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아 면역학

만성 육아종 질환(CGD,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및 중성구감소증(neutropenia) – 식세포 이상증 면역저하질환

by 아그점빵 2025. 7. 19.
반응형

선천성 면역기능의 이상중에서 식세포 기능 이상으로 인한 면역결핍 중 

대표적인 두 질환은 바로 만성 육아종 질환(CGD)과 중성구감소증(Neutropenia)입니다.

앞서 이야기한 체디악히가시 증후군에서와 마찬가지로 두 질환은 모두 세균 감염이 반복되지만, 

기전과 치료는 매우 다릅니다.


먼저 만성 육아종 질환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CGD) 입니다.

만성 육아종 질환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CGD)은, 

식세포가 미생물을 탐식은 하나, 살해 능력(NADPH oxidase)이 결여된 질환입니다.

 

식세포 작용에서 중요한 살해기능인 NADPH oxidase 의 결여로 인한 CGD 발생

 




림프구 상태에서 B세포, T세포의 기능은 정상이지만, 

NADPH oxidase 효소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대부분 X-linked 열성(XR)으로 유전되는

 NADPH oxidase 유전자 결손으로 발생하며, 

Catalase 양성 세균인 S. aureus, Serratia, Klebsiella 등의 감염에 취약한것이 특징입니다.

 

CGD에서 발생할수 있는 흔한 세균감염종류들

 




또한 곰팡이, Pseudomonas 등 흔하지 않은 질환에 대한 감염, 즉 기회감염이 발생합니다.

 

CGD에서 발생할수 있는 흔하지 않은 곰팡이 감염 종류들

.


이러한 반복 감염에 의해서  육아종(granuloma) 형성이 만성적으로 발생한다고하여

질환명이, 만성육아종 질환 이되며,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fistula, 폐 섬유화, 장 협착 등 만성 염증성 특징을 보이는것이 특징입니다.

 

식세포 작용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되면, 이물질이나 세균, 곰팡이를 바로 제거할수 있게되지만, 

 

식세포 작용의 기능 저하로 인해, 이물질, 세균, 곰팡이 들을 염증 세포들이 둘러싸면서 격리시키기만 하기 때문에, 

 

이때 육아종성 반응이 일어나 육아종이 발생합니다.

 

육아종은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것이 아니라, 정상 조직으로 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염증반응의 일종입니다.

 

체내에 들어온 이물질, 세균에 대한 식세포작용이안되기때문에 육아종이 발생하여 이물질을 격리시킴
CGD 에서 발생하는 여러 증상들

 


진단은, 
NBT test (Nitroblue tetrazolium)나 

 

NBT test (Nitroblue tetrazolium)




DHR test (Dihydrorhodamine)로 시행하는데 DHR test 가 더 민감합니다.

 

DHR test (Dihydrorhodamine)

 




치료는, 

골수이식(BMT)이 근본적 치료이며, 

경우에 따라서, 항생제와 스테로이드사용이 치료입니다.

 

 



다음으로 중성구감소증 (Neutropenia)입니다.

이는, 문자그대로, 말초혈액의 중성구(호중구, neutrophil) 수 감소를 보이는 상태로, 

절대적인 혈액내 중성구 절대수 , Absolute neutrophile count, ANC 를 측정하는데, 

ANC < 1,500/mm³ 를 중성구 감소증 혹은 호중구 감소증이라고 진단합니다


이중  ANC < 500/mm³ 이면, 그 심각도가 높아져서, 중증(severe) neutropenia로 진단합니다.

 

정상적인 호중구 숫자가 부족한 호중구감소증, Neutropenia



선천성, 약물, 자가면역, 바이러스 감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게되는데, 

일반 세균 감염이더라도 호중구 감소증이 있는 경우에는 회복이 안되며,

반복되는 감염 및 궤양성 병변이 발생합니다.


보통, 감염이 빈번하게발생하는 지역에서 병변이 발생하여, 

구강 점막 궤양
항문 주위 감염
치주염, 피부 감염 
이러한 질환들이 호발합니다.

호중구 감소증에서 발생하는 감염 형태들


치료는,

광범위 항생제사용이며, 

G-CSF (호중구 증식인자)를 병용하는데, 항생제와 함께 사용 시 효과적입니다



정리하면, CGD는 식세포는 정상적으로 존재하나, 식세포의 기능이 “살균 불능”이며,

말하자면, 싸울 수 있는 병사는 있으나 무기가 없는 상태입니다.

Neutropenia는 식세포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중구자체의 수가 부족한 상태입니다.

즉, 호중구 감소증은  애초에 병사가 부족한 상태입니다.


CGD는 유전적 요인이 뚜렷하며, 육아종 형성과 만성염증이 동반되며,

 반복되는 감염 + 장기 섬유화 + fistula 등을 특징으로 하며,

Neutropenia는 궤양, 급성감염, 호중구 수치로 진단하게되며, 

G-CSF를 항생제와 병용하여 호중구 수 회복을 유도할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식세포 이상증에 대한 정리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