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성 눈꺼풀 처짐, Traumatic ptosis : 외상에 의한 눈꺼풀 손상과 신경손상에 의한 안검하수
눈꺼풀을 들어올리는 근육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은, 윗눈꺼풀올림근(상안검 거근, Levator palpebrae superioris)입니다. 이는 안구 뒤편에서부터 기시하여, 윗눈꺼풀에 도달하게되는데, 기시부 근처에서는 근육(muscle)의 형태로 되어 있어, 윗눈꺼풀올림근이라고 불리며, 부착부 근처에서는 건막(tendon)의 형태로 되어 있어, 윗눈꺼풀올림근널힘줄이라고 불립니다. 즉, 눈꺼풀에 도달하는 부위에서는 하얀 건막의 형태로되어 있어, 상안검 거근 건막(Levator aponeurosis)이라고 불립니다. 눈에 개방성 외상이 발생시, 윗눈꺼풀올림근널힘줄(상안검 거근 건막, Levator aponeurosis)의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 외상성 눈꺼풀 처짐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눈꺼풀의 ..
2018. 10. 12.
호너 증후군, 호르너 증후군, Horner syndrome, Horner's syndrome 의 정의, 원인
호르너증후군은 교감신경의 이상으로 눈꺼풀처짐 : Ptosis축동, 동공 축소 : Miosis이환된 안면의 무한증 (땀이나지않음) : Hemi-anhydrosis세가지의 임상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입니다. 다른 용어로는 Bernard-Horner syndrome 혹은 Oculosympathetic palsy 라고도 불립니다. 교감신경은 두개내의 시상하부에서부터 시작하여, 안교감신경 경로(oculosympathetic pathway)를 따라 안구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때의 안교감신경경로의 어디에서라도 손상이 발생하여, 교감신경에 장애가 발생하게되면, 호르너 증후군이 발생하게됩니다. 교감신경이 시작하는 시상하부와, 도달해야하는 종착지인 눈은 실제로는 위치상 매우가까이에 바로 붙어있습니다. 하지만, 시상하부..
2018. 10. 10.
신경성 눈꺼풀 처짐(neurogenic ptosis)과 동안신경마비(눈돌림 신경 마비, oculomotor nerve palsy)
눈꺼풀을 올리는 데 작용하는 근육에는 눈꺼풀올림근(상안검거든)뮐러근(뮬러근)이마근3가지 근육이 있으며, 이중 눈꺼풀올림근(상안검거근, levator palpabrae m.)이 눈꺼풀올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중 눈꺼풀 올림근과, 뮐러근은 뇌신경 3번의 지배를 받고 이마근의 경우 뇌신경 7번의 지배를 받습니다. 뇌신경 3번, 눈돌림신경 (동안신경, oculomotor nerve) 뇌신경 3번은 눈돌림신경(동안신경, oculomotor nerve)으로, 이름에서 알수있다시피, 안구의 상전, 내전, 하전이라는 눈돌림, 눈의 움직임 동공반사 눈꺼풀 올림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뇌신경 3번의 마비, 즉 눈돌림신경마비(동안신경 마비)가 발생하면, 눈꺼풀 올림근에의 신경 자극이 없어지..
2018. 10. 9.
눈꺼풀틈새 축소증후군, 검열축소증후군, Blepharophimosis syndrome, Blepharophimosis-ptosis-epicanthus inversus syndrome, BPES
눈꺼풀틈새 축소 증후군, 과거 용어로 검열축소증후군 으로 불리던 Blepharophimosis syndrome 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 또는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드문 유전질환입니다. 공통적으로 복잡한 눈꺼풀 기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눈꺼풀틈새 축소 (검열축소), Blepharophimosis눈꺼풀 처짐 (안검하수), Ptosis거꿀 눈구석 주름(역내안각 주름, 역내안각 췌피), Epicanthus inversus눈구석 벌어짐증 (안각 격리증), Telecanthus이 4가지의 증상이 동시에 나타납니다. 이러한 공통적인 소견에 따라서, 질병명을 이름붙이게된것으로, Blepharophimosis - Ptosis - Epicanthus inversus 에서부터 각각 앞글자를 따서, BPE syndrome, BP..
2018. 10. 8.
선천성 눈꺼풀 처짐, 선천 근성 안검하수, Congenital myogenic ptosis
눈꺼풀처짐, 안검하수, Ptosis 는 정면주시시 비정상적으로 눈꺼풀이 처지는 질환으로 선천성, 퇴행성, 신경성, 외상성, 기계성 등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그중, 출생시부터 발생하는 눈꺼풀 처짐을, 선천성 눈꺼풀 처짐(congenital ptosis)이라고 하며, 그 원인은 눈꺼풀 올림을 담당하는 근육인 눈꺼풀 올림근(levator palpebrae muscle)의 발달 장애로 인하기 때문에, 근육성 눈꺼풀 처짐, 근성 안검하수(myogenic ptosis)라고 합니다. 선천성 근성 안검하수, Congenital myogenic ptosis 선천성 근성 안검하수는, 태생기 4개월에 정상적으로 분화되어야 하는 눈꺼풀올림근의 발달장애로 생기는 근육성 눈꺼풀처짐입니다. 눈꺼풀 올림근의 발달장애로 인한 근육의..
2018. 10. 6.
눈꺼풀을 올리는 근육, 눈을 뜨게 하는 근육, 윗눈꺼풀당김기, Upper lid retractor
의식적이나, 무의식적으로 눈을 감게하는 근육은 눈둘레근, 혹은 안윤근이라고 불리는 Orbicularis oculi muscle 입니다. 이는 이름에서 알수있듯이 눈을 둘러싸는 형태로 되어있어 근육이 수축하면 눈주변의 눈꺼풀을 닫는 역할을 합니다. 즉, 눈꺼풀을 아래로 내리게 하고, 눈을 감게하는 근육에 해당합니다. 반면, 눈꺼풀을 올리는 역할 즉, 눈을 뜨게하는 근육은 윗눈꺼풀당김기라고 합니다. 윗눈꺼풀당김기(Upper lid retractor)는 1개의 근육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근육이 함께 역할을 합니다. 윗눈꺼풀을 위로 당겨주는 역할을 하는 근육에는..눈꺼풀올림근(levator palpebral muscle)뮐러근(superior tarsal muscle of Muller)이마근 (fron..
2018.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