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수술, 렌즈삽입술(ICL)이후 발생하는 주변부 각막 부종, 합병증, 부작용 : Brown McLean syndrome (BMS, 브라운맥린증후군)
브라운맥린증후군(Brown McLean Syndrome, BMS)는... Brown과 Mc Lean이 보고한... 백내장 수술후 드물게 발생하는 주변부 각막부종입니다. 1969년 처음 보고되었는데, 전형적으로는 ICCE(In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 수정체낭내적출술)을 시행하고 난뒤... 백내장 수술 이후 오랜 기간이 지나고난다음, 주변부 각막에 각막 부종이 발생하고,(peripheral corneal edema) 각막내피세포에 황갈색 색소침착(endothelial punctate orange pigmentation)이 보입니다. 이때 각막 부종은... 신기하게도, 위쪽을 제외한 전 주변각막에 2~3mm 넓이로 각막부종 발생하며, 5~7mm의 중심부는 부종이 발생하지 않..
2018. 1. 27.
백내장 수술 도중 합병증 : 데스메막 분리 , 데스메막 박리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D's mb detachment), 원인, 치료, 예후
데스메막(descemet membrane)은... 각막내피세포(corneal endothelium)의 기저막입니다. 이는 각막내피세포층에서 합성되어 분비되는 산물이 헤미데스모좀(hemidesmosome) 결합으로 내피세포와 단단한 결합을 이루고 있습니다. 한편 데스메막과 각막 실질간은 단단한 결합이 없이 불안정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안내 수술 도중 데스메막과 각막 실질층 사이에서 분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를 데스메막 분리, 데스메막 박리(descemet membrane detachment)라고 합니다. 데스메막이 분리 되었다함은... 결국 각막 내피가 분리된 것을 의미하기에, 각막 내피의 기능인, 각막의 수분 조절기능이 소실되어, 각막은 만성적인 부종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데스메막의 분리,..
2018. 1. 27.
증식유리체망막병증(PVR :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의 발생기전, 분류, 증상, 양상
이전 포스팅을 통해서, 망막 박리시 발생하게 되는... 증식유리체망막병증(PVR)의 의미, 의의,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망막] 망막 박리와, 증식유리체망막병증(PVR :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PVR의 의의, 원인, 위험인자 이어서 PVR의 증상,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증식유리체망막병증(PVR)은... 망막 박리 이후, 수축성막이 발생하여 유리체와 망막의 구조를 변형시켜, 망막박리를 재발하게하고, 박리된 망막이 재유착되는 것을 막게 됩니다. PVR의 발생과관련있는 세포는... 다음과 같은데...망막박리시 유출되는 망막색소상피(RPE) 세포망막교세포(glial cell)대식세포(Macrophage)섬유모세포(Fibroblast..
2018. 1. 25.
전신 질환 치료를 위한 약물이 나타내는 눈 독성, 안과 부작용, 망막 합병증, 망막 독성
전신 질환 치료를 위해 복용하는 많은 약들은... 눈 독성, 특히 망막 독성을 유발할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대부분의 경우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을 중단하는 경우 시각 장애는 가역적이거나, 후유증이 많이 남지 않습니다. 하지만 어떠한 경우에는 비가역적인, 영구적인, 그리고 진행하는 시력 손상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눈에 독성을 일으킬수 있는, 특히 망막에 독성을 일으키는 약물들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약물들이 망막에 일으키는 독성 (retinal toxicity)는 다음과 같이 분류 될수 있습니다. 1. 망막 및 망막색소상피(RPE : Retinal pigment epithelium)의 손상 [링크] : 페노티아진(phenothiazine) 계열약물: 항-정신병 (정신분열병, 조현..
2018.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