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아 혈액질환

호지킨 림프종 (Hodgkin lymphoma) – 림프절에 발생한 암

by 아그점빵 2025. 9. 3.
반응형


호지킨 림프종은 Reed-Sternberg 세포가 병리적 특징인 대표적 림프종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지만, 

소아·청년층에서 중요한 종양으로 반드시 감별해야 하는 질환입니다.

 

림포마 = 림프종 = 림프절에 발생한 암



호지킨림프종은 우리나라에서는 비호지킨 림프종(NHL)보다 발생이 적ㅎ습니다.

호지킨 림프종 (HL)의 호발 연령은 15~34세, 그리고 50세 전후로 두 번의 peak를 보입니다

흔한 초기 소견은 무통성 경부 림프절 종대입니다.

 

림프절의 비대가 가장 흔함





대개 국소적으로 시작해서 단계적 전이를 보이는데, 

이런 과정에서 전신 증상 (B symptoms)이 나타납니다.

대개  발열 (원인불명), 야간 발한, 체중 감소 (6개월 내 10% 이상)이 나타나며, 

림프절 종대 + 전신 증상(B증상)이 동반되면 반드시 림프종 감별이 필요합니다.



Reed-Sternberg 세포라는것은 

호지킨 림프종의 진단적 지표로서 

현미경에서 “owl’s eye” 모양의 거대세포를 보입니다.

 

Reed-Sternberg 세포

 



Reed-Sternberg 세포

 

 




조직학적 아형이 예후에 중요한데, 

Lymphocyte predominant 형태는 RS cell이 드물고 림프구가 많은 현태로  10~20%를 차지하는 예후가 좋은 형태입니다.

Nodular sclerosis는  가장 흔한 형태로  약 50%를 차지하며 역시 예후가 양호합니다.

Mixed cellularity에서는 RS cell이 많이 보이며, 40~50%로 2번째로 흔합니다.

Lymphocyte depletion형태는 림프구가 거의 없으며, RS cell이 많은 형태로 <10%이지만, 예후가 가장 나쁩니다.

 

RS cell 과 호지킨 림프종




즉, 림프구 ↑, RS cell ↓ 이면 예후가 좋으며,

림프구 ↓, RS cell ↑ 이면 예후가 나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