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732

특발성 황반원공, Idiopathic macular hole 의 분류, 단계, 증상, 원인 황반원공, Macular hole 이란.. 시력의 90% 를 담당하는 영역인..망막의 중심, 황반부에 발생한, 원공, 구멍으로.. 황반부 망막 조직의 부분 혹은 전층의 결손을 의미합니다. 황반원공(Macular hole, MH)은.. 다른 기저적인 원인이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 황반원공 (idiopathic macular hole, Idiopathic MH)이 가장 흔합니다. 특발성 황반원공은, 황반원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여성에서 남성보다 3배 정도 많이 발생하고, 60대 ~ 70대의 고령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노인성 황반원공 (senile macular hole)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특발성 황반원공의 발생 원인에 대한 가설은 여러 가지 설명이 있으나, 가장널리 이해되고 있는 가설이.. .. 2018. 7. 3.
중심성 맥락망막염 (Chorioretinitis centralis),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의 치료 방법 흔히 중심성 맥락망막염(chorioretinitis centralis)라고 불리는,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은.. 다른 안과적 또는 전신적인 질환이 없으면서, 맥락막과 망막색소상피(RPE)의 병적 변화와, 동반된 장액망막박리(Serous retinal detachment, SRD)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맥락막혈관의 투과성 증가와, 망막색소상피(RPE)의 기능저하가 그 병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SC는 대부분의 경우 3개월 이내에 자연 호전되고, 좋은 시력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의 5% 정도에서,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며 황반부에 망막 박리가 지속되고, 잦은 재발을 보이면서망막색소상피 위축 (RPE atro.. 2018. 7. 2.
전형적, 비전형적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typical & atypical CSC)과, 그 자연 경과, 예후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은 안저 후극부 중심부에서, 원형의 장액성 감각망막박리(Serous sensory retinal detachment, SRD)가 특징적인 맥락막과, 망막색소상피세포(RPE)의 질병입니다. 중심시력저하, 암점, 변시증, 소시증 및 대비감도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며 중, 장년층의 남성에서 호발하며, 특히 아시아인과 백인에서..A형 성격의 소유자스테로이드제제의 사용스트레스성 요인들이러한 요일들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망막] - 중심 장액 맥락 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 CSCR)의 위험인자, 역학, 원인, 증상, 소견 대부분의 중.. 2018. 7. 1.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CSC)에서의 형광안저촬영 (FAG), 인도사이아닌그린(ICG), 안구단층촬영(OCT) 소견 및 감별질환 중심 장액 맥락 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itis, CSC 는 과거에는, 망막이 일차 병소라고 생각되어, 중심성 장액 망막염, Central serous retinopathy특발성 황반 박리증, Idiopathic flat detachment of the macula중심성 혈관연축망막병증, Central angiospastic retinopathy 이렇게 불리웠던 질환입니다. 연구가 거듭됨에 따라, 망막 아래의 맥락막에서부터 염증이 시작되어, 맥락막 모세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맥락막에 단단히 붙어있던 망막색소상피세포(RPE)가 박리되는 등 맥락막과 망막색소상피(RPE)의 변화가 우선되고, 망막색소상피박리(RPE detach, PED)에 의해 이차적으로 장액망막박리(Ser.. 2018. 6. 30.
