인 조절력의 변화를 측정할수 있습니다.
WAM-5500 open-view 형태의 자동굴절검사기
이는 피검자의 상태나 피로도, 빛의 조도 등 여러 가지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배제하여,
가장 객관적으로 평가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지금까지...
노안에서의 조절력(Accommodative power)의 측정과 측정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 > 사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모임, 눈모음(convergence)의 종류 : 수의, 긴장, 조절, 융합, 근접 눈모음 (0) | 2019.12.09 |
---|---|
조절(accommodation), 조절력, 조절범위, 조절근점의 개념 및 노안 (2) | 2019.12.02 |
근거리 주시 복합운동, near vision complex 과 조절 accommodation (1) | 2019.12.02 |
Bruckner 검사, 브루크너 검사 (0) | 2018.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