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아 신장요로질환

신요로 질환 – 검사 심화 정리

by 아그점빵 2025. 9. 8.
반응형



이번에는 Ccr(크레아티닌 청소율), 소변 색깔의 의미, 단백뇨에 대해 살펴봅니다.


Creatinine Clearance (Ccr) 는 GFR 추정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

신장기능평가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장기능 감소로 인해 GFR이 감소 시 → 혈중 Cr 수치가 상승하게되고 → 이는 Ccr 크레아티닌의 청소율이 감소하게됩니다.

Ccr :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혈중 크레아티닌이 소변으로 얼마나 빠져나가면서 없어지는지에 대한 수치입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혈청속의 크레아타닌 대비 소변의 크레아티닌의 비율을 통하여, 

얼마나 크레아티닌이 신장을 통해서 제거되는지를 보는것입니다. ​

Ucr: 소변 크레아티닌 농도

V: 소변량 (ml/min)

Pcr: 혈청 크레아티닌



소변 색깔의 임상적 의미는

 

 

소변색깔의 의미


붉은색을 띄는 경우 혈뇨, Hb뇨, Myoglobinuria, Porphyria 등으로 섭취한 약물이나 식품은 Aminopyrine, Phenolphthalein, 비트채소과 관련있습니다.

검은색을 띄는 경우 Alkaptonuria, Methemoglobinemia에 해당하며 Aniline, Resorcinol 등의 약물섭취와 관련 있습니다.

녹색을 띄는 경우 Blue diaper syndrome가 가능성 있으며, 선천 대사 이상과 관련있습니다.

 

Blue diaper syndrome

 




흰색을 띄는 경우 유미뇨(Chyluria)라고 하며,  우유빛깔의 소변이나오는것으로 방광과 림프관사이의 누공때문에 발생할수 있습니다.

 

유미뇨(Chyluria)

 



 

단백뇨가 발생하는 경우

Dipstick test에서 측정할수있습니다.

 

Dipstick test





단 위양성으로 나오는 경우는  고농도뇨, 알칼리뇨(pH>8)로 실제 단백뇨가 아님에도 단백뇨로 오인될수 있습니다.

위음성으로 나오는 경우는,  면역글로불린 light chain(Bence Jones 단백 등) 등의 단백질로 인한 단백뇨의 경우입니다.



SSA(Sulfosalicylic acid) test 는 쉽고 간편하게 소변에 단백뇨가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SSA(Sulfosalicylic acid) test




조영제, Penicillin 등 약물 영향 등으로 위양성이 나올수 있으므로 유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소아 신장요로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요로 질환 – 임상적 평가와 검사  (0) 2025.09.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