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250

사상진균에 의한 진균(곰팡이) 각막염(fungal keratitis, fungal corneal ulcer)의 특징, 임상양상 앞선 포스팅을 통해서... 진균(곰팡이) 각막염의 분류와 위험인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진균 각막염, 곰팡이 각막염(fungal keratitis, fungal corneal ulcer)의 분류와 위험인자 진균은 사상진균 (filamentary fungus)과 효모(yeast)로 나뉩니다. 흔히.. 진균(곰팡이)에 의한 각막염, 각막궤양으로 알려진 여러가지 특징들은... 사상진균(filamentary fungus)의 특징들로... 곰팡이 각막염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균주라고 할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바로 이 사상진균(filamentary fungus)에 의한 곰팡이 각막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상진균(filamentary fungus)에 의한 진균.. 2017. 12. 13.
진균 각막염의 외과적 치료, 수술적 치료 : 괴사조직 제거, 각막 절제술과 각막 이식수술 내과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각막염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외과적인 치료를 고려해야만 합니다. 진균 각막염의 1/3 에서 내과적 치료가 실패하고, 각막 천공이 발생한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항진균제(anti-fungal) 에 반응이 없는 경우, 적절한 시기를 놓치지 않고 수술적 치료로 전환하는 것이, 진균 각막염의 완치 가능성을 높일수 있습니다. 괴사조직 제거표층 각막 절제술 혹은 층판 각막절제술 및 결막판심층 각막 절제술전층 각막 이식수술 1. 괴사조직 제거 (Corneal debridement) 농축된 농양을 제거하고, 약제의 각막 투과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치료 초기에, 괴사조직과 표재성으로 위치하는 진균을 용이하게 제거할수 있어서 매일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표층 각막 절제술 (s.. 2017. 12. 13.
진균 각막염의 내과적 치료 : 항진균제 사용 : 암포테리신, 나타마이신(나타신), 보리코나졸 세균성 각막염에서는 항-세균제 (anti-bacterial) 안약을 사용하듯이..(항세균제를 흔히 항생제(antibiotics)라고 부릅니다) 진균성 각막염에서는 항-진균제 (anti-fungal) 안약을 사용해야합니다. 현재 진균각막염에 사용되고 있는 항진균제 약물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Polyene 계열이며 다른 하나는 Azole 계열입니다 Polyene 계열의 항진균제 Large polyene (라지 폴리엔) Large polyene 계열의 항진균제는 세포막에 원형의 통로를 형성하여, KCl과 다른 이온의 자유로운 통과를 유발하여, 진균 세포의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하게 하여, 진균을 죽이는 효과를 가집니다. 하지만, 살균효과는 진균의 삼투압, 전해질 조절에 의해서 차단되거나,.. 2017. 12. 13.
진균 각막염의 진단을 위한 배양 검사(culture)와 배지(agar)의 종류, 대표적인 진균의 배양 검사 결과 이전 포스팅을 통해서... 세균각막염에서의 배양검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세균 각막염 (각막궤양)의 진단 : 각막 찰과검사, 생검, 도말검사, 배양검사 세균 각막염의 경우... 기본적으로 3가지 검사혈액배지 (blood agar)초콜릿배지 (chocolate agar)액체 배지 (thioglycollate broth)이를 기본으로 하고... 진균이 의심되는 경우, 진균배지를NTM 이 의심되는 경우 Agar slant를혐기성 균이 의심되는 경우 혐기성 배지를아칸트아메바 감염이 의심되면 대장균을 도포한 무영양 배지를..추가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기본적인 배지인 혈액배지에서도... 대부분의 호기성세균, 진균, 아메바 들이 모두 자랄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상진.. 2017. 12. 13.
