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pergillus, 아스퍼질러스, 국균에 의한 눈주위 감염, 안와 감염, Orbital Aspergillosis
아스퍼길러스, 아스퍼질러스 아스페르길루스, 아스페르질루스 혹은 국균증이라고 불리는, Aspergillosis는, 칸디다균(Candida spp.)에 이어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두 번째로 흔하게 발생하는 기회감염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침윤성 아스퍼질러스증(Invasive aspergillosis)은 주로 코와 부비동에서 시작하게 되는데, 코에만 감염이 머무르지 않고, 주위로 감염이 퍼져나갈수있습니다. 앞서 살펴본, 뮤코르 진균증(털곰팡이증, mucormycosis)에서와 마찬가지로,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성형안과] - 뮤코르 진균증, 모균증, 뮤코르 곰팡이에 의한 안와 연조직염, Orbital Mucormycosis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성형안과] - 뮤코르 진균증, rhinocerebral..
2018. 8. 23.
안과 논문 번역 : 마이봄샘기능장애에서의 IPL 치료와 기름샘 짜기(마이봄샘 압출) 병행치료의 효과
마이봄샘기능장애,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는 눈꺼풀 테두리에 존재하는 기름샘인 마이봄샘에서 발생하는 이상으로, 마이봄의 배출구가 막히거나, 마이봄 자체의 질적, 양적 변화가 발생한 상태입니다. 마이봄샘 기능장애(MGD)는 눈물막의 변화, 안구 자극감의 증가, 눈꺼풀 테두리의 염증, 안구 표면의 질환의 발생으로이어지게되며, 특히 국내를 포함하여,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인에서흔하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특히 나이든 환자에서 서양에서는 유병률이 3.5% ~ 21.9% 에 불과한데 비해 아시아인에서는 46.2% ~ 69.3% 에 달하는 높은 유병률을 보이게 됩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마이봄샘 기능장애 (MGD)의 치료는인공눈물 점안(artificial tear)항염증제 (an..
2018. 8. 21.
골막하농양(Subperiosteal abscess), 안와농양(Orbital acscess), 해면정맥굴혈전(Cavernous sinus thrombosis)
안와 연조직염(Orbital cellulitis)은, 코곁굴염(sinusitis)눈꺼풀염(blepharitis)눈물주머니염(dacryocystitis)혈행성 전파(hematogenous origin)외상(trauma) 이러한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감염이 파급되어 나타나는 대표적인 안와 감염 질환으로 소아에서는 안구돌출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됩니다. 안와 연조직염의 가장흔한 원인은, 코곁굴염, 즉 급성축농증인데, 축농증이 발생한뒤, 염증과 감염이 코의 공간인 부비강에서부터 눈의 공간인 안와 쪽으로 전파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뼈를 타고 코쪽에서부터 넘어온 감염이, 안와내에 퍼져 있는 것이 안와 연조직염(orbital cellulitis)이고, 안와내로 퍼지지 못하고 안와의 골막하에 고여서 농, 고름이 차는 것이..
2018. 8. 20.
어린이, 소아에서의 세균성 안와 연조직염, Orbital cellulitis
안와 주위의 감염성 질환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고 잠재적으로 시력과 생명을 위협할만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입니다. 특히, 안와 연조직염, Orbital cellulitis 는 항생제의 발달과 적절한 사용으로 잘 치료되어 이로인한 합병증의 빈도는 낮아졌지만, 빠르게 진단하고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는다면 실명, 해면정맥굴혈전, 뇌수막염, 경막하축농, 뇌농양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와 연조직염, Orbital cellulitis 는 성인에 비해 소아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실제로 소아에서 발생하는 안구돌출의 가장 흔한 원인이 바로, 세균성 안와연조직염(bacterial orbital cellulitis)입니다. 하지만 소아 환자들은 증상을 잘 호소하지 못하며 전형적인 증..
2018. 8. 19.
안와 연조직염, Orbital cellulitis, 안와 사이막뒤 연조직염, Post Septal cellulitis
안와 연조직염이란.. 눈을 둘러 싸고 있는 뼈인 안와(orbit) 주위의 부드러운 조직(연조직)에 발생하는 염증을 의미합니다. 즉, 눈을 둘러싸고 있는 눈 주위의 피부, 근육, 지방 등의 조직에 감염,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는 안질환으로 성인에 비해 소아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이러한 감염이 발생하는 이유는, 세균 감염에 의한 것으로.. 최근 효과적인 항생제의 사용으로 합병증의 빈도는 낮아졌지만,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는다면 실명, 뇌수막염, 경막하축농, 뇌농양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어,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2018. 8. 18.
안과 당뇨 레이저, PRP 레이저, 범망막광응고술 (Pan Retinal Photocoagulation, PRP)의 부작용, 합병증
범 : Pan망막 : Retinal 광응고 : Photocoagulation 앞글자를 따서 , PRP 레이저라고 불리는 범망막광응고술은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비교적 안전한 치료 방법 입니다. 범망막광응고술의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여러 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첫째, 신생혈관 생성과 연관된 여러 인자들을 분비하는 허혈 상태의 망막이 레이저에 의해 손상되면서 이러한 인자들의 분비가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신생혈관 억제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둘째, 허혈 상태의 외측 망막에 레이저가 도달하면, 레이저는 특히 광수용체를 파괴하게되는데, 이는 망막의 산소 요구도를 줄이게 되어, 상대적으로 망막내층의 산소화를 촉진시키고 내측 망막으로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킨다는 개념입니다. 마지막으로,..
2018.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