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아 신장요로질환

알포트 증후군 (Alport syndrome) 증상 치료 원인 유전자

by 아그점빵 2025. 9. 14.
반응형

알포트 증후군은 대표적인 유전성 사구체신염으로, 

혈뇨 + 청력 이상 + 안과적 이상이 동반되는 점이 특징입니다. 

진행성 사구체신염으로 만성 신부전으로 이행할 수 있어 좋지 못한 예후를 보입니다.

 

 



알포트 증후군은 기본적으로 유전질환입니다.

가장 흔한 형태이 유전은 X-연관 우성(X-linked dominant, 85~90%)유전입니다.

이의 원인은 COL4A5 유전자(제 IV형 콜라겐 α5 사슬) 돌연변이 입니다.


간혹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COL4A3 또는 COL4A4 돌연변이와 관련있습니다.


드물게 가족력이 없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유전형태에 따른 유전자변이의 이상 및 신장기능 이상의 가능성




제 IV형 콜라겐은 사구체 기저막(GBM)과 같은 basal lamina 구성에 중요한 단백질 인데,,

여기에 변이 발생 시 GBM 구조 이상으로 인해 사구체기저막의 손상으로 인한 혈뇨 발생이 발생하고, 

안과적인 이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임상 증상은 신장, 청력, 안과 이상 으로 구성됩니다.

 

알포트 증후군의 증상





신장 증상은 

처음에는 무증상 혈뇨로 시작 → 점차 단백뇨 동반 →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게됩니다.



일부는 평균 20세 이전 만성신부전(ESRD, end-stage renal disease) 으로 빠지게되고

일부는 서서히 진행해 40세 전후 ESRD 에 빠지게됩니다.

 

혈뇨 단백뇨 만성신부전으로 이어지는 알포트 증후군




신장 외 증상으로는, 이비인후과 문제와 안과문제입니다.

난청이 약 50% (감각신경성)에서 동반됩니다.

안과적 이상은 15~30%로 전방 원추 수정체, 망막 이상으로 수정체 및 망막의 이상이 발생합니다.

 

전방원추수정체




귀와 눈의 이상은 주로 10세 이후 드물게 더 일찍 발현하기도 합니다.

X-연관형으로 남아가 훨씬 더 심하게 발병하게됩니다.



신생검 소견은

EM (전자현미경)에서 Basket-weave pattern → 불규칙하게 두꺼워진 사구체 기저막 이 관찰되며

IF (면역형광)에서 제 IV형 콜라겐 발현 소실 소견이 보입니다.

피부 생검에서 X-linked Alport syndrome에서 α5 콜라겐 결손이확인됩니다.




치료로는 특이적 치료법이 없는게 현실입니다.


X-linked에서 남자는 대부분 ESRD로 진행하기 때문에 예후가 매우 나쁘녀,

여성 보인자에서는 혈뇨·단백뇨는 있으나 신부전 진행은 드뭅니다.

상염색체 열성형은 남녀 모두 예후가 불량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