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이식편대숙주반응, 이식편대 숙주질환, 이식편대숙주병(GVHD)의 안과 영역, 눈 침범

by 아그점빵 2018. 3. 23.
반응형

조혈모세포 이식술은..


골수부전, 백혈병 혈액종양 질환들의 일차 치료


선택되는 치료법중의 하나입니다.



최근에는 많은 발전으로, 악성종양, 자가면석성질환, 골수부전, 선천성 대사이상증 등까지..


점점 그 적응증이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조혈모세포 이식의 과정 - 대한의학회조혈모세포 이식의 과정 - 대한의학회



   


조혈모세포이식의 종류는...


공여자(donor)에 따라서 동종이식술과, 자가 이식술로 나뉠수 있으며, 


동종조혈모세포이식 - Augusta Univ.동종조혈모세포이식 - Augusta Univ.자가조혈모세포이식 - Augusta Univ.자가조혈모세포이식 - Augusta Univ.



이식원에 따라서 골수, 말초혈, 제대혈 등으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이식원에 따른 조혈 모세포 이식의 분류 - 대한의학회이식원에 따른 조혈 모세포 이식의 분류 - 대한의학회



이중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술의 경우, 공여자의 T 림프구 로 인해서 발생할수 있는


이식편대백혈병 (graft versus leukemia)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즉, 환자의 몸속으로 이식된  깨끗한 공여자의 T 림프구(이식편, graft)가,   환자의 몸에 있는 백혈병 세포들(백혈병, leukemia)을 공격하는 것으로 


문자그대로 이식편 vs 백혈병의 싸움으로  백혈병 세포들을 치료하여 조혈 모세포의 생착에 유리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이는 심각한 합병증인 이식편대숙주질환 (graft versus host disease)의 발생과 밀접한 연관을 가집니다.


문자그대로  이식편 (graft) vs 숙주 (host, 환자의 몸) 싸움을 이야기 하는 것으로, 


환자의 몸속으로 이식된  깨끗한 공야자의 T 림프구 (이식편, graft)가,  백혈병 세포만 죽이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몸 (숙주, host)을 공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식된 혈액이 환자를 공격하는 GVHD - PeopleBeatingCancer이식된 혈액이 환자를 공격하는 GVHD - PeopleBeatingCancer



 


<이식편 대 숙주 질환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이식편 (Graft) vs. 숙주 (Host) 의 질환은,  국내 용어로, 


이식편대숙주질환, 이식편대숙주병, 이식편대숙주반응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됩니다.


영어로는 Graft Versus Host Disease 로 앞글자를 따서 GVHD 라고 표현하게 됩니다.



이식편대숙주질환 (GVHD)는...  조혈모세포 이식후 발생하는 시기에 따라서..

  1. 100일내에 발생하는 경우를 급성 GVHD (acute GVHD)

  2. 그 이후에 발상해는 경우를 만성 GVHD (chronic GVHD)


이렇게 나뉩니다.


GVHD 에서 나타나는 피부 소견들 - Plastic Surgery KeyGVHD 에서 나타나는 피부 소견들 - Plastic Surgery KeyGVHD 에서 나타나는 피부 소견들 JAMA Dermatol. 2016;152(3):356.GVHD 에서 나타나는 피부 소견들 JAMA Dermatol. 2016;152(3):356.



최근에는, 시기에 관계없이 급성이나 만성형이 모두 발생할수 있음이 알려져, 새로운 분류가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안구 이식편대숙주반응 (Ocular GVHD)>


안과영역에서 이식편대숙주병(GVHD)의 증상은 역시 모든 시기에서 발생할수 있는데, 


만성기 GVHD에서 흔하고  전체 이식편대 숙주병 환자의 40 % ~ 90% 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급성기의 acute GVHD 가 전신에 나타날때, 눈을 침범하게된다면


스티븐슨 존슨 증후군이나, 독성표피괴사용해 (Toxic Epidermal Necrolysis)에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소견을 보입니다.


하지만 동종조혈모세포 이식술 100일 이내에 눈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대개 드뭅니다.



대부분은 조혈모세포이식 100일 이후인 만성기의 chronic GVHD 를 겪고 있을때..  눈침범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조혈모세포 이식 이후 환자의 몸속으로 이식된  깨끗한 T 림프구 (T-lymphocyte)가   


환자의 눈을 적으로 여기고 공격하는 것으로, 


눈꺼풀에서 부터 시신경에 이르기까지 안구의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수 있으며,


그중  각막, 결막, 눈꺼풀, 눈물샘을 포함한  안구 표면의 질환이 가장 빈번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까지...


이식편대숙주반응, 이식편대 숙주질환, 이식편대숙주병(GVHD)의 안과 영역, 눈 침범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눈에서 나타나는 안구 이식편대 숙주 질환 (Ocular Graft-Versus-Host Disease, Ocular GVHD)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