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740

망막색소변성증, 색소망막염, Retinitis Pigmentosa, RP 의 정의, 분류, 임상양상, 증상, Retinitis pigmentosa, RP 라고 불리는 이 질환은.. 과거에는 용어를 그대로 직역하여, Retinitis (망막염) + Pigmentosa (색소) "색소망막염" 이라고 불렀습니다. 망막 검사에서 탈색소성 병변과, 이차적인 색소침착이 관찰되며, 그 원인이 염증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연구를 통해, 실제로는 "염증"발생에 의한 것이 아니라, 유전적인 취약 환자들에서 발생하는 변성의 일종이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망막색소변성증", "망막색소상피변성" 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망막색소변성증(Reinitis pigmentosa, RP)은.. 유전질환의 일종으로.. 망막의 시세포(photoreceptor)의 기능장애를 일으켜서, 양안에서 진행성으로, 시야 장애를 일으키게 되는... 2018. 7. 11.
저안압황반병증, 저안압망막병증, Hypotony Maculopathy의 정의, 증상, 안저소견, 검사 저안압황반병증, hypotony maculopathy 는. 안과의사 Deoolaporta에 의해 1954년 처음 기술된 질환으로, 녹내장수술이나, 안구파열 후 흔히 발생합니다. 특히 젊은 나이의 남성, 근시에서.. 녹내장 수술후나 안구 외상이후에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러한 저안압상태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자연적으로 소실될 수 있으나 일부는 각막부종, 백내장, 맥락막박리, 후극부의 맥락망막주름과 시신경유두부종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중, 저안압과 관련되어, 안저 검사상에서 관찰되는 변화를 저안압 황반병증, 저안압 망막병증, Hypotony maculopathy 라고 합니다. 시신경 유두의 울혈, 망막의 주름 및 맥락막의 주름이 발생합니다. 저안압이 발생하게되면, 안구내부의 내용물은 찌부러지는데 반해, .. 2018. 7. 10.
인공수정체(위수정체) 낭포성황반부종, Pseudophakic CME 의 임상양상,증상, 검사 소견 백내장 수술 기법의 발전과, 다양한 인공수정체의 개발은 백내장 수술 후 시력 예후를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하지만 시행되는 수술 건수가 점차 증가하면서 다양한 수술 후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중 낭포황반부종(cystoid macular edema, CME)은 백내장 수술 후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흔한 합병증 중 하나입니다.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하는 낭포황반부종(Pseudophakic CME, PCME)은 대부분 자연 치유되므로 장기적인 시력 예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일부 환자의 경우 수술 후 시력 저하와 변시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증상이 수개월까지 지속되어 치료가 필요할수 있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망막] - 백내장 수술후의 낭포황반부종, Pseudopha.. 2018. 7. 9.
백내장 수술후의 낭포황반부종, Pseudophakic cystoid macular edema (PCME), Irvine-Gass 증후군의 정의, 분류, 원인 낭포황반부종(cystoid macular edema, CME)이란..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macula)에, 물이차는 부종(edema)이 발생하는데.. 황반부종(macular edema, ME)의 형태가 낭포(cyst)의 형태라고 하여.. 낭포성 황반 부종 (cystoid macular edema, CME)이라고 합니다. 낭포성 황반부종(CME)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수 있지만, 그중 안과적인 수술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 특히 가장 흔한 안과 수술인 백내장 수술 이후 발생하는 낭포 황반부종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백내장 수술이후 낭포황반부종은 Cystoid macular edema after cataract operation 이렇게 표현 하기도 하고, 백내장 수술이후, 인공 수정체인 상태에.. 2018. 7. 8.
