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19

유리체 황반 견인 증후군, VitreoMacular Traction Syndrome, VMTS 의 정의, 임상양상, 증상, 검사 소견, 치료 유리체 황반 견인 증후군... Vitreao Macular Traction Syndrome, VMTS 이란.. 문자그대로, 유리체가 망막의 황반을 견인하고 당긴다는 의미입니다. 눈의 안쪽공간은 빈공간이아니라, 유리체라고 하는 젤리같은 물질이 있습니다. 이 젤리같은 유리체는 망막과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는데, 특히 황반 부분에서는 조금더 단단하게 붙어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눈이 노화되기시작하면, 유리체 라는 젤리물질은 점점 액화되면서 물처럼 변해하고, 이과정에서 유리체는 망막에서부터 박리되면서 물리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를 후유리체박리(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PVD)라고 합니다. 이때 깔끔하게 후유리체 박리가 일어나면 문제가 없지만, 간혹 유리체가 황반부위에 과도하게 .. 2018. 7. 7.
망막 전막, 망막 앞막, ERM, Epiretinal membrane의 진단, 치료, 수술 망막 앞막, 망막 전막, Epiretinal membrane, ERM 의 망막 앞막, 혹은 망막전막이라고 불리는... Epiretinal membrane 은.. 문자그대로, Epi : 앞에, 위에, Retinal : 망막Membrane : 막 조직즉, 망막의 앞쪽에 생기는 비정상적인 막조직입니다. 시력 저하를 유발할 만한 임상적으로 유의한 ERM 의 90 % 에서 후유리체 박리(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PVD)가 동반되는데.. 이때 유리체 뒷면이 망막의 앞쪽에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망막 표면인 내경계막(Internal limiting membrane, ILM)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내경계막 (ILM) 결손부위를 통해, 망막 표면의 아교세포 (glial c.. 2018. 7. 6.
망막 앞막, 망막 전막, Epiretinal membrane, ERM 의 발생기전, 원인, 증상, 양상, 분류 망막 앞막, 망막 전막 황반 앞막, 황반 전막 이러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EpiRetinal Membrane, ERM 은.. 1865년 안과의사 Iwanoff 에 의해 처음 소개된 질환으로 망막의 가장 안쪽층인, 내경계막의 표면에서 교세포의 증식으로 인해 무혈관성 세포막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대부분은 특발성(idiopathic)으로 원인미상으로 발생하며, 염증성 질환, 망막혈관질환, 외상, 망막박리 등에 의해서 이차적으로 속발성(secondary)으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전체 인구에서 약 7 % ~ 11.8 %의 유병률을 보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50세 이상에서 흔한데, 여성이 남성보다 약간 많거나, 비슷한 유병률을 보입니다. 양안에서 모두 발생.. 2018. 7. 5.
망막 중심부에 발생한 구멍, 전층황반원공, Full thickness macular hole, FTMH 의 경과, 변화, 감별진단, 치료 특발성 황반원공 (idiopathic macular hole, MH)은 약 1000명 당 1명의 유병률을 보이는 비교적 흔한 질환입니다. 이는, 중심 시력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망막의 "황반" 부분에 신경조직의 "부분층 혹은 전체층의 결손" 이 발생하여, 중심 시력 저하 및 시기능 손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부분층의 결손이 발생한 경우를,부분층 : Lamellar 황반 : Macular원공 : Hole이처럼 앞글자를 따서, 부분황반원공, 표층황반원공(Lamellar Macular hole, LMH)라고 하며, 진행하여 전체층에 결손이 발생하게 되면,전층 : Full thickness황반 : Macular원공 : Hole이라하여, 앞글자를 따서, 전층황반원공 (Full thickness Macular.. 2018. 7. 4.
