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아 내분비질환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성장호르몬 결핍증)

by 아그점빵 2025. 9. 21.
반응형

뇌하수체 기능저하로 인해나 성장호르몬 결핍증

2차성 성장장애의 한 유형입니다.

 

뇌하수체 기능저하




1차성 성장장애의 가장 흔한 원인은 가족성 저신장으로 유전적으로 부모와 자녀의 키가 작음것입니다.


2차성 성장장애는 외부요인에 의한 성장장애로, 

가장흔한 원인은 체질성(특발성) 성장 지연으로, 원인 모를 이유로, 성장이 늦게 일어나는 지연 delay 입니다.


성장호르몬 결핍은 뇌하수체 이상으로 인해 성장호르몬 분비가 안되면서, 

성장이 떨어지는것입니다.

 

이는 2차성 성장장애의 일종입니다.

 

뇌하수체 기능이상으로 인한 2차성 성장장애




성장호르몬 결핍증 의심 소견은, 

전체적인 신체 균형이 유지된 저신장이면서,

연령 대비 평균 신장이  < -2SD, 즉 백분위수로 하였을때 앞에서 3번째 인경우에 해당됩니다.

 

성장호르몬 결핍증  growth hormone defect

 




성장 속도는 

3세 이하에서 < 7cm/년 

3세 ~ 사춘기: < 4~5cm/년

사춘기 동안: < 5.5~6.0cm/년

이런 성장속도를 보입니다.


골연령 감소 (2차성 성장장애)소견이 보입니다.


동반 소견으로는,

소아암 환자

미세안면증(micrognathia)

저혈당

두개강 내 출혈, 뇌손상, 뇌종양, 저신소증 등 병력 등이 있을때 

이러한 조건에서 성장 속도가 감소하거나 멈출 때 의심하게됩니다.




기본 검사는 IGF-1 농도를 측정하는데, 감소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변화 심하여 단독 진단가치는 낮습니다.


성장호르몬 자극검사라하여, 여러 자극검사에서 GH(성장호르몬) 최고 반응치가 7~10 ng/mL 미만인 경우 결핍을 진단합니다.


검사 종류에는 

L-dopa 검사
Arginine 검사
인슐린 유발 저혈당 검사
Glucagon 검사
Clonidine 검사

다양한 검사방법이 있습니다.

 

뇌하수체 기능저하에서 동반될수 있는 이상들

 




기타 동반된 뇌하수체 기능이상을 보기위해 TSH, ACTH, LH/FSH, Prolactin 농도 를 측정할수 있으며,

뇌 MRI 등으로 구조적 이상 까지 확인하게됩니다.

 

뇌하수체 저하증에서 동반될수 있는 호르몬의 부족들

 





치료는 성장호르몬 투여 입니다.

반응형

'소아 내분비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장장애와 저신장  (0) 2025.09.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