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녹내장

섬유주절제술(Trabeculectomy)의 수술중 합병증 : 결막단추구멍, 결막출혈, 전방출혈, 맥락막상강출혈

by 아그점빵 2022. 5. 29.
반응형

섬유주 절제술은 진행된 녹내장에서 안압을 조절하고,

 

녹내장 진행을 늦출수 있는, 가장 많이 하는,

 

그리고 가장 확실한 수술적 치료방법입니다.

 

 

하지만 섬유주 절제술도 합병증에서는 완전히 자유로울수 없는 수술로,

 

수술중, 수술후 합병증이 발생할수 있어, 이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이번 포스팅에서는 섬유주절제술(Trabeculectomy)의 수술중 합병증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 결막단추구멍(conjunctival button hole)
  • 안구주위 및 안구내 출혈
  • 유리체손실
  • 공막편 해리
  • 섬모체해리 틈새 (cyclodialysis cleft)
  • 맥락막 삼출 (Suprachoroidal effusion)

 

 

결막단추구멍(conjunctival button hole)

 

결막 원개에 기반을 두고 결막편을 만든 경우(Fornix based Conjunctival flap)보다

 

결막 윤부에 기반을 두고 결막편을 만든 경우(Limbus based conjunctival flap)에서

 

결막 단추구멍의 발생 가능성이 큽니다.

 

 

   

 

 

결막 원개 기반 결막편의 경우, 결막 윤부에서부터 박리해 나가면서 결막편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결막하 조직들의 노출이 쉽고 조작이 편리하기에, 결막이 찢어지는 경우는 드뭅니.,

 

Fornix based conjunctival flap

 

 

반대로 결막 윤부 기반 결막편의 경우, 결막원개부분에서부터 시작해서 윤부쪽으로 박리해서 들어오는 것이기 때문에, 조작이 쉽지 않기에, 잘못하면 결막을 찢을수 있습니다.

 

Limbal based conjunctival flap

 

 

또한 일차 수술 보다 재수술인 경우에 더 자주 재발합니다.

 

이는 첫수술당시 발생한 결막 반흔이나, 결막과 테논낭의 유착 등으로 인해 해당부위 주변에서 결막에 구멍이 나게됩니다.

 

 

수술 도중 단추구멍이 발생하더라도 바로 교정하려고 하지말고 ,

 

우선 하던수술을 마무리 짓고 수술이 끝나고 난뒤에, 단추구멍(button hole)만 따로 교정해주는 것이 유리합니다.

 

결막을 조작하던중 발생한 결막 단추구멍

 

 

작은 구멍은 그냥 놔두어도 자연적으로 막히는 경우가 많고,

 

치료용 콘택트렌즈를 삽입해두는 것만으로도 막힙니다.

 

 

 

큰 구멍이 발생한 경우에는 봉합을 통해서 구멍을 메꾸어주어야 합니다.

 

결막에 발생한 단추구멍이 윤부에서 떨어져 있고, 결막편의 한가운데 있는 경우에는 조직의 안쪽면에서 단추구멍을 꼬매어 폐쇄시키는 방식으로 치료하게되고,

 

결막의 안쪽면 undersurface 에서 봉합해줌.

 

 

단추구멍이 윤부가까이에 있는 경우에는, 결막 윤부주위에서 매트리스 봉합(mattress suture)을 통해서 치료해줍니다.

 

윤부근처에서 매트리스봉합

 

 

단추구멍의 절개면이 선모양으로 길게 나있는 경우, 단추구멍 아래의 방수누출이 있는 경우에는,

 

매트리스 봉합이나, 8자 모양 봉합으로 단추구멍을 폐쇄시킵니다.

 

매트리스 봉합이나 8자 봉합으로 결막단추구멍을 봉합

 

 

   

 

안구주위 및 안구내 출혈

 

결막편을 만들 때 결막 및 상공막조직의 혈관에서 출혈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결막편을 만들때의 출혈은 추후 여과포 반흔이나, 여과실패를 초래할수 있어, 지혈이 매우 중요합니다.

 

결막하출혈

 

 

 

결막편을 만들고 난뒤 그 아래에서 공막절편(scleral flap)을 만들 때, 12시 방향 근처에서 공막을 박리하다보면, 앞섬모체혈관(Anterior ciliary a.)에서 출혈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앞섬모체혈관, anterior ciliary artery

 

공막절편을 만들대의 이러한 출혈은 그 출혈을 일으키는 혈관이 명확하게 보이면, 해당혈관을 정확하게 잡아서 출혈을 멈출수 있습니다.

 

출혈이 되는 혈관을 잡아서 지혈

 

만약 출혈을 일으킨 혈관의 기시부가 보이지 않는 경우, 1:1000 epinephrine을 한두방을 떨어뜨려서 지혈할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공막절편(sclerla flap)을 만든뒤, 공막에 절개를 시행할 때, 공막돌기(scleral spur)보다 뒤쪽으로 절개되면, 대홍채동맥륜(circulus arteriosus iridis major)이 손상될수 있습니다.

 

대홍채동맥륜, Circulus arteriosus iridis major

 

이는 홍채에있는 큰 혈관으로 전방출혈로 이어집니다.

 

이때는 BSS를 이용해서 전방을 계속 세척하여 출혈을 씻어내주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홍채절제술을 시행할 때 홍채를 많이 잡아당긴상태에서 자르게되면,

 

섬모체 부분이 같이 딸려와서 잘리면서, 섬모체 돌기에서 출혈이 발생하여, 맥락막 상강 출혈(suprachoroidal hmr)이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맥락막 상강출혈, suprachoroidal hmr

 

또한 섬모체 돌기의 손상으로 안압이 갑작스럽게 감소함으로, 큰 맥락막 혈관의 파괴로 인해 맥락막 상강출혈 혹은 맥락막내 출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는 갑작스럽게 심한 안통이 발생하게됩니다.

 

 

지금까지...

 

섬유주절제술(Trabeculectomy)의 수술중 합병증 : 결막단추구멍, 출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