특발성 황반원공, Idiopathic macular hole 의 분류, 단계, 증상, 원인 황반원공, Macular hole 이란.. 시력의 90% 를 담당하는 영역인..망막의 중심, 황반부에 발생한, 원공, 구멍으로.. 황반부 망막 조직의 부분 혹은 전층의 결손을 의미합니다. 황반원공(Macular hole, MH)은.. 다른 기저적인 원인이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 황반원공 (idiopathic macular hole, Idiopathic MH)이 가장 흔합니다. 특발성 황반원공은, 황반원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여성에서 남성보다 3배 정도 많이 발생하고, 60대 ~ 70대의 고령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노인성 황반원공 (senile macular hole)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특발성 황반원공의 발생 원인에 대한 가설은 여러 가지 설명이 있으나, 가장널리 이해되고 있는 가설이.. .. 2018. 7. 3.
중심성 맥락망막염 (Chorioretinitis centralis),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의 치료 방법 흔히 중심성 맥락망막염(chorioretinitis centralis)라고 불리는,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은.. 다른 안과적 또는 전신적인 질환이 없으면서, 맥락막과 망막색소상피(RPE)의 병적 변화와, 동반된 장액망막박리(Serous retinal detachment, SRD)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맥락막혈관의 투과성 증가와, 망막색소상피(RPE)의 기능저하가 그 병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SC는 대부분의 경우 3개월 이내에 자연 호전되고, 좋은 시력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의 5% 정도에서,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며 황반부에 망막 박리가 지속되고, 잦은 재발을 보이면서망막색소상피 위축 (RPE atro.. 2018. 7. 2.
전형적, 비전형적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typical & atypical CSC)과, 그 자연 경과, 예후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은 안저 후극부 중심부에서, 원형의 장액성 감각망막박리(Serous sensory retinal detachment, SRD)가 특징적인 맥락막과, 망막색소상피세포(RPE)의 질병입니다. 중심시력저하, 암점, 변시증, 소시증 및 대비감도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며 중, 장년층의 남성에서 호발하며, 특히 아시아인과 백인에서..A형 성격의 소유자스테로이드제제의 사용스트레스성 요인들이러한 요일들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망막] - 중심 장액 맥락 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 CSCR)의 위험인자, 역학, 원인, 증상, 소견 대부분의 중.. 2018. 7. 1.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CSC)에서의 형광안저촬영 (FAG), 인도사이아닌그린(ICG), 안구단층촬영(OCT) 소견 및 감별질환 중심 장액 맥락 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itis, CSC 는 과거에는, 망막이 일차 병소라고 생각되어, 중심성 장액 망막염, Central serous retinopathy특발성 황반 박리증, Idiopathic flat detachment of the macula중심성 혈관연축망막병증, Central angiospastic retinopathy 이렇게 불리웠던 질환입니다. 연구가 거듭됨에 따라, 망막 아래의 맥락막에서부터 염증이 시작되어, 맥락막 모세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맥락막에 단단히 붙어있던 망막색소상피세포(RPE)가 박리되는 등 맥락막과 망막색소상피(RPE)의 변화가 우선되고, 망막색소상피박리(RPE detach, PED)에 의해 이차적으로 장액망막박리(Ser.. 2018. 6. 30.
중심 장액 맥락 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 CSCR)의 위험인자, 역학, 원인, 증상, 소견 중심 장액 맥락 망막병증 중심성 장액성 맥락막 망막 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 CSCR 은, 과거에는 중심성 망막염, 중심 장액성 망막염으로 불렸습니다. 망막의 "중심"부에, 염증이 발생하는 "망막염"으로 인하여 혈관에서부터 "장액성 누출"이 발생한다고 생각하여 "중심 장액성 망막염, Central serous retinitis" 라고 불렸지만 현재는 그 원인이 망막이 아니라, 맥락막이 주된 병소라는 것이 알려져, 망막의 "중심부"에 "장액성 누출"이 관찰되는 "맥락막"이 주된 병소이고, "망막" 이 이차적인 병소인, "중심 장액 맥락 망막 병증, Central Serous Choioretinopathy" 이라고 이름이 붙여지고 있습니다. 중심장액맥락망막병.. 2018. 6.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