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요관역류 (Vesicoureteral reflux, VUR)는
방광에있는 소변이 요관을 타고 신장으로 역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VUR 은 소아 전체의 약 1% 에서 발생하는데,
요로감염이 있는 소아의 약 1/3에서 발견되어, 요로감염의 주요한 원인이 됩니다.
가족력이 발견되는데,
어머니에게 역류가 있는 경우 → 출산아의 약 50%에서 역류가 발생하며
형제 중 환아가 있는 경우 → 약 35%에서 발생할정도로
가족력이 흔합니다.
VUR 의 일반성 원인은 가장 흔한 기전은
요관과 방광의 길이가 짧거나 없어져서,
또는 배뇨근이 약화되어 방광 수축 시 요관 입구가 완전히 닫히지 않아 역류 발생하는 것입니다.
속발성 원인은 다른원인에 의한 2차적인 역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지속적 요인으로는 상부 요로의 선천 기형, 하부 요로 폐쇄, 신경성 방광 등이 가능하며,
일시적 요인으로는 요로감염이후 발생하는 것입니다.
방광요관역류의 합병증은 요로감염과 그 합병증입니다.
방광요관 역류는 요로감염 위험을 높이게되는데
특히 반복되는 역류와 감염은 신장에 염증을 일으키고, 이는 신장 흉터(scar)를 형성하여, 신 위축이 발생합니다.
특히 5세까지 신 손상이 잘 발생하게됩니다.
또한 신장손상은 신장에잇는 혈압 조절 메커니즘에 영향을 주어,
소아 고혈압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가 됩니다.
배뇨요도방광조영술(VCUG)이 표준 검사로, 역류 여부와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아 80%에서는 주로 요로감염 검사 중 발견되게되며,
남아 80%는 수신증 [hydronephrosis] 검사 중 발견됩니다.
역류의 정도에 따라 Grading이 나뉘는데
Grade I: 요관까지만 역류
Grade II: 신우까지 역류, 요관 확장 없음
Grade III: 신우·요관의 확장 동반
Grade IV: 신배(calyceal fornix) blunting 동반
Grade V: Grade IV보다 심하고, 요관의 kinking 동반
방광 역류의 치료는 신장 손상 및 합병증 예방, 신기능 보존을 목적으로 합니다.
내과적 치료는 역류의 자연 소실 가능성과 합병증 예방을 위해시행하며
초기 치료로 항생제 예방 요법을 시행합니다.
수술적 치료는
반복적인 요로 감염
호전되지 않는 역류
Grade IV 또는 V의 고위험 역류
이러한 경우 개복 수술 적응증이 됩니다.
'소아 신장요로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석(Urolithiasis) & 고칼슘뇨증(Hypercalciuria) (0) | 2025.09.16 |
---|---|
소아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s, UTI) (0) | 2025.09.15 |
용혈성 요독 증후군 (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 검사 소견, 진단, 치료, 예후 (0) | 2025.09.15 |
용혈성 요독 증후군 (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설사이후 발생하는 신장손상 (1) | 2025.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