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40

범맥락막위축, choroideremia 의 임상양상, 증상, 검사소견 범맥락막위축, choroideremia 는 성염색체열성유전(x-linked recessive, XR)을 하며 특징적으로 망막색소상피위축과 맥락막혈관의 위축이 망막중간주변부에서 시작하여 점차 후극부로 진행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10대 ~ 20대에 야맹 등의 초기증상이 나타나고, 50대 ~ 60대까지 서서히 진행하는데, 병의 후반기에 이르러서도 중심시력은 유지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병의 초기나 중기에 시력저하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맥락막신생혈관이 매우 드물게 보고되기도 합니다. 범맥락막위축, choroideremia 의 임상양상 초기에는... 후극부와 적도부 여기저기에 망막색소상피(RPE)위축이 발생하고, 이에의한 2차적인 색소 침착으로 인해.. 소금과 후추를 뿌려놓은것과 같은 모양(salt & pepper.. 2018. 5. 12.
혈관무늬병증, 혈관 줄무늬 망막병증, angoid streak 의 원인, 동반질환, 증상, 검사소견, 치료 브루크막(bruch's membrane, bruch membrane)이란.. 망막과 맥락막의 경계에 해당되는 층입니다. 망막(retina)은 총 10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눈의 신경으로, 망막의 가장 바깥쪽에는 시세포(photoreceptor)와, 시세포의 생존과 기능에 도움을 주는 망막색소상피(RPE, retinal pigment epithelium)이 있습니다. 맥락막(choroid)은 망막을 둘러싸고 있는 두꺼운 혈관층으로.. 망막의 바깥쪽 층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망막의 가장 바깥층인... 망막색소상피층(retinal pigment epithelium,RPE)과... 맥락막의 가장 안쪽층인.. 맥락막모세혈관층(choriocapillaris)의 사이에는.. 브루크막이라는 구조가 있습니다... 2018. 5. 12.
CRVO, 망막중심정맥폐쇄의 관리 방법과.. 동반된 황반부종의 치료 망막중심정맥폐쇄, CRVO 는 당뇨망막병증과 함께 실명을 초래할 수 있는 대표적인 망막혈관질환으로 대부분 50세 이상에서 발생하며, 고혈압, 심혈관계질환, 당뇨와 잘 동반됩니다. 일반적으로 망막의 사분역 모두에서 망막출혈과 정맥계의 확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망막부종과 시신경 유두의 부종이 관찰됩니다. 시력의 저하가 심하게 나타나며 이는 망막 출혈, 망막 허혈, 황반부종에 의해 나타납니다. 이중, 시력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부위인 황반부에 발생한 망막 부종.. 즉, 황반부종 (Macular edema, ME)은 망막중심정맥폐쇄에서 시력저하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그리고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됩니다. 이번에는.. 망막중심정맥폐쇄(CRVO)의 전반적인 치료 방침과... 망막중심정맥폐쇄 에서 동반된 황반부.. 2018. 5. 12.
망막중심정맥폐쇄,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CRVO 의 임상양상, 증상, 분류(허혈성, 비허혈성), 신생혈관 발생 망막중심정맥폐쇄,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CRVO는 당뇨망막병증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망막혈관질환으로.. 고령에서 당뇨, 심혈관질환, 고혈압 등의 전신질환이나 혈전이 잘 생기는 혈액질환에서 동반되며, 망막부종, 망막출혈, 모세혈관 비관류, 신생혈관, 유리체출혈 등의 다양한 임상소견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망막중심정맥폐쇄(CRVO)의 정확한 병인에 대해서는 받아들여지는 정설은 없지만.. 망막분지정맥폐쇄(BRVO)에서와 마찬가지로... 망막의 동맥과 정맥은 공통외막초(common adventitial sheath)에 둘러싸여져 있는데 망막동맥에서 발생하는 동맥경화로 인하여, 동맥이 단단해지고 딱딱해지면, 상대적으로 혈관벽이 취약한 망막정맥이 짜부러지고 눌려서.. 2018. 5. 12.
