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성(노년성) 황반변성, 나이관련(연령관련) 황반변성,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AMD, ARMD)의 역학, 위험인자, 유전, 분류
흔히 황반변성 이라고 알려진 이 질환의 정식명칭은... 과거 용어로는 노인성 황반변성 혹은 노년성 황반변성, 최근 용어로는 나이관련 황반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영어로는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AMD, ARMD) 입니다. 나이관련 노년성 황반변성 (AMD)은.. 서구에서 노인인구의 실명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으로 알려졌으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인구의 급속한 노령화로 인하여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 입니다. 서양에서는 이미 약 200만 명의 환자에게 심각한 시력 저하와 실명을 일으켰고, 초기 황반변성(early AMD)까지 포함하면 약 700만 명이 이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2020년까지 후기 황반변성(advanced AMD) 환자는 그 수가 약 50%..
2018. 6. 4.
방사선 망막병증, 방사선 망막증, 방사선 치료 이후 발생한 시력 저하, Radiation Retinopathy
방사선 망막병증, 혹은 방사선 망막증이라불리는.. Radiation Retinopathy는.. 어떠한 형태의 방사선이든, 노출되고 난뒤 발생하는, 서서히 진행하는 폐색성 망막혈관 질환입니다. 즉, 방사선에 노출되고나서, 망막혈관에서 발생하는, 모세혈관 비관류 (capillary non-perfusion)와 이에 다른 신생혈관(NV, new vessel)의 발생, 그리고 이로부터의 누출(leakage)을 특징으로하는 질환입니다. 방사선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력 저하, 시력 감소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눈합병증은, 방사선 시신경증 (방사선 시신경 병증, radiation optic neuropathy, RON)과, 방사선 망막병증 (radiation retinopathy, RR) 입니다. 방사선 망막병증은.. ..
2018. 6. 3.
겸상 적혈구 망막 병증, 낫모양 적혈구 망막증, Sickle Cell Retinopathy, Sickle Retinopathy (SR)
앞선 포스팅을 통하여.. 겸상적혈구 빈혈, 낫모양 적혈구 빈혈 환자에서 발생할수 있는 안과적인 소견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망막] - 겸상 적혈구 혈색소 병증(겸상적혈구병증, Sickle cell disease)와 눈, 안과영역의 침범 낫모양의 형태를 보이는 비정상적인 적혈구들이, 서로 뭉침으로 인해 눈의 혈관들에서 혈관 폐색 (vascular obstruction)이 발생합니다. 눈에 있는 혈관들 중에서, 시력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망막 (retina)에 있는 혈관이며, 따라서 망막에 발생하는 망막증, 망막병증을... 겸상적혈구 망막병증낫모양 적혈구 망막증Sickle cell retinopathy이러한 용어를 이용하여, 따로 분류하여 살펴보게 됩니다. Stage..
2018. 6. 2.
겸상 적혈구 혈색소 병증(겸상적혈구병증, Sickle cell disease)와 눈, 안과영역의 침범
Sickle cell disease, Sickle cell hemoglobinopathySickle cell anemia낫적혈구병겸상 적혈구 병증겸상 적혈구 빈혈 이러한 다양한 용어로 불리는 이 질환은... 문자그대로 적혈구의 모양이 겸상, 즉 낫과 같은 모양, 초승달 모양으로 생김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대부분 아프리카계의 사람들에서 나타나는 유전성 악성 빈혈을 이야기합니다. 이는 유전적으로, 혈색소 구조에 이상이 있어 발생하는 것으로, 겸상 적혈구는 파괴되기 쉬우면서도 (용혈), 자기들끼리 뭉쳐서 혈관에서 혈전을 형성하여 혈관을 막을수(혈관 폐색) 있습니다. 즉, 적혈구 자체의 파괴로 인한 용혈성 빈혈 뿐 아니라, 혈전증으로 인한 혈관 폐쇄로 인해... 각종 장기와 조직에 혈액 순환에 장애가 생기게 됩..
2018. 6. 1.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와 안과, 눈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혹은 파종성 혈관내 응고..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는..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혈액응고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혈액응고가 과도하게 진행되는 상태로... 다발성의 혈전(피떡, blood clot)이 체내에 형성되어 각각의 장기로 하는 혈관을 막아, 장기에 미세순환 장애를 일으켜 여러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키며 동시에 혈소판, 혈액응고 인자들의 과소모를 초래하여 출혈을 일으키는 병적 상태를 말합니다. 즉, 혈전 생성으로 인한 장기의 혈액순환장애 와 응고인자의 과소모로 인한 출혈성 경향.. 두가지의 상반되는 상황이 동시에 발생하는 모순적인 상황으로 장기부전이나 출혈과 연관되어 사망률이 높은 질환입니다. DIC에서 안과적 임상 증상..
2018. 5. 31.
망막 대동맥류, Retinal Arterial Macroaneurysm, RAM 의 증상, 양상, 합병증, 치료
당뇨병성 망막 병증이나, 망막정맥폐쇄성 질환에서, 혈관에 작은, 미세한 동맥류(aneurysm)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망막미세동맥류, 혹은 망막미세꽈리(microaneurysm) 라고 부릅니다. 즉, 최대 크기가 100um, 즉 0.1mm 보다 작은 .. 매우 작은 크기의 혈관 동맥류 이기에, 혈관에서 발생하는 점상 출혈(dot hemorrhage)과 구분히 힘들정도입니다. 한편.. 망막대동맥류, retinal macroaneurysm 이란.. 문자그대로, 망막의 혈관에 발생하는.. 동맥류(aneurysm) 중에서 크기가 큰 동맥류입니다. 그대서 대동맥류(macroaneurysm)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대동맥은 최소 크기가 100 um, 즉 0.1mm 이상으로, 최대 크기는 250um, 즉 0.2..
2018.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