진균 각막염의 각막 찰과 검사와, 도말검사, 염색 검사 : 원인 균사의 동정 항생제(antibiotics)라고 불리는 약들은, 보통 항세균제(anti-bacterial) 로, 세균에는 효과가 있으나, 진균(곰팡이)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반대로, 진균에 듣는약들은 항-진균제(anti-fungal)라고 불리며, 세균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물론, 비가목스와 같은 일부 항세균제는 진균에 효과가 있다고는 하지만.. 일부의 이야기입니다. (참조 : [링크]) 따라서, 각막염환자에서, 이 원인이 세균인지, 진균인지를 감별해 내는것이 초기 치료 약제를 선택하는데 중요할 것입니다. 사상진균에 의한 진균각막염의 경우, 그 임상 양상이 워낙 특징적이라서, 임상적인 진단만으로도, 곰팡이에 의한 감염임을 알수 있습니다. (참조 : [링크])하지만, 효모에 의한 각막염의 경우, 세균에 의한 각막염과 양상.. 2017. 12. 13.
진균 각막염, 곰팡이 각막염(fungal keratitis, fungal corneal ulcer)의 분류와 위험인자 진균각막염, 곰팡이 각막염(fungal keratitis)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실명원인의 하나로서, 국민의 보건증진을 위해서는 심각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진균각막염의 보고는 최근 현저히 증가되고 있는데, 이는 진균동정법의 발전에 따른 영향도 있겠지만 안질환시 항생제와 스테로이드 제재의 사용이 증가되었기 때문입니다. 진균각막염은 각막외상의 경우뿐만 아니라 면역력이 감퇴된 각막에서도 흔히 발생합니다. 진균각막염은 임상적으로 다른 감염성 각막염과의 감별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흔하며, 각막의 심층부까지 침투된 경우가 많아서 각막찰과에 의한 균배양률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항진균제의 점안시 치유율도 현저히낮은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각막천공이나 안내염이 발생하여 눈을 희생시켜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됩니다... 2017. 12. 13.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에 의한 유행성각결막염(EKC), 인후 결막염 (PCF), 단순결막염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는... 사람, 소, 돼지, 개 등에서 발견되지만, 서로 다른 종간에서는 교차 감염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에 의한 눈 감염은...유행성 각결막염(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EKC)인후결막염(Pharyngoconjunctival fever, PCF)비특이적 여포 결막염(Simple follicular conjunctivitis)이러한 형태로 발생할수 있으며... 사람에서만 일어나고, 동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눈감염은... 국내에서는 여름에 수영장 사용과관련해서 많이 발생하지만, 연중 어느때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는... 외피가 없는 .. 2017. 12. 13.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와 아폴로 눈병, 급성 출혈결막염(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AHC) 급성 출혈성 결막염(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AHC)은... 흔히 아폴로 눈병이라고도 불리는 말그대로 "눈병"입니다. 흔히.. 결막염과 눈병의 차이가 무엇이냐 라는 질문을 받으면...눈이 빨개지고(충혈)눈곱이 끼고,눈물이 나는것이러한 3대 증상이 있으면, 결막염(conjunctivitis)이라고 이야기하고, 결막염 중에서....눈이 빨갛고, 눈곱끼고, 눈물나는 것이 심하고, 아침에 일어나서 눈이 달라붙어 있고, 한쪽눈에 먼저 발생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반대편눈에 발생하고안약을 사용하더라도 호전이 없고, 시간이 갈수록 더욱 심해지면..눈병이라고 이야기를 하고, 전염성이 있다고 설명을 하곤 합니다. 대표적인 눈병이 유행성 각결막염(Epidemic keratoconjunct.. 2017. 12. 13.
안과 영역에서의 과민 반응 (Hypersensitivity)과 알러지 반응(Allergy reaction) 과민반응(hypersensitivity)라는 것은... 인체는... 병원체에 대해서는 면역 반응이 일어나서 균을 사멸하고, 비병원체(알레르겐)에 대해서는 면역 관용이 생기는 것이 일반적인데... 비병원체에 대해서 면역 관용이 아니라, 과도한 면역 반응이 일어나서 인체에 해를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재 과민반응의 발생기전에 대한 분류는 1963년 Gell 과 Coombs 가 제안한 이후로 자용되고 있는 분류체계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I, II, III 형은... 항체가 관여하는 체액성(humoral) 면역 반응이고, 이중 I 형과, II 형은 세포표면에서 반응이 일어나고, III 형은 세포외액에서 일어납니다. IV 형은 주로 T 세포와 대식세포(macrophage)가 관여하는 세포매개(cell media.. 2017.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