망막분지정맥폐쇄, BRVO 에서 동반된 황반부종, ME 의 치료 방법 망막분지정맥폐쇄, BRVO는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은 질환으로 50-60%에서 치료 없이도 최종시력이 0.5 이상으로 유지됩니다. 하지만 심한 시력저하의 발생도 드물지 않는데 오래된 증상 발현 기간황반부를 침범하는 망막출혈황반부종(macular edema, ME)황반부 허혈(macular ischemia) 측부 순환의 발생(collateral circulation)신생혈관의 발생으로 인한 유리체출혈(vitreous hemorrhage)견인성 망막박리(tractional retinal detachment)이러한 요소들과 관련됩니다. 이 중 황반부종(ME)은 망막분지정맥폐쇄의 가장 흔한 시력저하의 원인으로 오랫동안 지속되면 황반부의 시세포의 미세혈관순환에 지장을주어, 시세포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가져와 시력 예.. 2018. 5. 11.
망막분지정맥폐쇄(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의 증상, 임상양상, 예후, 경과, 합병증 망막분지정맥폐쇄(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는...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DR, DMR)에 이어.. 성인에서 발생하는 두번째로 흔한 망막혈관질환입니다. 망막분지정맥폐쇄(BRVO)의 급성기에는 동맥-정맥 교차부가 막혀 분지정맥 영역에 망막출혈이 나타나고, 이때 동반된 황반부종이 시력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황반출혈이 흡수된 뒤의 만성기에는 황반허혈과 지속적인 황반부종, 유리체 출혈, 신생혈관녹내장 등이 원인이 되어 시력을 저하시킬수 있습니다.. 이 중 실제적으로 시력장애를 유발하는 대부분의 경우는 황반부종과 황반부 허혈이 원인이 됩니다. 망막분지 정맥폐쇄, BRVO란... 문자그대로 분지된 망막 정맥(branched retina.. 2018. 5. 11.
최신 안과 논문번역 : 수술하지 않은 안와골절(untreated blow out fracture)의 CT 소견, 안와의 골절된 뼈는 다시 붙을까? 사고로, 팔이나 다리의 뼈가 부러졌을 경우에는.. 부러진 뼈를 다시 붙이기 위해서 골절 수술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골절이 미약한 경우, 즉 흔히 말하는 약간의 실금이 간 경우에는 깁스를 하고, 진통제를 먹으면서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실금이 간 뼈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달라붙었다는 말입니다. 그럼 과연, 안와골절 역시 동일한 원리가 작용될까요?? 실제로 안와 골절도, 때로는 수술적 치료만으로 치료하기도 하고, 때로는 수술없이 보존적으로 치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럼 보존적으로 치료하는 경우에는 안와 골절이 다시 붙을까요?? 골절된 틈으로 삐져나온 안와의 조직들은 원래대로 회복될까요? 골절된 틈이 크기가 큰 경우에는.. 어떻게 호전될까요? .. 2018. 5. 11.
최신의학논문 : 안와 골절 (BOF, blow out fracture)을 수술하지 않을 경우... 어떻게 될까? 안와 골절, blow out fracture, BOF는... 안구를 둘러싸고 있는 뼈인, 안와의 하벽이나 내벽의 골절이 나타나는것을 말합니다. 신체적인 폭행에 의해서.. 혹은 추락사고에 의해, 교통 사고에 의해, 혹은 스포츠 사고에 의해서... 말그대로 눈을 둘러싸고 있는 뼈가 부러지는것을 말합니다. 때로는 뼈에 작은 실금이 가는 경우도 있고, 때로는 뼈가 많이 부러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와골절의 치료에 있어서는.. 언제, 그리고 어떻게 수술을 할 것인지는 전반적인 중론은 있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완전한 의견의 일치는 이루어 지고 있지 않습니다. 현재까지 교과서적인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은..수상 이후 발생한 복시와 안구 운동 제한이 1주~2주 내에 호전되지 않는 경우 수상 이후 심한 안구 함몰을 나.. 2018. 5. 11.
망막에 노란점이 있는 경우... 노란점 안저, Fundus flavimaculatus Fundus Flavimaculatus 라는말은... Fundus, 눈의 신경인 망막, 안저에서 Flavi, flavo- 라는 접두사로 노란색 maculatus, macula 라는 용어로 점 을 의미합니다. 즉, 안저에서 노란색점이 있다는 의미로, 한글 용어로는 노란점안저, 노란점눈바닥 이라고 합니다. 앞서 살펴본 Stargardt' disease (스타가르트병)는... 위축성 황반병증 + 노란점 안저 + 9세 ~ 20세의 소아기에 발생 이라는 3가지 특징을 모두 가질때 진단내리게 됩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망막] - Stargardt's disease, Stardardt씨 병, 스타가르트병의 유전양상, 임상양상, 증상, 검사소견 반면, 순수한 Fundus flavimaculatus (노란점안저).. 2018. 5.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