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40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에 의한 유행성각결막염(EKC), 인후 결막염 (PCF), 단순결막염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는... 사람, 소, 돼지, 개 등에서 발견되지만, 서로 다른 종간에서는 교차 감염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에 의한 눈 감염은...유행성 각결막염(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EKC)인후결막염(Pharyngoconjunctival fever, PCF)비특이적 여포 결막염(Simple follicular conjunctivitis)이러한 형태로 발생할수 있으며... 사람에서만 일어나고, 동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눈감염은... 국내에서는 여름에 수영장 사용과관련해서 많이 발생하지만, 연중 어느때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는... 외피가 없는 .. 2017. 12. 13.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와 아폴로 눈병, 급성 출혈결막염(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AHC) 급성 출혈성 결막염(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AHC)은... 흔히 아폴로 눈병이라고도 불리는 말그대로 "눈병"입니다. 흔히.. 결막염과 눈병의 차이가 무엇이냐 라는 질문을 받으면...눈이 빨개지고(충혈)눈곱이 끼고,눈물이 나는것이러한 3대 증상이 있으면, 결막염(conjunctivitis)이라고 이야기하고, 결막염 중에서....눈이 빨갛고, 눈곱끼고, 눈물나는 것이 심하고, 아침에 일어나서 눈이 달라붙어 있고, 한쪽눈에 먼저 발생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반대편눈에 발생하고안약을 사용하더라도 호전이 없고, 시간이 갈수록 더욱 심해지면..눈병이라고 이야기를 하고, 전염성이 있다고 설명을 하곤 합니다. 대표적인 눈병이 유행성 각결막염(Epidemic keratoconjunct.. 2017. 12. 13.
안와 종양 제거의 원칙, 안와 수술(orbital surgery)의 원칙 및 안와 접근법(orbital approach) 안와수술에는 5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가장 안전하고 가까운 경로를 선택충분한 시야확보정상조직에서 병변으로 향함수술중 무리한 시도를 하지 않음수술후 환자 관리를 철저히 함 1. 가장 가깝고 안전한 경로를 선택하기 안와수술시 병변에 가장 가까운 경로를 선택해야.... 정상 안와조직의 손상을 줄이고 수술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가까운 경로라도, 안와 종양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면 다른 경로를 선택하거나, 안쪽과 바깥쪽을 동시에 열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안전한경로란... 해부학적으로 안전한 부위를 선택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안와 접근법 (orbital approach), 안와 절개법 (orbitotomy approach) 앞쪽 접근법 (anterior orbital.. 2017. 12. 12.
안와 종양 : 유방암 전이, 폐암의 원격 전이로 인한 안와의 전이성 종양 전체 암 환자 중에서 안와로의 전이는 2~4%에서 발생합니다. 전이성 안와 종양은 전체 안와 종양의 1~3 %를 차지합니다. 안와에는 림프관이 없기 때문에... 안와로 전이되는 암은 모두 혈관을 통해서 원격 전이 됩니다. 성인에서 가장 흔한 전이성 종양은... 유방암 > 폐암 > 원인 불명 > 전림선암 > 흑색종 순으로 나타납니다. 유방암이 약 40~70%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흔합니다. 특히, 유방암의 유병률이 지난 30년동안 33% 증가하여왔으며, 원발 병소로부터 안와로 전이되기까지 평균 5년이 걸리므로, 안구 증상에 주의를 기울여야만 합니다. 남성의 경우, 폐암이 가장 흔하며, 다음으로는 전립선 암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립선 암은 안와의 뼈를 잘 침범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흑색종의 경우 외안근의 .. 2017. 12. 12.
