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732

눈물샘 종양(lacrimal gland tumor)과 다형샘종(pleomorphic adenoma) 눈물샘 종양은 문자그대로 "눈물샘(lacrimal gland)"에서 발생하는 종양입니다. 눈물샘의 위치가 안와의 상이측(superotemporal)이므로, 눈물샘 종양은 당연히 상이측에서 발견됩니다. 그리고 반대로, 안와의 상이측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종양은 눈물샘에서 발생합니다. 종양(tumor)라는 말은 신생물(neoplasm, 新生物), 즉 정상적으로 있어야하는 조직이 아닌 "새롭게 발생한 것"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종양은 양성 종양(benign tumor)과 악성 종양(malignant tumor, malignancy)으로 나뉩니다. 악성 종양이 흔히 우리가 "암(cancer)"라고하는 조직이고, 이는 양성종양과 다른 점은 "침윤"과 "전이"를 잘한다는 점입니다. 침윤(infiltration)이란.. 2017. 11. 4.
눈물 소관(누소관) 손상 및 열상 - 눈물길(눈물관) 잘림(canalicular laceration) 눈물 소관(누소관, lacrimal canaliculus)은 눈꺼풀테를 따라 표층에 깊지않게 존재하여 사소한 외상에도 "눈물길 잘림(canalicular laceration)"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쪽 눈구석부위에 손상이 있을시 반드시 눈물배출계의 검사가 필요합니다. 눈물소관의 잘림이 있는지, 혹은 손상이 있는지 그 손상 유무를 확인하지 않고 일차봉합만 시행하면 오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눈물소관의 협착 혹은 또는 완전한 폐쇄가 발생하여, 눈물흘림 증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눈꺼풀에서 안쪽 1/3에서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반드시 눈물 소관의 손상, 열상의 가능성을 생각하고 검사해야만 합니다. 눈꺼풀 안쪽 1/3 의 손상이 아래 사진처럼 크다면 어느 누구나 눈물길 쪽의 손상을 의.. 2017. 11. 3.
안과에서 사용하는 항생제 점안 안약 - 퀴놀론 (Quinolone) 계열 항생제 안약 이번에는 안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항생제 종류인 퀴놀론 계열 항생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안과에서 사용하는 안과 감염의 가장 흔한 균주 및 항생제의 전반적인 분류 에 대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각막염, 결막염, 안내염의 원인 세균 및 안과 점안 항생제 (항생제 점안액)의 분류 및 종류 퀴놀론은 Fluoroquinolone 계통으로, 현재 안과에서는 일차 치료제로 효과를 인정받아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퀴놀론에는 1세대 ~ 4세대 퀴놀론 이 있지만 현재 1세대는 임상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2세대, 3세대, 4세대가 있습니다. 2세대 퀴놀론 계열 항생제 2세대 퀴놀론에는 Ofloxacin - 오플록사신, Ciprofloxacin - 시프로플록사신, Norfloxacin - 노르플.. 2017. 11. 2.
Painful blind eye 안구 제거술 : 안구 적출술(enucleation), 안구 내용제거술(evisceration) Painful blind eye... 안구 통증이 있는 실명안... 이와 반대 개념인 Painless blind eye 는 문자그대로 통증이 없는 실명안 입니다. 선천적으로 시각기능이 떨어진 경우를 제외하고 후천적으로 실명하는 원인들은 여러가지가 있을수 있습니다.안구 관통상이나, 안구 둔상 등 외상에 의한 회복 불가능한 안구 손상진행된 녹내장이 안압 조절에 실패한 경우망막 박리 이후 수술이후에도 망막의 유착을 얻지 못한 경우각막이식 수술이후 각막 이식 거부 반응여러번에 걸친 안과적 수술이후 발생한 안구의 위축 대부분 시력을 살리기 위한 갖가지 수술 및 시술을 눈에 가하면서 노력합니다. 이 대부분의 수술 및 시술은 각막(cornea)를 통해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수술이후 결국 각막 부전 및 각막 혼탁 이 .. 2017. 11. 1.
