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아 혈액질환11

소아청소년 철결핍성 빈혈 (IDA, iron deficiency anemia) 원인 나이 철섭취부족, 모유수유 우유, 출혈 조산 미숙아 철결핍성 빈혈(IDA, iron deficiency anemia)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미세적혈구 저색소성 빈혈로, 이유식 시기 지연, 우유 과다섭취, 급성장기 수요 증가 등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서 발생할수 있는 만큼 성장 발달과 영양 패턴의 영향을 감안해야합니다. IDA의 원인은 철 저장 부족, 철 섭취 부족, 철 수요 증가, 실혈 등 총 4가지로 나뉩니다. 1) 출생 시 철 저장량 부족 임신 3기 후반에 태아의 신체에 철 저장이 증가하게되는데, 조산아의 경우는 빨리 태어나기 때문에, 조산 시 철 저장량이 부족합니다 쌍둥이는 모체 철분을 나누어서 사용하기에, 정상에 비해서 철 저장량이 부족하게됩니다. 분만 시 출혈이 발생한 경우, 즉 태반 손상, 탯줄 출혈, twin-to-twin .. 2025. 7. 25.
신생아 생리적 빈혈 수치 원인 치료방법 정상 빈혈 수치 소아에서의 빈혈은 소아청소년기 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모든 빈혈이 병적 상태는 아닙니다. 특히 생후 2~3 개월경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생리적 빈혈(physiologic anemia)은 병이 아닌 정상 발달의 일부이므로 불필요한 치료는 피해야 합니다. 특히 생후 3~6개월 사이 혈색소가 9.5g/dL까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 시기의 일시적인 빈혈은 대부분 생리적빈혈입니다. 소아에서의 빈혈을 진단하기 위한 , 각각의 나이별 혈색소 (Hb) 수치와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대혈≥ 13.5≥ 421개월≥ 10.0≥ 313~6개월≥ 9.5≥ 296개월~2세≥ 10.5≥ 336~12세≥ 11.5≥ 35 이 수치 보다 낮으면 빈혈이라 진단하게 됩니다. 생리적 빈혈 (Phys.. 2025. 7.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