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클러 증후군, Stickler 증후군의 전신 소견(얼굴 및 근골격 형태)과 와그너 증후군, Wagner Syndrome
앞선 포스팅을 통하여, 눈에서 유전성 유리체 망막변성 및 망막막리를 보이는.. 전신적인 결합 조직 질환인, 스티클러 증후군, Stickler syndrome 에서의 안과적 소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망막] - 유전성 유리체 망막 변성, Stickler 증후군의 눈 소견, 안과적 증상, 검사 소견 이번에는 이에 이어서 Stickler 증후군의 전신적인 증상 및 소견에 대해서 그리고, 전신의 침범은 없이 순수하게 눈에만 침범하는 Wagner 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얼굴에서, 안면부의 저형성, 구개열, 작은턱 형태의 특징적인 얼굴 형태를 보입니다. 또한 입천장 구개에서의 구개열이 발생합니다. 얼굴 이외에 가장 큰 특징은.. 청력 소실입니다. 대개 30세 이후에는 대부..
2018. 7. 20.
미숙아 망막병증,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의 정의, 역학, 발생기전, 원인
미숙아, Prematurity 란.. 의학적으로 임신주수, 재태주수 37주 미만으로 태어난 신생아를 말하며, 출생당시의 체중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하게 됩니다. 출생시의 체중이 2500g 보다 작은 체중을.. LBWI 라 하여, Low Birth Weight Infant,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라 하며, 1500g 보다 작은 체중을.. VLBWI 라 하여,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극소 저체중 출생아라 하며, 1000g 보다 작은 체중을.. ELBWI 라 하여,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라 합니다. 미숙아 망막병증, Retinopathy of Prematurity의 정의, 원인 눈의 신경인 망막의 혈관은.. 태아에서 완전..
2018. 7. 17.
망막색소변성증(Retinitis pigmentosa, RP)의 특수 검사소견 및 진단
망막색소변성증(retinitis pigmentosa)은.. 야맹증, 시야협착, 점진적인 시력감소 등을 증상으로 하는.. 유전적인 소인을 가지는 질환입니다. 망막에 대한 안저검사상 망막혈관의 협착, 시신경 유두의 위축, 망막 주변부 색소침착 등의 소견을 보이는 질환으로, 이로인한 전기생리학적인 이상을 동반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 망막색소변성증은, 한가지 종류의 질환이아니라, 다양한 원인 및 다양한 유전양상, 안저 소견을 보이는 질환군의 집합체이며.. 안저소견 역시, 모든경우에 전형적이고 획일화된 양상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무색소성(sine pigmento)부채형 (sector)단측성 (unilateral)전이형(inverse) 이러한 형태 등 다양한 비정형(atypical) 망막색소변성증이 발생할수 ..
2018. 7. 15.
의학 논문번역 : 인공눈물, 디쿠아스, 리포직을 이용한 안구건조증 치료
앞서 이야기한 것 처럼, 눈물층을 구성하는 3개의 구성층을 각각 보충해주면, 안구건조증을 호전시킬수 있다는 이론에 입각하여, 안구건조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TFOT, Tear film oriented therapy 라고 합니다. 뮤신층을 보충하기위해서는, Diquafosol 의 사용이나, Rebamipide 안약의 사용을, 수성층의 보충을 위해 인공눈물을 사용하도록, 지질층의 보충 및 치료를 위해서는, 마이봄샘기능장애(MGD)의 치료 및 조절이나, 지질을 포함한 안약을 사용하도록 하는 이러한 방법들입니다. 안과 의학논문번역 제 82번째 논문번역 입니다. 저자들은 Short BUT 를 보이는, 증발성 안구건조증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총 3군으로 나누었습니다. 이때 환자들은 지난 3개월 동안 다른 치료 없..
2018. 7. 14.
의학 논문 번역 : 눈물막 불안정성을 보이는 증발성 안구건조증 환자에서의 눈물성분 복합 치료의 효과
예로 부터 눈물은 총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안구표면의 세포와 맞닿아있는 뮤신층 가운데에 위치하여 가장 많은 용량을 차지하는 수분층, 수성층 가장 표면에 위치하여 공기와 맞닿아있는 지질층 따라서, 안구건조증을 치료하기 위해 인공눈물만을 사용하는 것은, 수분층(수성층, aqueous layer)만을 보충하는 것으로, 나머지층에 대한 보충이 되지 않아, 효과적인 치료가 되지 못한다는 개념이, 눈물층의 구성성분에 입각한 치료인, Tear Film Oriented Therapy, TFOT 의 개념입니다. TFOT 에 따르면 뮤신층(점액층, mucous layer)은 안구표면에 있는 술잔세포(배상세포, goblet cell)에서 분비되어, 눈물층들이 안구표면에 오래 머무를수 있도록 친..
2018. 7. 13.
망막색소변성증 (Retinitis pigmentosa, RP) 의 안저소견, 망막 검사소견
망막색소변성, Retinitis Pigmentosa, RP는.. 진행성으로 오는 광수용체 및 망막색소상피(RPE)의 기능장애입니다. 막대세포 및 원뿔세포 모두에서 진행성 손상이 일어나며 초기에는 주로 막대세포가 손상을 받아 야맹증이 나타나고 진행하면 결국 원뿔세포도 손상을 받아 색이나 사물을 구별하기도 힘들어집니다. 망막색소변성(RP)의 정의, 분류, 증상에 대한 이전 포스팅에 이어... 안저 소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망막] - 망막색소변성증, 색소망막염, Retinitis Pigmentosa, RP 의 정의, 분류, 임상양상, 증상, 망막색소변성증 (Retinitis pigmentosa, RP)에서는.. 특징적인 3대 안저 소견을 보인다고 합니다.망막 동맥의 가늘어..
2018.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