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속 결핵, 안결핵과, 맥락막 결핵결절(choroidal tubercle), 맥락막 결핵종(choroidal tuberculoma)
안결핵(ocular TB)은 1740년 Maitre Jan 이 최초로 보고한 이후,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보고되었으며, 맥락막결절(choroidal tubercle)은.. 1930년 Geuneau de Mussy 가 속립성 결핵 환자에서 처음 인지하였습니다. 한때는 포도막염의 많은 원인으로 생각되었던 결핵은 이제는 드문 안질환이 되었습니다. 그 양상은 흔히 맥락막 결결이나 맥락막결핵종, 포도막염으로 나타나고, 그 발생과 경과는 감염된 세균이 양과 독성, 조민과민성의 정도, 숙주의 선천적, 수천적 저항력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맥락막 결핵결절(choroidal tubercle)은 폐결핵 등의 전신 감염을 일으키고 있는 결핵균이 혈행성으로 전파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속립성 결핵(miliary TB)을 진단..
2018. 1. 11.
세균성 안내염(bacterial endopthalmitis)의 예후, 최종 시력과 예방법
세균성 안내염은... 안과의사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안과적 합병증으로... 발생자체는 드물지만, 발생하는 경우 시력을 장담할수 없는 매우 무서운 합병증입니다. 그리하여, 예방이 가장 중요한 질병입니다. 이번에는 세균성 안내염의 예후와, 최종시력, 예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안내염은 안내염을 일으키는 균주에 따라서 다양한 결과를 보입니다. 표피포도상구균(S. epidermidis), 여드름 균(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과 같이 병원성이 약한 균주는 대개 좋은 예후를 보입니다. 하지만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연쇄구균(Streptococcus), 바실러스(Bacillus), 그람음성균 등은 나쁜 예후를 보이게 됩니다. 실제 외국 연구에 따르면...(Am J O..
2018. 1. 10.
세균성 안내염(bacterial endophthalmitis), 세균에 의한 눈속 염증의 원인균
세균성 안내염(bacterial endophthalmitis), 세균에 의한 눈속 염증은... 감염균이 대개 수술, 외상, 그리고 혈행의 세 가지 길을 통해 눈에 들어가게 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세균성 안내염에서 최종시력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기본적으로 감염균의 병원성, 숙주의 방어기전, 치료의 기간, 안내염 진단당시 시력이 광각있음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배양 검사 양성, 감염균의 종류, 내인성 및 외인성 여부, 세균성 안내염의 원인질환 등이 최종시력예후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처럼 원인균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세균성 안내염의 예후와 최종시력이 달라지게 됩니다. 세균성 안내염의 원인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세균성 안내염(bacterial endophthalmitis), 세..
2018.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