안와 종양 : 랑게르한스 세포(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식증 (Langerhans Histiocytosis, Histiocytosis X) Langerhans 세포 조직구증(랑거한스세포 조직구 증식증, 랑게르한스세포 조직구 증식증)은 조직구증 X (Histiocytosis X)로도 불리며... 발병 원인이 명확히 알려지지 않은 질환입니다. 골을 가장 흔히 침범하며, 피부나 연조직과 간, 림프절, 폐 등의 여러 장기를 침범할 수 있는 전신 질환입니다. Langerhans 세포 조직구증의 분류 1953년 Lichtenstein이..호산구성 육아종(eosinophilic granuloma) Hand-Schuller-Christian병Letterer-Siwe병이러한 조직학적 소견이 비슷한 질환들을 합하여 조직구증 X (Histiocytosis X)로 분류하면서..처음 명명되었습니다. 이후 세 질환들에서 골수에서 유래하여 활성화된 Langerhans.. 2017. 12. 12.
성인에서 가장 흔한 중간엽 종양, 섬유조직구종, 섬유성 조직구종(fibrous histiocytoma) 지난 포스팅을 통해서.... 안와에서 발생하는 중간엽종양(mesenchymal tumor)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횡문근 육종(rhabdomyosarcoma)평활근종(leiomyoma)평활근 육종(leimyosarcoma)지방 육종(liposarcoma)섬유조직구증(fibrous histiocytoma) 이중... 소아에서는 횡문근육종(rhabdomyosarcoma)이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링크]-안와의 중간엽 종양과 소아에서 가장 흔한 안와 종양인 횡문근육종(rhabdomyosarcoma) 한편, 성인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중간엽 종양은... 섬유조직구증(fibrous histiocytoma)입니다. 섬유조직구증(fibrous histiocytoma)는... 근골격계의 깊은 부위나 근막, 지방.. 2017. 12. 11.
안와의 중간엽 종양과 소아에서 가장 흔한 안와 종양인 횡문근육종(rhabdomyosarcoma) 안와의 중간엽(mesenchyme)은... 발생학적으로 신경능선(neural crest)에서 유래한 조직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횡문근(가로무늬근 striated muscle)평활근(민무늬근 smooth muscle)섬유조직지방연골뼈이러한 안와조직들이 모두 중간엽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중간엽에서는 아래과 같은 중간엽 종양(mesenchymal tumor)들이 발생할수 있습니다.횡문근 육종(rhabdomyosarcoma)평활근종(leiomyoma)평활근 육종(leimyosarcoma)지방 육종(liposarcoma)섬유조직구증(fibrous histiocytoma) 그중 이번에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횡문근육종(rhabdomyosarcoma)입니다. 횡문근육종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원발성 안와 종양으로... 2017. 12. 11.
안와의 말초신경을 둘러싸는 신경초의 종양, 신경초종, 신경집종(schwannoma, neurilemma) 신경초종, 신경집종(schwannoma, neurilemmoma)은... 신경집세포인 슈반세포(schwann cell)의 증식으로 생기는 말초신경집의 양성종양입니다. 단발성의 신경집종은 전신질환이 없는 일반인에게 주로 생길 수 있고, 다발성의 신경집종은 제1형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의 특징적인 소견입니다.([참조] -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 신경집종은 척수, 교감신경, 경추신경, 미주신경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눈에서는 주로 안와에 생기며 전체 안와종양의 1%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구에서 생기는 경우는 맥락막, 섬모체, 결막, 눈물언덕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극히 드물게 눈꺼풀에 발생하기도 합니다. 대개는... 아래와 같이 안와(o.. 2017. 12. 11.
안와의 말초신경종양, 신경섬유종(neurofibroma)과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 지난 포스팅을 통해서 시신경에 발생하는 종양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소아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시신경 종양인... 시신경 교종(시신경 교차부 교종) : [링크] 성인에서 가장흔히 발생하는 시신경 종양인... 시신경 수막종(나비뼈날개 수막종) : [링크] 시신경은 중추신경계에 속하는 신경입니다. 이번에는 말초 신경에서 나타나는 종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말초신경에서 발생하는 종양중 가장 흔한 종양인 신경섬유종(neurofibroma)에 대한 내용입니다. 안와 및 주변 조직을 침범하는 신경섬유종은...신경섬유종증 제1형과 제2형(neurofibromatosis type 1, type 2)과 동반되는 신경섬유종, 얼기형신경섬유종(plexiform neurofibroma)단독신경섬유종(solita.. 2017.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