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40

감염성 포도알균성 눈꺼풀염증 (Staphylococcal blepharitis) 포도알균성 눈꺼풀염증.. Staphylococcus blepharitis 는... 문자그대로, 피부에 상재하는 포도알균(staphylococcus)이.. 눈꺼풀에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켜, 눈꺼풀염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포도알균(Staphyloccus)은 출생이후 얼마 안되서 부터 전신의 피부에 산재하게되고, 비강이나 비인두에도 존재하게됩니다. 눈꺼풀에 존재하는 포도알균은 크게 3가지 종류가 발견되는데.. 이중 병원성이 있는 균은 황색포도알균(S. aureus), 표피포도알균(S. epidermidis)이 있으며, 병원성이 작은균으로는 부생성 포도상구균 (S.saprophyticus) 이 있습니다. 눈꺼풀의 작열감과 자극감의 악화와 완화가 반복되는 Wax and Wane pattern 을 보이는것이.. 2018. 3. 8.
실모양각막염, 각막 필라멘트(filamentary keratitis) 의 치료 방법, 치료법 실모양각막염(filamentary keratitis)은... 안구건조증(dry eye disease)상윤부 각결막염(Sup. limbic keratitis, SLK),바이러스성 각결막염, 재발성 각막미란(Recurrent corenal erosion) 이러한 많은 안과적 질환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모양각막염(filamentary keratitis)은 임상적으로 안구 통증, 눈부심,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사상체의 크기, 모양, 분포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각막의 기저부에 부착되어 있고 플루오르세인과 로즈벵갈로 잘 염색됩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실모양 각막염, 사상 각막염, 필라멘트 각막염 (filmentary keratitis)의 발생원인, 기전,.. 2018. 3. 8.
실모양 각막염, 사상 각막염, 필라멘트 각막염 (filmentary keratitis)의 발생원인, 기전, 임상양상, 증상 예전 용어로는 사상 각막염 (絲狀).. 현재 용어로는 실모양 각막염.. 필라멘트 각막염 (filamentary keratitis)는... 각막 표면에 실모양체(filament)가 형성되는 질환을 통칭합니다. 실모양체(사상체, 필라멘트, filament)란.. 여러원인이 되는 질환들에 의해서 각막상피의 손상이 유발되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눈물막의 화학주성 변화가 일어나게되고, 이러한 변화는 손상을 입은 각막상피세포와 점액을 결합시켜, 필라멘트가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실모양체(filament)는 점액과 각막상피의 복합체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실모양 각막염 (filamentary keratitis)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중 가장 많은 원인이자, .. 2018. 3. 7.
지속성 각막 상피결손 (Persistent Corneal epithelial defect, PED)의 치료 방법 정상적으로.. 각막상피는 벗겨진 각막표면위로.. 빠르게 재생되게 됩니다. 그러나 각막 상피결손이 치유되지 않고, 지속성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지속성 각막상피결손(PED)은..눈물층의 이상, 각막상피자체의 이상(intricsic epithelial disorders), 상피기저막의 장애(epithelial basement membrane disorders), 눈꺼풀의 이상대사 장애감염이나 염증, 면역학적 질환외상이러한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서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속성 각막상피결손이 적절히 치료되지 않는다면, 각막 실질이 심하게 녹거나, 이차감염, 또는 기존의 각막 질환이 더욱 악화될수 있습니다. 이는 앞서 살펴본 반복상피미란 (Recurrent epithelial erosion, .. 2018. 3. 7.
안면신경 마비 (facial palsy)와 토안 (lagophthalmos), 노출 각막염 (Exposure keratopathy) 안면 신경 마비 환자는.. 안면신경마비(facial nerve palsy)로 인해.. 안윤근 (orbicularis oculi)이 수축할수가 없어.. 눈을 감는다고 하더라도, 눈꺼풀의 폐쇄가 불완전하여.. 안구가 계속 노출되게 됩니다. 이런경우 각막의 보호가 일차적인 관심사이며, 더불어 미용상의 문제가 뒤따를수도 있습니다. 지속적인 각막 노출은, 노출성각막염(exposure keratopathy), 각막미란, 각막궤양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12개의 뇌신경중 7번 뇌신경인 안면 신경 (facial palsy)은.. 눈을 꾹감게 하는 근육인 눈둘레근(안윤근, orbicularis oculi)에 관여하는데, 안면신경의 마비는, 눈둘레근의 마비로 인해서 눈을 꾹감게하는것을 불가능하게 합니다. 의식.. 2018. 3. 7.