Painless blind eye : 안구 위축, 변색된 실명한 눈에서의 의안 착용 - Scleral shell과 Iris lens Painful blind eye... 시력은 없으나 통증이 있는 눈...Painless blind eye... 시력이 없고,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눈... 눈은 시각을 담당하는 기관, 즉 보기위해서 존재합니다.역으로 이야기해서 시각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경우 그 존재의 이유가 감소할 수 밖에 없습니다. 보이지도 않는데, 참을수 없는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를 "Painful blind eye"라고 이야기합니다.반대로 실명하였지만, 다행히 통증을 유발하지는 않는 경우를 "Painless blind eye"라고 이야기합니다. 실제 안성형학 파트에서도 이러한 blind eye 의 management 를 따로 다루는 파트가 있을 정도로, 이 경우의 관리 및 처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번에는 이 Painel.. 2017. 10. 31.
눈꺼풀 외상, 눈꺼풀 열상(eyelid laceration), 눈꺼풀 테두리 열상(marginal laceration) Intimate partner violence 약어로 IPV.. 번역 하면 가까운 파트너에 의한 폭력, 친밀한 파트너에 의한 폭력 등으로 해석될수 있습니다. 요즘 이야기되고 있는 "데이트 폭력"이 아마도 가장 대표적인 "Intimate partner violence"일것으로 생각됩니다. WHO에서는 이를 현재 혹은 과거의 파트너(partner)에 의한 신체적 그리고 성적인 폭력 행위(one or more acts of physical and/or sexual violence by a current or former partner)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았을때 "데이트 폭력"의 88~95%에서 안면부 손상이 일어나게되고, 전체의 45%에서 눈 주위의 손상이 동반됩니다. 이번에 알아볼 이야기는.. 2017. 10. 30.
눈 주위 뼈의 구조 (안와의 해부학적 구조) "몸이 십할이면 눈이 구할이다" 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빛을 보는 시각기관으로서, 눈의 중요함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눈은 외부상황을 보기 위해서 노출이 되어있는 구조여야하면서도,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서부터 안전해야만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안와"라고 하는 "눈주위 뼈"로부터 보호되는 구조입니다. 이번에는 이러한 눈주위 뼈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한글 용어 정리입니다. 의학 용어다보니 영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으며, 한글 용어로 사용하는것이 더 어색한 경우도 많습니다. Frontal bone : 이마뼈, 전두골Sphenoid bone : 나비뼈, 접형골Maxilla : 위턱뼈, 상악골Lacrimal bone : 누골Palatine bone : 입천장뼈, 구개골Zygoma :.. 2017. 10. 26.
안과의사가 알려주는 오메가3 : 좋은 오메가3, DHA EPA의 의미 지금까지 오메가 3를 이용한 안구 건조증 치료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안구건조증과 마이봄샘기능장애] - 오메가 3를 1달 먹고 안구 건조증을 치료한다?? [안구건조증과 마이봄샘기능장애] - 의학번역 논문번역 : 안구건조증에서 오메가 3의 치료 그럼 과연 오메가3 를 어떤 제품을 먹어야 할까요? 오메가3의 함량은 약병에 "전체함량"이 아닌 "DHA와 EPA 의 합" 을 보아야합니다. 또한 하루 복용하는 "캡슐의 수"를 따져야 합니다. 즉, "하루에 몇캡슐"을 먹어야하며, 그 해당 캡슐을 다 먹었을때, "DHA + EPA 의 양"이 얼마인지를 보아야합니다. 이러한 오메가3에 대해서 설명을 잘해놓은 내용이 있어 그 내용을 따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닥터지바고"에 나오는 내요으로 2015년 12월 28일 .. 2017. 10. 25.
만니톨을 안과에서 사용한다?? 만니톨의 효능과 용량 계산 고삼투압제(osmotic agents)를 이용해서 안압 하강을 가져오려는 시도는 1900년대 초 처음시작되었습니다. 그 이래로 요소(Urea), 글리세롤(Glycerol), 아이소소비드(isosorbide), 만니톨(Mannitol) 등과 같은 삼투압제제에 대한 여러 연구의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이중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정맥 주사"로 주입하는 "만니톨"이 유일합니다. 만니톨의 작용에 대해서 주로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1. 이뇨제로의 작용 만니톨을 포함한 "고삼투압제(osmotic agent)" 는 기본적으로 이뇨제로 사용됩니다. 이때의 원리가 "삼투 현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고삼투압 이뇨제(osmitic diuretics, OD)"라고 불립니다. 위의사진에서의 "저농도"인 곳에서 "고농도.. 2017. 10.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