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증식 당뇨성 망막증에서의 경성 삼출물 (hard exudate, HE)과 면화반(cotton wool spot, CWS)
비증식 당뇨병성 망막증, Non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NPDR 에서는, 망막의 미세혈관류망막출혈의 발생경성 삼출물면화반망막 정맥의 변화망막의 미세혈관이상이러한 변화들이 관찰됩니다. 앞선 포스팅에 이어서, 경성삼출물과 면화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망막] -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 Non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에서의 미세혈관류와, 망막출혈 경성삼출물, hard exudate (HE)란.. 모세혈관에서 lipoprotein 이 세포외 공간으로 누출되어 침착된것을 말합니다. 즉, 망막의 혈관에서부터 지질 성분이 누출되면서 망막에 침착되는 것으로.. 특히,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특히 경성..
2018. 8. 6.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 Non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에서의 미세혈관류와, 망막출혈
당뇨망막병증, Diabetic retinopathy, DR은.. 크게 비증식성과, 증식성으로 나뉩니다. 증식성 망막병증(Proliferative DR, PDR)이란, 문자그대로 망막에 신생혈관, New vessel 이 발생하여 증식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비증식성 망막병증(Non Proliferative DR, NPDR)이란 아직까지 신생혈관의 발생없이 유지되고 있는 단계로, 그 정도에 따라가벼운 NPDR, Mild NPDR중등도 NPDR, Moderate NPDR심한 NPDR, Severe NPDR이렇게 분류하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비증식성 망막병증(Non Proliferative DR, NPDR) 에서의 안저 소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세혈관류, Microaneurysm 이란, 모세혈관의..
2018. 8. 5.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의 역학 및 발생 기전
당뇨병은.. 그 병리학적 과정이 규명되고, 내과적인 치료법이 발달됨에 따라, 당뇨병 환자의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당뇨병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뇨로 인한 눈의 합병증인, 당뇨병성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역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당뇨병성 망막증은 망막의 미세혈관 변화가 주요병변으로, 단순형(simple)과 당뇨병성 황반증(maculopathy) 으로 분류되는 비증식형(Non-proliferative type)과, 시력예후가 나쁜 증식형(Proliferative type)으로 분류될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당뇨망막병증의 위험인자로는..당뇨병의 유병기간, Duration고혈당증, hyperglycemia고혈압, Hypertension고지질혈증, dy..
2018. 8. 4.
안과 의학논문번역 : 0.1% 저농도, 0.18% 중간농도, 0.3% 고농도 히알루론산 성분 인공눈물들의 효과, 효능 비교
안구건조증 치료에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고, 가장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인공 눈물 성분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의 농도에 따른 안구건조증 치료효과 비교에 대한 논문입니다. 안과 논문 번역 제 83 번째 논문으로, Journal of Ocular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에 2018년 게재된 논문입니다. Comparison of 0.1%, 0.18%, and 0.3% Hyaluronic Acid Eye Drops in the Treatment of Experimental Dry Eye 실험적 안구건조증의 치료에 있어 히알루론산 농도 0.1% 제제, 0.18% 제제, 0.3% 제제의 효과 비교입니다. [논문으로 보는 안과 눈 이야기/안구건조증과 마이봄..
2018. 8. 3.
논문번역 : 안구건조증 치료에 있어서의 0.1%, 0.18%, 0.3% 서로다른 농도의 히알루론산 인공눈물의 비교
안구건조증은, 눈을 촉촉하게 해주는 눈물의 생성 자체의 부족 눈물막의 불안정성에 의해 발생하는 눈물 증발 증가 혹은 이들 둘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눈물생성의 부족과, 눈물의 증발 증가 에 의해서 안구 표면에 고삼투압성의 조직 손상이 일어나는 것이 현재 안구건조증의 기전으로 생각됩니다. 눈물 생성부족과, 눈물 증발 증가는 안구표면에서 삼투압을 상승시키게되고, 이는 안구표면에 염증세포를 불러들여, 염증세포에 의한 염증에 의해, 각막 상피세포의 자멸사(apoptosis)과, 결막의 술잔세포(배상세포)의 자멸사으로 이어지게됩니다. 따라서, 인공 눈물을 점안함으로써, 안구표면을 항상 습윤하고 촉촉하게 만들어주는 것은, 안구표면의 삼투압을 낮추어주어, 염증세포에 의한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하여 줄것입니다...
2018. 8. 2.
시신경 유두 결손, Optic disc coloboma, 맥락망막 결손, Chorioretinal coloboma
콜로보마, Coloboma 는, 눈의 발생과정에서의 이상으로 인해, 시신경 유두(optic disc)나 맥락망막(chorioretina)에 정상조직이 결손되어 있는 병입니다. 눈의 발생과정에서, 태생 33일 ~ 40일 사이에, optic cup(안배)의 하비측에 위치한 태아 열구 (embryonic fissure)의 유합이 이루어지는데, 적도부에서부터 유합이 이루어지고, 앞뒤로 진행하면서 유합됩니다. 이과정에서 열구(fissure)의 유합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져서, 빈틈이 발생하게되면, 그 정도에 따라서 홍채에서부터 시신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와 범위의 결손이 발생하게 됩니다. 소안구증이나, 무안구증은 이러한 콜로보마의 극단적인 형태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시시경 유두의 결손은.. 갓 태어난 신생아에서 ..
2018. 8. 1.
시신경 유두 소와, optic pit, optic disc pit
시신경 유두 소와, optic pit 은.. 문자그대로, 시신경 유두에 소와(pit)가 관찰되는 질환으로, 선천성 혹은 후천성으로 모두 발생할수 있습니다. 선천성 시신경 유두 소와, Congenital Optic Pit (Congenital optic disc pit)은.. 1만명 중에 1명꼴로 매우 드문질환으로, 85% 에서 단안에서 발생합니다. 대부분 무증상으로, 정기적인 안저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됩니다. 시신경 유두 소와, optic pit, optic disc pit 의 임상양상 시신경 유두의 하이측에 회백색의 타원형의 함몰이 발견됩니다. 가장흔하게 발견되는 방향이 하이측이지만, 어느 방향에서나 발생할수 있습니다. 대부분 한개의 소와가 보이지만 2개~ 3개의 소와가 한 시신경 유두에서 발생하기도 합..
2018. 7. 30.
나팔꽃 증후군, Morning glory syndrome 의 임상양상, 증상, 동반 질환
나팔꽃 증후군은 매우 드문 시신경유두 결손 질환의 한 종류로서, 안저 검사에서 특징적인 소견으로 시신경유두 중심부의 확장된 함몰, 시신경유두 주변부의 맥락망막 색소 상피에 의한 융기, 시신경유두 경계에서 시작되어 방사성으로 곧게 주변부로 뻗어 가는 망막 혈관 이러한 소견들이 관찰됩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망막] - 나팔꽃 모양 시신경 유두 이상, Morning glory optic disc anomaly 의 정의, 원인, 안저 소견, 검사소견 나팔꽃 증후군 환자의 대부분에서 시력이 불량합니다. 하지만, 시신경 침범의 정도에 따라서 1.0 에서부터 완전한 광각 소실에 까지 다양하게 나타날수 있습니다 또한, 내사시나 외사시 모든 형태로, 사시가 발생하여, 약 90% 환자에서 사시가 동반되며, 백색동공..
2018.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