신경 영양 각막염, 신경영양 궤양 (neurotrophic keratitis, ulcer)의 증상, 임상양상 신경영양각막염 (neurotrophic keratitis).. 신경영양궤양 (neurotrophic ulcer)은.. 각막 신경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지속적인 각막상피의 손상과, 이어 발생하는 각말실질 궤양을 의미합니다. 신경영양각막염의 원리 및 발생기전에 대한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이 질환의 증상 및 임상양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각막신경이 잘리면 발생하는 문제, 신경 영양 각막염, 신경영양 궤양 (neurotrophic keratitis, ulcer, epitheliopathy)의 원인, 발생 기전 신경영양각막염 (신경영양 각막궤양, neurotrophic ulcer)의 임상단계는 크게 3단계로 나뉠수 있습니다. 신경영양각막염의 1단계 아래눈꺼풀 .. 2018. 3. 6.
각막신경이 잘리면 발생하는 문제, 신경 영양 각막염, 신경영양 궤양 (neurotrophic keratitis, ulcer, epitheliopathy)의 원인, 발생 기전 신경영양각막염 (neurotrophic keratitis) 신경영양궤양 (neurotrophic ulcer) 신경영양성 상피질환 (neurotrophic epitheliopathy) 이는.. 뇌신경 5번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으로부터 기시한 각막지각신경(corneal nerve)의 결손으로 인해.. 각막지각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신경영양각막염은... 각막신경이 손상되어 발생하는각막상피의 손상이 발생상피결손의 치유지연 및 지속적인 각막상피결손의 발생진행성의 각막 실질 궤양이러한 것들을 특징으로 합니다. 삼차신경의 주행 부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어떠한 질환도 신경영양각막염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뇌신경 5번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의 핵에서부터, .. 2018. 3. 6.
반복각막진무름, recurrent corneal erosion syndrome, RCE, RES 의 수술적 치료 방법 반복각막진무름(recurrent corneal erosion)은... 각막상피가 반복적으로 벗겨지는 질환입니다. 많은 경우에 항생제 안약, 인공누액, 고삼투압제제, 치료용 콘택트렌즈의 사용, 자가혈청 국소점안 이러한 복합적인 약제의 투약이 필요하며, 이러한 약물 치료만으로 성공적으로 치유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초기의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재발이 반복되는 난치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런 보존적인 치료법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결국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반복각막진무름(RCE)의 수술적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죽은조직제거술 (debridement) 및 각막상피바닥막 제거술 죽은조직제거술 (debridement, 데브리망)은.. 문자그대로, 15번 bl.. 2018. 3. 6.
반복각막상피미란 (반복각막짓무름, recurrent corneal erosion syndrome)의 진단 및 약물적 치료 방법 반복각막진무름은... 1872년 안과의사 Hansen 에 의해.. 임상적으로 처음 언급된 질환으로.. 안과에서 비교적 흔히 접할수 있는 질환입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반복 각막 진무름(짓무름), 반복각막미란 (Recurrent Corneal Erosion Syndrome, RCE, RCES, RES)의 임상양상, 증상, 원인, 발생기전 대부분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잠에서 깰때, 갑자기 발생하는 강한 통증과, 지속적인 눈 불편감, 눈물흘림, 눈부심을 유발하고, 시력저하를 가져올수 있습니다. 반복각막짓무름의 기전은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정상적으로 각막 상피세포를 각막 기질에 부착시켜주는.. 부착복합체(attachment complex)의 불안정성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 2018. 3.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