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서 나타나는 안구 이식편대 숙주 질환 (Ocular Graft-Versus-Host Disease, Ocular GVHD)
전신에서의 이식편대 숙주질환(GVHD)에 대한..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이식편대숙주반응, 이식편대 숙주질환, 이식편대숙주병(GVHD)의 안과 영역, 눈 침범 이번에는, 눈에서 나타나는 안구이식편대숙주반응(Ocular GVHD)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Ocular GVHD 는 전신의 GVHD 가 만성기에 접어들었을때, 즉, 골수이식이나 동종모세포조혈이식 이후 100일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이식을 시행한지 3달 이후 전신을 침범하면서, 피부나 점막에 병변을 나타내면서, 눈을 침범하는 것입니다. 눈 이식편대숙주반응 (Ocular GVHD)에서는 안구 표면의 질환이 나타나면.. 각막, 결막, 눈물샘을 침범하여 건성안이..
2018. 3. 24.
이식편대숙주반응, 이식편대 숙주질환, 이식편대숙주병(GVHD)의 안과 영역, 눈 침범
조혈모세포 이식술은.. 골수부전, 백혈병 등 혈액종양 질환들의 일차 치료로 선택되는 치료법중의 하나입니다. 최근에는 많은 발전으로, 악성종양, 자가면석성질환, 골수부전, 선천성 대사이상증 등까지.. 점점 그 적응증이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조혈모세포이식의 종류는... 공여자(donor)에 따라서 동종이식술과, 자가 이식술로 나뉠수 있으며, 이식원에 따라서 골수, 말초혈, 제대혈 등으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이중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술의 경우, 공여자의 T 림프구 로 인해서 발생할수 있는 이식편대백혈병 (graft versus leukemia)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즉, 환자의 몸속으로 이식된 깨끗한 공여자의 T 림프구(이식편, graft)가, 환자의 몸에 있는 백혈병 세포들(백혈병, leukemi..
2018. 3. 23.
안구건조증, 건성안의 치료 방법에 대한 정리.. 첫번째이야기~
안구건조증, 건성안은... 싸이클로스포린, 자이드라, RGN-259 이러한 신약이 개발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안구건조증의 완전한 증상완화를 얻기는 힘든 것이 실정입니다. 안구건조증 치료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나, 적절한 치료제를 적시에 적용하는것이 쉽지많은 안기에, 완전하게 치료하기 힘든 질환입니다. 이번에는 이러한 안구건조증, 건성안의 치료 방법들에 대해서 정리해도보록 하겠습니다. 안구건조증(안건, Dry eye disease, DED), 건성안의 정의, 병태생리, 분류수성 눈물층 부족 안구건조증(ADDE, aqueous deficiency dry eye)의 증상, 개념, 원인눈물 불안정에 의한 안구건조증, 눈물 증발 증가 건성안(Evaporative Dry Eye, EDE) 의 원인안구건조증, 건성안의..
2018. 3. 21.
안구건조증, 건성안의 진단 방법
앞선 포스팅을 통하여, 안구건조증의 정의 및 분류와..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안구건조증(안건, Dry eye disease, DED), 건성안의 정의, 병태생리, 분류 수성 눈물 부족에 의한 안구건조증 (ADDE)과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수성 눈물층 부족 안구건조증(ADDE, aqueous deficiency dry eye)의 증상, 개념, 원인 눈물 불안정에 의한 안구건조증 (EDE)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눈물 불안정에 의한 안구건조증, 눈물 증발 증가 건성안(Evaporative Dry Eye, EDE) 의 원인 이번에는, 안구건조증의 진단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병력 History 안구건조증으..
2018. 3. 20.
눈물 불안정에 의한 안구건조증, 눈물 증발 증가 건성안(Evaporative Dry Eye, EDE) 의 원인
안구건조증은 .. 수성눈물 생성 부족(Aqueous Deficiency Dry Eye, ADDE)에 의한 경우와눈물 증발 증가(Evaporative Dry Eye, EDE)에 의한 경우로 크게 나뉠수 있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안구건조증(안건, Dry eye disease, DED), 건성안의 정의, 병태생리, 분류 증발성 안구건조증은.. 눈물막의 불안정성으로 인해서 발생하기 때문에.. 눈물막이 불안정에 의한 안구건조증 (tear film instability) 이라고 불립니다. 여러가지 원인에 의하셔, 눈물막이 불안정하면, 정상적인 눈물의 생성에도 불구하고, 눈물의 증발이 늘어나고, 이는 눈물이 찐득찐득하게, 눈물의 오스몰 농도(tear osmolarity)를 증가시키게 됩니..
2018. 3. 19.
수성 눈물층 부족 안구건조증(ADDE, aqueous deficiency dry eye)의 증상, 개념, 원인
앞선 포스팅에서 살펴보았듯이... 안구건조증, 건성안은 아래와 같이 크게 수성눈물 생성 부족 건성안(Aqueous Deficiency Dry Eye, ADDE)과,눈물막 증발 증가 건성안 (Evaporative Dry Eye, EDE)의두가지 형태로 나뉠수 있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안구건조증(안건, Dry eye disease, DED), 건성안의 정의, 병태생리, 분류 수성 눈물 부족 건성안 (Aqueous deficiency dry eye, ADDE)은.. 문자그대로, 눈물의 3가지 구성 요소중, 수성층 (물층)의 눈물이 부족한것으로.. 수성 눈물의 생성 자체가 부족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수성 눈물은, 주눈물샘 (major lacrimal gland)인 눈물샘(lacrim..
2018. 3. 19.
안구건조증(안건, Dry eye disease, DED), 건성안의 정의, 병태생리, 분류
안구건조증, 건성안, 안건.. Dry eye syndrome, 현재 Dry eye disease, DED 라는 질환은... 눈의 불편감과 시력장애를 일으키며, 눈물막을 불안정하게 하여,안구표면에 손상을 일으킬수 있는눈물과 안구 표면의 다인성 질환입니다.이는 눈물막의 오스몰 농도 증가와 안구 표면의 염증을 동반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안구건조증 (Dry eye disease, DED)에는 두가지 기전이 알려져 있습니다. ① 눈물의 오스몰 농도 증가, ② 눈물막의 불안정성 모든 건성안은 이 2가지 기본 기전을 거치게 되고, 그 결과 다양한 형태의 건성안을 나타내게됩니다. ① 눈물의 오스몰 농도 증가 (tear osmolarity) 눈물의 오스몰 농도의 증가는, 안구 표면의 상피 손상으로 이어지고, 이는 안구..
2018.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