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732

안구 제거술후 안와 삽입물(orbital implant) - 메드포어(medpor)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이전 포스팅을 통해서 Painful blind eye 에서 시행할수 있는 안구 제거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구 제거술은 크게 안구 적출술(enucleation)과 안구 내용 제거술(evisceration)으로 나뉩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성형안과] - Painful blind eye 안구 제거술 : 안구 적출술(enucleation), 안구 내용제거술(evisceration) 각 상황에 따라서 안구를 통째로 적출하거나, 안구 내용물만을 쏙 하니 제거하느냐를 선택해야만 하고, 수술이후에는 그 공간을 차지하기 위한 안와 삽입물(orbital implant)를 삽입해야만 합니다. 안구 제거술의 목적은.통증을 유발하는 실명안을 제거하여 통증을 제거"미용상" 실제 눈 처럼 보이기 위함 이와 같은 목적.. 2017. 11. 12.
눈물 흘림.. 진짜 눈물 흘림과 가짜 눈물 흘림?? "눈이 빨개요" "눈이 잘 안보여요" "눈물이 나요"이러한 문제들이 "안과"를 방문하게 되는 3대 증상입니다. 이번에 이야기할 내용이 바로 이 3대 증상중의 하나인 "눈물이 나요~" 입니다. 안과에서 눈물흘림을 다룰때 사용하는 용어 정리 및 핵심 부터 말씀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눈물이 난다 (Watery eye) = Tearing 이 있는 상태 진성 눈물흘림 (진짜 눈물흘림, True epiphora) = Tearing 이 있고, Overflow 가 있다. 가성 눈물흘림 (가짜 눈물흘림, Pseudo epiphora) = Tearing 이 있으나, Overflow 가 없다. 눈물의 생성 (production) = 눈물의 배출 (drainage) 으로 "균형"잡힌 경우 : 눈물 흘림이 발생하지 않음. 눈.. 2017. 11. 11.
안구건조증 치료제 : 사이클로스포린(싸이클로스포린, Cyclosporine A, CsA) 점안 안약 종류 안구 건조증은 눈물 생성 자체가 부족하거나 (ADDE-Aqueous Deficiency Dry Eye), 눈물막이 정상보다 빠르게 소멸되어 눈물막이 불안정해지고 (EDE-Evaporative Dry Eye), 이에 따라서 이물감이나 따가움 등 여러가지 증상이 발생하는 증후군입니다. 기존에는 이러한 안구건조증의 개념에 따라서 인공눈물을 보충해주거나, 눈물길을 일시적으로 혹은 영구적으로 막아서 눈물량을 늘리는데만 초점을 두었습니다. 하지만 최근들어서는, 안구건조증이 단순한 "눈물이 부족" 혹은 "눈물막의 불안정" 이라는 전통의 개념에서 "염증성 질환"으로 새롭게 인식되면서 안구건조증에 대한 항염증 치료가 활발히 시도되고 있습니다. 위의 사진이 현재.. 안구건조증을 염증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입니다.건조한 눈.. 2017. 11. 11.
안과 테트라사이클린 항생제 "미노씬"과 "테라마이신". (부제 : 독시사이클린 vs. 미노사이클린)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에는 안과에서 사용하는 항생제 중 테트라사이클린 계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생제에 대한 전반적인 분류 : [링크] 퀴놀론 계열 항생제 : [링크] 아미노글라이코시드 계열 항생제 : [링크]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계열 항생제는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작용하는 항생제입니다. 테트라사이클린 계열 항생제는 작용시간에 따라서 3가지로 분류됩니다. 짧은 반감기 :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s),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ChlorTetracyclines),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s)중간 반감기 : 데모클로사이클린(Democlocyclines), 메타사이클린(Methacycline)긴 반감기 : 독시사이클린(Doxycycl.. 2017. 11. 10.
