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40

뮤코르 진균증, 모균증, 뮤코르 곰팡이에 의한 안와 연조직염, Orbital Mucormycosis 뮤코르 진균증, 혹은 모균증 이라불리는 이 질환은, Mucor, 뮤코르 라고 하는 털곰팡이과에 속하는, 곰팡이(진균)에 의한 눈 주위 감염을 말합니다. 뮤코르 진균의 인체 감염 양상은, 임상 양상에 따라 다섯 가지의 형태를 보힙니다.비두부형(rhinocerebral)폐형(pulmonary)위장관형(gastro-intestinal)전신형(desseminated)피부형(cutaneous) 이 중 가장 흔하고 가장 중요한 형태는 비두부형(rhino-cerebral type)입니다. 이는, 부비동 및 안와의 구조물이 침범되고 이어 머리 안쪽으로 침범하여, 전격적인 뇌막염과 뇌염으로 진행되는 형태로, 코의 감염과 머리 안쪽의 감염 사이에 안와를 거쳐서 진행하기 때문에, 비안와형(rhino-orbital type).. 2018. 9. 16.
눈에 눈이 내리면?? 눈송이 유리체 망막 변성, Snowflake vitreoretinal degeneration, SVD 눈송이 유리체망막변성.. Snowflake vitreoretinal degeneration (SVD) 이란.. 문자그대로, 눈속에 눈이 내린것 같은, 유리체 망막의 변성이 있는 유전성 질환의 일종입니다. 이질환은 상염색체 우성(autosomal dominant) 양상으로 유전되는데.. 환자에 따라서 표현되는 형태가 다양할수 있습니다. 우선, 주변부 망막에 눈송이를 닮은 작은 과립과 같은 침착물(granular-like deposit)이 관찰됩니다. 유리체에서는 섬유성의 변성(fibrillary vitreous degeneration)이 발생하고, 주변부유리체에서는 유리체 응축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수정체에서는 어린나이부터 연소백내장이 발생하게되고, 각막에도 구타타(guttata)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눈.. 2018. 9. 15.
오구치병, Oguchi 병과 야맹증, 미즈오 현상 (Mizuo-Nakamura Phenomenon) Oguchi 씨 병(Oguchi disease)은... 1970년대 처음 발견된 이래, 일본, 미국 및 유럽등지에서 보고되어 왔으며, 국내에서도 수차례 보고된 바가 있는 질환입니다. 이는 야맹증을 주소로 하는 선천성 질환으로, 안저에 회백색 혹은 황금색의 광택을 보이고 2~3시간 이상의 암순응을 하게되면 안저에서 광택이 사라지는 Mizuo-Nakamura 현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오구치 병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Autosomal recessive, AR type)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근친결혼시 62% 의 빈도를 나타낸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야맹증, 즉 어두워지면 잘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유일한 증상인데, 어두운 상태에서 수시간 있고 나면 감각이 상당히 회복되는, 수시간의 적응 후에는 어.. 2018. 9. 14.
경막동맥해면정맥동루, Dural Carotid Cavernous Fistula, Indirect Dural CCF 목동맥해면정맥동루, Carotid artery - Cavernous Sinus - Fistula 앞글자를 따서 약어로 CCF 라고 불리는 이 혈관이상질환은 문자그대로 목동맥(Carotid artery)과, 해면정맥동(Cavernous sinus)사이에 발생한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 Shunt vessel)을 의미합니다. 목동맥해면정맥동루(CCF)로 인한 증상과 임상 징후는 동정맥루(AV shunt)의 크기, 위치, 혈류의 속도, 혈류의 방향에 따라서 다릅니다. 특히 동정맥루 혈류 방향의 경우 동정맥루에서의 동맥에서 정맥으로의 혈류의 배출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방, 후방, 그리고 전후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동정맥루(CCF)에서의 혈류방향이 전방으로 배출된다는 말은, 동정.. 2018. 9. 13.
직접 목동맥 해면굴 샛길(직접 경동맥 해면정맥동 루, Direct Carotid Cavernous Fistula, Direct CCF) 목동맥 Carotid해면 정맥동 Cavernous 샛길 Fistula 혹은 경동맥 Carotid해면정맥동 Cavernous루 Fistula 약어로 CCF 라고 불리는, 목동맥 해면굴 샛길(Carotid Cavernous Fistula)은 외상이나 특발성(원인 미상)으로 경동맥계와 해면정맥동 사이에 단락(shunt)이 형성되어 비정상적 교통이 일어난 상태를 말합니다. 발생원인에 따라 크게 외상성과 자발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혈류 흐름에 따라 고혈류형과 저혈류형으로 분류하기도 하며,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직접형과 경막형(간접형)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직접형 목동맥 해면굴 샛길 (Direct Carotid Cavernous Fistula, Direct CCF) 직접 목동맥 해면굴 샛길(Direct CCF).. 2018. 9. 12.