중심 장액 맥락 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 CSCR)의 위험인자, 역학, 원인, 증상, 소견 중심 장액 맥락 망막병증 중심성 장액성 맥락막 망막 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 CSCR 은, 과거에는 중심성 망막염, 중심 장액성 망막염으로 불렸습니다. 망막의 "중심"부에, 염증이 발생하는 "망막염"으로 인하여 혈관에서부터 "장액성 누출"이 발생한다고 생각하여 "중심 장액성 망막염, Central serous retinitis" 라고 불렸지만 현재는 그 원인이 망막이 아니라, 맥락막이 주된 병소라는 것이 알려져, 망막의 "중심부"에 "장액성 누출"이 관찰되는 "맥락막"이 주된 병소이고, "망막" 이 이차적인 병소인, "중심 장액 맥락 망막 병증, Central Serous Choioretinopathy" 이라고 이름이 붙여지고 있습니다. 중심장액맥락망막병.. 2018. 6. 29.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myopic CNV)의 자연 경과, 치료 방법, Fuchs spot(푹스반점) 고도 근시 환자에서 급격한 시력 감소와, 사물의 찌그러져보임(변시증)이 나타나면, 반드시 감별해야만 하는 것 중 하나가,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myopic CNV) 입니다.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myopic CNV)의 증상, 검사소견에 대한 이전 포스팅에 이어..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망막] - 고도근시에서 발생하는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 망막하 신생혈관 Myopic CNV 의 자연 경과와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myopic CNV)은, 황반변성에서의 맥락막 신생혈관 (CNV in AMD)과는 달리, 활성도가 약하고, 누출이 심하지 않으며, 때로는 자연 소멸되는 경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CNV 가 퇴화하면서 망막에 위축이 발생하면, 위축에 의해서도 시력 .. 2018. 6. 28.
고도근시에서 발생하는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 망막하 신생혈관 맥락막신생혈관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이란.. 안구벽의 중간층을 구성하는 혈관조직인 맥락막에서부터, 안구의 신경층인 망막쪽으로, 비정상적 혈관이 자라나는것을 말합니다. 맥락막 신생혈관 (CNV)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환이 나이관련 황반변성(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이며, 그 다음이 지금 이야기할 고도근시에서 발생하는 신생혈관인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myopic CNV)입니다. 초고도근시에서는 안구가 길어지고 확장되면서, 망막과 맥락막이 극도로 얇아지게되는데, 맥락막의 위축으로 인한 맥락막 실질의 소실, 맥락막의 큰 혈관의 폐쇄, 맥락막의 혈관 혈류 저하, .. 2018. 6. 27.
고도 근시에서 발견되는.. 락카칠균열, lacquer crack 고도근시는 일반적으로 -6 디옵터(Diopter) 이상의 굴절이상을 말하며 전체 근시의 약 2% 정도로.. 안축장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지면서 후극부의 망막 및 맥락막과 공막을 팽창시켜 이러한 조직들이 얇아지거나 찢어지고 혈관의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망막과 맥락막의 사이에는, 브루크막(bruch membrane)이라는 막이 있는데, 브루크막은 신축성이 없는 막으로, 망막의 가장 심층인 망막색소상피(RPE)와, 맥락막의 가장 표층인 맥락막모세혈관(choriocapillaris)의 사이에 위치합니다. 병적 고도근시에서 안축장이 길어지면서, 신축성이 없는 조직인 브루크막은 균열이 발생할수 있는데, 마치 나무 가구에다 락카칠을 해놓은것에서 균열이 발생한것처럼 생겨서 락카칠 균열(lacquer crack)이라고 .. 2018. 6. 26.
고도근시에서 발생하는 망막색소상피위축(RPE atrophy), 망막 및 맥락막의 위축 (chorioretinal atrophy) 안구를 둘러싸는 가장 외막인 공막은, 신축성이 있고 늘어나지만, 중간막인 혈관조직 맥락막과, 내막인 신경층 망막은 신축성이 없습니다. 고도근시에서는 안구의 전후 길이 (안축장)가 길어지고, 이에 따라 전반적인 안구의 크기가 정상보다 커집니다. 명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신축성이 없는 조직인 망막과 맥락막은 고도근시에서 점점 얇아지다가 결국 위축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초기에는 망막의 가장 아래층인 망막색소상피층(RPE)에서부터 위축이 발생하고 (RPE atrophy) 시간이 지나면서 맥락막 위축이 동반되어, 맥락망막위축이 발생합니다. (chorioretinal atrophy) 위축은 국소적으로나, 광범위하게 발생하며, 한개 또는 여러개의 황백색 병변이 발생합니다. 대개 경계는 명확하여, 진.. 2018.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