안과 점안 항생제 안약 -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 (aminoglycoside) 항생제 안약 이전포스팅에 이어서 안과에서 사용하는 항생제 안약 중 아미노글라이코시드(aminoglycosid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안부 감염성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 균주와, 전반적인 항생제의 분류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고.. 각막염, 결막염, 안내염의 원인 세균 및 안과 점안 항생제 (항생제 점안액)의 분류 및 종류 안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항생제인 퀴놀론 항생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면 됩니다. 안과에서 사용하는 항생제 점안 안약 - 퀴놀론 (Quinolone) 계열 항생제 안약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아미노글라이코시드, aminoglycoside, AGS)는 흔히 어르신들이 마이신, 마이신 이라고 하는 "~ 마이신"으로 끝나는 항생제들입니다.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 2017. 11. 9.
성인에서 발생하는 시신경 종양 : 시신경 수막종(optic nerve meningioma)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에는...성인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시신경 종양인 시신경 수막종(optic nerve sheath meningioma)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신경 종양은 전체 안와 종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 %도 채 되지 않는 드문 질환입니다. 하지만 발생하게 되는 경우, 뇌 안쪽으로의 침범 가능성이 있고, 진단 및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 뇌조직 침범으로 인한 사망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두어야할 질병입니다. 시신경 종양의 개요 및 소아에서 가장흔한 시신경 종양인 시신경 교종(optic nerve glioma)는 이전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성형안과] - 시신경 종양과, 소아에서 흔한 시신경 교종(optic n. glioma) 앞서 이야기하였듯이 시.. 2017. 11. 7.
시신경 종양과, 소아에서 흔한 시신경 교종(optic n. glioma) 시신경 종양은 문자그대로 시신경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전체 안와 종양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낮은 드문 종양입니다. 대표적인 종양이 시신경 교종(optic nerve glioma)와 시신경 수막종(optic nerve sheath meningioma)이 있습니다. 시신경 교종(optic n. glioma)은 문자그대로 시신경(optic n.)의 교세포(glial cell)에서 발생하는 종양입니다. 신경계에는 실제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신경세포(neuron) 외에 이들을 보조해 주는 신경교세포(glial cell)이 존재합니다.신경교세포는 신경전달에 직접 관여하지 않지만, 신경 세포의 기능을 보조하고,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입니다. 이 신경 교세포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그.. 2017. 11. 6.
각막염, 결막염, 안내염의 원인 세균 및 안과 점안 항생제 (항생제 점안액)의 분류 및 종류 인체가 병에 걸리지 않은 건강한 상태라 하더라도, 인체에는 여러가지 균들이 살고 있습니다. 위속에 살고 있다고 하는 헬리코박터균, 장에 살고 있는 장내 세균들, 입속에서 살고 있는 세균들 등등... 이렇게 질병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인체에서 살고 있는 균들을 정상상재균(normal flora)라고 합니다. 정상 상재균들은 "위장관" 뿐 아니라, "눈주위" 에도 존재합니다. 눈꺼풀의 피부, 결막(흰동자), 눈물 배출 통로 (눈물점 및 눈물소관) 등 외안부에는 여러가지 균이 존재하고, 그중에는 질병을 일으킬수 있는 "병원균" 역시 존재합니다. 이러한 균들은 결막염, 각막염, 안내염 등 여러 종류의 감염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의 투여는 감염성 질환의 기본적인 치료로...안과에서도 세균 감염의 치료.. 2017. 11. 5.
눈물샘의 가장흔한 악성종양, 샘낭 암종(선상 낭포암, adenoid cystic carcinoma) 이전 포스팅을 통해서 눈물샘 종양과, 가장 흔한 상피성 눈물 종양인 다형샘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성형안과] - 눈물샘 종양(lacrimal gland tumor)과 다형샘종(pleomorphic adenoma) 다형샘종은 눈물샘에서 일차적으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입니다. 이번에는 눈물샘에서 일차적으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악성 종양" 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는 눈물샘 샘낭 암종(lacrimal gland adenoid cystic carcinoma, ACC)입니다.과거에는 영어를 한글로 그대로 옮긴 "선상 낭포암"으로 불렸으나, 이름이 어려워서 "샘낭 암종"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눈물샘에 발생하는 눈물샘 종양을 100 % 라고 할때, 전체의 12.5.. 2017. 1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