목동맥 해면굴 샛길, 경동맥 해면정맥동 루, Carotid Cavernous Fistula, CCF Carotid Cavernous Fistula, 예전 용어로는 경동맥 해면정맥동 루 현재 용어로는 목동맥 해면굴 샛길 이렇게 불리는 이 질환은, 문자그대로 목동맥 (경동맥) : Carotid artery (Carotid a.) 와 해면굴 (해면정맥동) : Cavernous Sinus 사이에 발생한 동맥과 정맥 사이의 지름길(샛길, 루, Shunt, Fistula)을 의미합니다. 동정맥 지름길, 동정맥 샛길, Arteriovenous Shunt, AV Shunt 정상적으로 동맥과 정맥 사이에는 직접적인 연결은 없어야 하며, 모세혈관이 존재합니다. 모세혈관의 존재는 우선 표면적을 넓혀서 우리 몸의 조직의 구석구석에 까지 혈류를 공급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동맥의 벽은 혈관벽이 근육으로되어 있고 매우 튼튼한데 .. 2018. 9. 11.
감기 이후에 눈이 빨개지고, 피멍이 들고 눈이 튀어나온다면?? 림프관종, Lymphangioma, Lymphatic malformation, Venolymphatic malformation 우리 신체의 각각의 장기들은 심장으로부터 동맥을 통해서 피를 공급받습니다. 이때 각 장기들에는 혈류를 구석구석까지 공급받기위해, 모세혈관들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해주고난 피들은, 정맥을 통해서 다시 심장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때 모세혈관, 정맥계, 그리고 세포들에서부터 유입된 체내수분의 일부는 림프계, 즉 림프 혈관계로 흘러들어가게 됩니다. 눈주위의 혈관들에도 림프계가 존재하는데, 눈주위(안와)에서 림프계의 순환에 문제가 생기면, 안와 내 림프관 확장증이나 림프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와의 림프관종(lymphangioma)은 대부분 2세 이하의 어린아이에서 약 90% 정도의 발생 빈도를 보이며, 성인에서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세 이하의 어린아이에서 발생하는 .. 2018. 9. 10.
하지 정맥류가 눈에 발생하는 경우, 안와 정맥류, Orbital Varix, Orbital varices 안와 정맥류는.. 매우 드물게 발견되는 질환으로, 만성적인 안구 돌출의 원인중의 하나 입니다. 이때 안구 돌출이란 항상 안구가 돌출되는 것이 아닌, 간헐적인 안구 돌출(intermittent proprolapse)로써, 복압 상승으로 유발되는 간헐성 안구 돌출의 90%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안구 돌출을 초래하며, 복압이 상승하여, 경정맥압이 상승하는 경우 뚜렷한 안구돌출을 관찰할수 있습니다. 발살바법을 시행하거나, 울고난뒤, 배에 힘을 주고 나면, 복압이 상승하고, 목의 정맥압이 상승하여, 정맥류속의 혈류가 저류되면서 정맥류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원리입니다. 안와 정맥류는 주로 단안에서 발생하며 때로는 같은쪽 얼굴이나 눈꺼풀, 코안, 입안에서도 비슷한 정맥류 병변을 관찰.. 2018. 9. 9.
영아 모세혈관종, Infantile Capillary Hemangioma 의 치료법, 치료방법 모세혈관종, Capillary hemganioma 는 영아에서 흔히 발생하기 때문에, Infantile hemangioma 라고 불리며, 병변 모양이 딸기 같은 양상을 보여, Strawberry hemangioma 혹은 Strawberry nevus, 발생학적으로 hemangioblastic hemangioma, benign hemangioendothelioma 등으로 불립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성형안과] - 눈주위에 발생하는 모세혈관종, Capillary hemangioma 의 원인, 임상양상, 증상, 경과 앞서 살펴본것과 같이 모세혈관종(Capillary hemangioma)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소실되는 경과로 인하여,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2018. 9.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