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40

Stargardts disease, Stardardt씨 병, 스타가르트병의 유전양상, 임상양상, 증상, 검사소견 1909년 Stargardt 씨가 처음으로 기술한 이병은... 주로 소년기 부터 시작하는 유전성의 황반위축과, 그 주변을 둘러싼 황백색의 반점이 특징적인 질환입니다. 소년기때부터 점차적인 양안의 시력 감퇴를 가져오는 유전성 황반부 이상(hereditary macular dystrophy, 유전성황반이영양증)입니다. 이병은... 노란점 안저 (fundus flavimaculatus), 즉 주변부에 관찰되는 황백색의 산재된 반점과.. 위축성 황반이상증(atrophic maculopathy), 즉 중심부 망막의 위축.. 이 두가지가 모두 있어야만 진단할수 있습니다. 노란점안저(Fundus flavimaculatus)란.. 1963년 Franceschetti 가 처음 명명한 이름으로.. 황반부를 침범하지 않고,.. 2018. 5. 10.
눈에 달걀 노른자가 들어있다?? 베스트 노른자모양 황반이영양증 (Best Vitelliform macular dystrophy) 베스트병, Best disease 노른자 모양 황반이상증(황반이영양증), Vitelliform dystrophy 난황상 황반변성, Vitelliform degeneration of Best 이들은 모두 동의어로.. 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베스트병이라는 망막 질환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 질환은 초기에 특징적으로 양안에서 난황모양의 황반 병변, 즉, 마치 눈속에 달걀 노른자가 있는 것같은,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을 나타내는데.. 시간이 지남녀서 노른자 모양이 파괴되거나, 흉터를 남기게 되는 질환입니다. 11번 염색체에 있는 BEST1 유전자가 원인이 됩니다. BEST1 유전자는 bestrophin 1 단백질을 발현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유잔자의 이상은 망막색소상피(RPE)의 기능이상을 유발합니다.. 2018. 5. 10.
원뿔세포 이상증(원추세포 이상증, Cone dystrophy), 원뿔세포-막대세포 이상증(Cone-Rod dystrophy, CRD) 망막의 황반에 발생하는 선천적인 이상증 (dystrophy)가운데.. 광수용체(photoreceptor)에 발생하는 이상증은.. 원뿔세포이상증(cone dystrophy)스타가르트병(stargardt's disease)중심주위망막색소변성(pericentral retinitis pigmentosa)진행 위축성 황반이상증(progressive atrophic macular dystrophy)이러한 질환등이 있습니다. 이중 이번에는 원뿔 세포 이상증, 원추세포이상증, Cone dystrophy 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망막의 광세포(시세포, photoreceptor)에는... 망막의 가장 중심부에 위치하며, 밝은 빛 아래에서 사물의 형태와 색깔을 구분하여 중심시력, 중심부 시야, 색각을 담당하는 원뿔.. 2018. 5. 10.
각막 이식의 후기 합병증 : 상피눈속증식(epithelial ingrowth, epithelial downgrowth), 섬유안내증식(fibrous ingrowth) 각막 이식이후 나타날수있는 합병증을 시기적으로 초기와 후기로 나누어서 살펴볼때.. 각막 이식의 후기에 나타나는 합병증에는.. 느슨해진 봉합사, 봉합사 끊어짐봉합사 관련 농양봉합사 관련 감염안내염상피눈속증식, 상피 안내증식 (epithelial ingrowth)섬유눈속증식, 섬유 안내증식 (fibrous ingrowth)이런 종류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마지막 2가지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선 내용에 대해서는 바로 이전 포스팅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각막 전층 이식의 후기 합병증 : 봉합사 노출, 봉합사 농양, 세균감염, 안내염 5. 상피눈속증식, 상피 안내증식, 각막상피내생 (epithelial ingrowth, epithelial downgrowth.. 2018. 5. 10.
각막 전층 이식의 후기 합병증 : 봉합사 노출, 봉합사 농양, 세균감염, 안내염 지난 포스팅을 통하여.. 각막 전층 이식 이후에 발생할수 있는 초기 합병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각막 이식 수술 이후 초기 합병증, 부작용 : 창상누출, 동공차단, 홍채유착, 봉합 부위 침윤, 지속각막상피결손 전층각막 이식 초기합병증 : 각막 이식 실패, Hurricane keratitis, Kaye dots, 데스메막 박리, 맥락막 박리 이번에는 이식 수술 이후 시간이 경과한후에 발생하는 후기 합병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봉합사 노출, 봉합사 끊어짐봉합사 농양봉합사 관련 세균감염안내염상피안내증식 (epithelial ingrowth)섬유안내증식 (fibrous ingrowth) 1. 봉합사 노출, Suture erosion 전층각막 이식술 이후, 눈을 깜빡이는 과정에서, 눈을 비비는 과정에서.... 2018. 5. 10.