유리체 황반 견인 증후군, VitreoMacular Traction Syndrome, VMTS 의 정의, 임상양상, 증상, 검사 소견, 치료 유리체 황반 견인 증후군... Vitreao Macular Traction Syndrome, VMTS 이란.. 문자그대로, 유리체가 망막의 황반을 견인하고 당긴다는 의미입니다. 눈의 안쪽공간은 빈공간이아니라, 유리체라고 하는 젤리같은 물질이 있습니다. 이 젤리같은 유리체는 망막과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는데, 특히 황반 부분에서는 조금더 단단하게 붙어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눈이 노화되기시작하면, 유리체 라는 젤리물질은 점점 액화되면서 물처럼 변해하고, 이과정에서 유리체는 망막에서부터 박리되면서 물리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를 후유리체박리(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PVD)라고 합니다. 이때 깔끔하게 후유리체 박리가 일어나면 문제가 없지만, 간혹 유리체가 황반부위에 과도하게 .. 2018. 7. 7.
망막 전막, 망막 앞막, ERM, Epiretinal membrane의 진단, 치료, 수술 망막 앞막, 망막 전막, Epiretinal membrane, ERM 의 망막 앞막, 혹은 망막전막이라고 불리는... Epiretinal membrane 은.. 문자그대로, Epi : 앞에, 위에, Retinal : 망막Membrane : 막 조직즉, 망막의 앞쪽에 생기는 비정상적인 막조직입니다. 시력 저하를 유발할 만한 임상적으로 유의한 ERM 의 90 % 에서 후유리체 박리(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PVD)가 동반되는데.. 이때 유리체 뒷면이 망막의 앞쪽에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망막 표면인 내경계막(Internal limiting membrane, ILM)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내경계막 (ILM) 결손부위를 통해, 망막 표면의 아교세포 (glial c.. 2018. 7. 6.
망막 앞막, 망막 전막, Epiretinal membrane, ERM 의 발생기전, 원인, 증상, 양상, 분류 망막 앞막, 망막 전막 황반 앞막, 황반 전막 이러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EpiRetinal Membrane, ERM 은.. 1865년 안과의사 Iwanoff 에 의해 처음 소개된 질환으로 망막의 가장 안쪽층인, 내경계막의 표면에서 교세포의 증식으로 인해 무혈관성 세포막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대부분은 특발성(idiopathic)으로 원인미상으로 발생하며, 염증성 질환, 망막혈관질환, 외상, 망막박리 등에 의해서 이차적으로 속발성(secondary)으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전체 인구에서 약 7 % ~ 11.8 %의 유병률을 보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50세 이상에서 흔한데, 여성이 남성보다 약간 많거나, 비슷한 유병률을 보입니다. 양안에서 모두 발생.. 2018. 7. 5.
망막 중심부에 발생한 구멍, 전층황반원공, Full thickness macular hole, FTMH 의 경과, 변화, 감별진단, 치료 특발성 황반원공 (idiopathic macular hole, MH)은 약 1000명 당 1명의 유병률을 보이는 비교적 흔한 질환입니다. 이는, 중심 시력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망막의 "황반" 부분에 신경조직의 "부분층 혹은 전체층의 결손" 이 발생하여, 중심 시력 저하 및 시기능 손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부분층의 결손이 발생한 경우를,부분층 : Lamellar 황반 : Macular원공 : Hole이처럼 앞글자를 따서, 부분황반원공, 표층황반원공(Lamellar Macular hole, LMH)라고 하며, 진행하여 전체층에 결손이 발생하게 되면,전층 : Full thickness황반 : Macular원공 : Hole이라하여, 앞글자를 따서, 전층황반원공 (Full thickness Macular.. 2018. 7. 4.
특발성 황반원공, Idiopathic macular hole 의 분류, 단계, 증상, 원인 황반원공, Macular hole 이란.. 시력의 90% 를 담당하는 영역인..망막의 중심, 황반부에 발생한, 원공, 구멍으로.. 황반부 망막 조직의 부분 혹은 전층의 결손을 의미합니다. 황반원공(Macular hole, MH)은.. 다른 기저적인 원인이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 황반원공 (idiopathic macular hole, Idiopathic MH)이 가장 흔합니다. 특발성 황반원공은, 황반원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여성에서 남성보다 3배 정도 많이 발생하고, 60대 ~ 70대의 고령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노인성 황반원공 (senile macular hole)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특발성 황반원공의 발생 원인에 대한 가설은 여러 가지 설명이 있으나, 가장널리 이해되고 있는 가설이.. .. 2018.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