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와 안과, 눈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혹은 파종성 혈관내 응고..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는..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혈액응고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혈액응고가 과도하게 진행되는 상태로... 다발성의 혈전(피떡, blood clot)이 체내에 형성되어 각각의 장기로 하는 혈관을 막아, 장기에 미세순환 장애를 일으켜 여러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키며 동시에 혈소판, 혈액응고 인자들의 과소모를 초래하여 출혈을 일으키는 병적 상태를 말합니다. 즉, 혈전 생성으로 인한 장기의 혈액순환장애 와 응고인자의 과소모로 인한 출혈성 경향.. 두가지의 상반되는 상황이 동시에 발생하는 모순적인 상황으로 장기부전이나 출혈과 연관되어 사망률이 높은 질환입니다. DIC에서 안과적 임상 증상..
2018. 5. 31.
망막 대동맥류, Retinal Arterial Macroaneurysm, RAM 의 증상, 양상, 합병증, 치료
당뇨병성 망막 병증이나, 망막정맥폐쇄성 질환에서, 혈관에 작은, 미세한 동맥류(aneurysm)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망막미세동맥류, 혹은 망막미세꽈리(microaneurysm) 라고 부릅니다. 즉, 최대 크기가 100um, 즉 0.1mm 보다 작은 .. 매우 작은 크기의 혈관 동맥류 이기에, 혈관에서 발생하는 점상 출혈(dot hemorrhage)과 구분히 힘들정도입니다. 한편.. 망막대동맥류, retinal macroaneurysm 이란.. 문자그대로, 망막의 혈관에 발생하는.. 동맥류(aneurysm) 중에서 크기가 큰 동맥류입니다. 그대서 대동맥류(macroaneurysm)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대동맥은 최소 크기가 100 um, 즉 0.1mm 이상으로, 최대 크기는 250um, 즉 0.2..
2018. 5. 30.
군날개, 익상편의 수술적 치료 방법, 수술적 제거와 재발률, 합병증과 부작용
군날개는 전 세계적으로 흔하게 발생하는 안과적 질환으로, 유병률은 전체 인구의 0.3 % - 29 % 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군날개의 단순 제거법, 즉, 공막노출법을 이용한 군날개 제거는 간단하고 쉽게 시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오랫동안 시행되어 왔으나, 재발률은 최대 80%까지 보고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군날개의 수술적치료에서 가장 큰 합병증은 재발로서, 재발할 경우 염증성 변화와 각막 침범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며, 이전보다 치료하기가 더욱 힘들어 집니다. 이에 재발을 낮추기 위해 결막피판술, 자가결막이식술, 양막 이식술 등 많은 수술 기법들이 소개되어왔으며, 방사선 조사, Mitomycin-C 접촉 및 점안, Thio-Tepa 점안, Bevacizumab결막하 주사 등의 보조 요법들이 이루어져 왔습니다..
2018.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