전층각막 이식 초기합병증 : 각막 이식 실패, Hurricane keratitis, Kaye dots, 데스메막 박리, 맥락막 박리 앞선 포스팅에 이어서.. 전층각막이식 (PKP, Penetrating keratoplasty) 이후 초기에 발생할수 있는 합병증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창상누출, wound leakage동공차단 및 홍채유착 형성창상 부위 각막 침윤상피 재생 실패원발성 이식 실패, 이식편 생착 실패Hurricane keratitisKaye dots데스메막 박리맥락막 박리이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앞의 4가지 내용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각막 이식 수술 이후 초기 합병증, 부작용 : 창상누출, 동공차단, 홍채유착, 봉합 부위 침윤, 지속각막상피결손 5. 원발성 이식편 실패, Primary graft failure 각막이식 실패 (Co.. 2018. 5. 9.
각막 이식 수술 이후 초기 합병증, 부작용 : 창상누출, 동공차단, 홍채유착, 봉합 부위 침윤, 지속각막상피결손 각막 이식 수술은... 수술 자체도 쉽지 않은 수술이지만.. 수술이후에 발생할수 있는 합병증이나 부작용이 많기에 이에 대한 관리가 더욱 중요한 수술입니다. 이번에는 각막이식수술 이후 발생할수 있는 초기 합병증과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창상누출, wound leakage동공차단 및 홍채유착 형성창상 부위 각막 침윤상피 재생 실패각막 이식 실패, 이식편 생착 실패Hurricane keratitisKaye dots데스메막 박리맥락막 박리순서로 1편과 2편으로 나뉘어져 구성 되어 있습니다. 1. 창상누출, wound leakage 창상 누출이란.. 수용각막(recipient cornea, host cornea)과, 기증각막(donor cornea)사이의 봉합 부위의 틈새, 창상(wound)에서부터의 누.. 2018. 5. 9.
최신안과 논문번역 : 코속 전기자극을 통한 안구건조증의 치료, 앨러간 트루티어 앞서서 살펴본바와 같이... 안구건조증의 새로운 치료방법으로, 코속의 전기자극을 통해.. 눈물의 생성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앨러간에서는 트루티어를 개발해내었습니다. [논문으로 보는 안과 눈 이야기/안구건조증과 마이봄샘기능장애] - 의학논문번역 : 알러간 트루티어, Allergan TrueTear, 코점막 신경 자극을 통한 눈물생성.. 안구건조증의 신경치료 이번에 살펴볼 논문은, 이 앨러간 트루티어(allergan TrueTear)를 인체에 적용한 첫번째 연구 논문의 결과입니다. 안과논문번역 제 81번째 논문, 안구건조증 환자에서의 코속 자극을 통한 눈물생성의 효과에 대한 연구.. A non-randomized, open-label study to evaluate the effect of nasal stim.. 2018. 5. 9.
의학논문번역 : 알러간 트루티어, Allergan TrueTear, 코점막 신경 자극을 통한 눈물생성.. 안구건조증의 신경치료 Dry eye disease, DED 혹은 Keratoconjunctivitis Sicca, KCS 라고 불리는.. 안구건조증, 건성안은.. 눈물분비와 안구표면에 장애가 발생하는 다인성의 질환입니다. 안구건조증은, 눈물 분비 감소 유형과, 눈물 증발 증가 유형 두가지로 나뉘는데.. 대부분의 경우 두가지 요소를 모두다 갖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를 통해, 안구건조증을 발생시키고 심화시키는 것은..각막과 결막이라는 안구표면주눈물샘과 부눈물샘신경 분포이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지는 눈물기능단위 (Lacrimal functional unit, LFU)에 발생하는 염증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에 따라서 안구표면 및 눈물샘에 발생하는 염증에 작용하는.. 스테로이드 안약, 레스타시스, 자이드라 등의 치료 방법들이 나와.. 2018. 5.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