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655

함입 안압계(indentation tonometer): 쉬외츠 안압계 및 충격반동안압계 함입 안압계는 각막에 무게를알고 있는 표준무게를 가하여, 눈의 형태를 함입(indentation) 혹은 변형 시키는 방식으로 안압을 측정하는 원리입니다. 대표적인 종류가 쉬외츠안압계와 충격반동안압계가 있습니다. 쉬외츠 안압계는 안압계에 달려 있는 공이(e) 가 각막을 함입시키는 정도를 눈금 (a) 에 표시 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즉, 안압이 낮아서 함입이 많이 되는 경우에는 눈금이 올라가게되고, 안압이 높아서 함입이 안되는 경우에는 눈금이 낮아지게됩니다. 이때 무게를 띠는 추(d)는 기본적으로 5.5 gram 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는 높은 안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7.5g, 10g, 15g으로 증가시킬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5.5g으로 시작해서 눈금이 일정수치이하로 각막이 합임이 안되는 경우는.. 2022. 4. 17.
안압측정 기구 : 안압계 종류 및 안압 측정 원리 안압을 측정하는 기구 및 도구를 안압계라고 합니다. 안압계는 그 원리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게 되는데, 그 원리에 따른 분류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안압계는 그 원리에 따라 크게 3가지 분류로 나뉘게 됩니다. 1. 함입안압계(indentation tonometery) 2. 압평안압계(applanation tonomtery) 3. 비접촉 안압계 Non contact tonometery (NCT) 1. 함입안압계(indentation tonometery) Indentation 이라는 말은 흔히 워드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들여쓰기 내어쓰기 중 들여쓰기를 의미하는 용어이기도 합니다. 또다른 의미로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자리, 오목자리를 의미하는 용어로, 한글화되면서 함입 이라는 용어가 표현되었습니다 함입안.. 2022. 4. 16.
녹내장의 검사 : 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녹내장에서 안압이란... 녹내장에서 진행을 억제할수 있는 유일한 위험인자 입니다. 1. 나이 대부분의 연구에 따르면 안압과 나이 사이에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즉, 나이가 들수록 안압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성별 20세 ~ 40세에서 남성과 여성에서의 안압은 유사합니다. 하지만 40세 이후에는 남성보다는 여성의 안압이 평균적으로 높은데, 특히 폐경 이후, 평균 안압이 여성에서 더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 가족력 안압의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됩니다. 일차개방각녹내장(Primary Open Angle Glaucoma, POAG)환자의 직계가족의 경우, 안압이 더 높은 경향을 보입니다. 4. 인종 흑인보다 백인에서 안압이 평균적으로 더 높으며, 아프리카 및 아시.. 2022. 4. 15.
노안에서의 조절력(Accommodative power)의 측정과 측정방법 가까운 곳에 있는 사물을 보기위해 눈의 도수, 즉 눈의 굴절력을 바꾸어 보고자 하는 거리에 따라 망막에 정확히 상이 맺히도록 눈의 초점을 맞추는 기능을 눈의 조절 작용이라 합니다. 이때 눈의 굴절력을 바꾸는 방식이, 눈속에 있는 섬모체근육에 힘을 줌으로써, 수정체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이며, 이때 눈이 할수 있는 최대의 조절 능력, 즉 수정체 두께를 최대로 두껍게 할수 있는 정도를 조절력(accommodative power)이라 합니다. 한편, 백내장 수술을 시행하여, 수정체가 인공 수정체가 된 인공수정체안이나 다양한 이유로 수정체가 없는 무수정체안에서도 어느 정도의 조절이 일어나는데 이를 수정체에 의한 조절(Accommodation)과 구별하여 위조절(Pseudoaccommodation)이라 하기도 .. 2019. 12. 10.
눈모임, 눈모음(convergence)의 종류 : 수의, 긴장, 조절, 융합, 근접 눈모음 근거리에 있는 물체를 보기위해서는, 눈모임 : 눈동자가 물체를 향해 모이고, 조절 : 눈의 초점이 물체에 맞게 조절되고, 축동 : 눈동자크기가 줄어들어, 물체 이외의 빛을 조절하는 이러한 3가지 단계의 운동이 동시에일어나게되고, 이를 근거리복합주시운동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사시] - 근거리 주시 복합운동, near vision complex 과 조절 accommodation 특히 이중에서 중요한 것이 바로 조절과 눈모임입니다. 조절(accommodation)은 눈에서 일어나는 역동적인 굴절력의 변화현상으로서 근거리 주시 시 선명한 상을 얻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눈모음(convergence) 역시 가까운 물체를 보기 위해 두 눈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안쪽 방향으로의 눈 움직임으로서.. 2019. 12. 9.
조절(accommodation), 조절력, 조절범위, 조절근점의 개념 및 노안 원거리에 있는 물체는 별다른 노력 없이도 망막에 정확히 상을 맺지만, 근거리에 있는 물체는 눈의 망막 보다 뒤쪽에 상을 맺기 때문에, 선명하게 물체를 보기위해서는 조절이라고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조절(accommodation)이라함은 먼곳의 사물을 볼때는 얇게 유지되던 수정체의 두께가, 가까운곳의 사물을 볼때는 두껍게 변화하는 현상으로, 수정체 주변의 근육인 섬모체근육(ciliary muscle)과 근육과 수정체를 연결하는 끈인 섬모체소대(ciliary zonule)에 의해서 조절되게 됩니다. 결국 수정체 두께를 두껍게 조절할수 있는지를 조절(accommodation)이라고 합니다. 조절과 조절력, 조절범위 용어 및 개념 조절원점 (far point of accomodation, FPA) 이란, 조절.. 2019. 12. 2.
근거리 주시 복합운동, near vision complex 과 조절 accommodation 조절(accommodation)이라함은 가까이에 있는 물체를 관찰하기위해 눈의 초점을 가까운 사물로 옮기는 것입니다. 즉, 멍하니 있을때나, 먼곳에 있는 물체를 볼때에는 눈의초점이 먼곳에 위치하고 있다가, 가까이에 있는 물체를 보기위해서 눈의 초점이 가까운곳으로 옮겨와야만 하는데, 이처럼 먼곳에서부터 가까운곳에 있는 사물을 보기 위한 노력을 조절(accommodation)이라고 합니다. 조절(accommodation) 이때 광학적으로 따질때 먼곳이라고 함은 흔히 4m ~ 6m가 기준이 됩니다. 4m~6m보다 먼곳에 있는 물체를 먼곳에 있는 물체라고 하며, 이러한 물체를 바라볼때는 눈이 별도의 노력을 하지 않아도, 눈의 망막에 정확하게 사물이 맺히기 때문에 조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처럼 멀리에 있는 물.. 2019. 12. 2.
Bruckner 검사, 브루크너 검사 Bruckner 검사는 밝은 불빛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아이의 사시나, 약시여부를 살펴볼수 있는 검사입니다. 안과에서는 Direct ophthalmoscope (직접 검안경)를 이용하여, 아이의 두눈에 불을 비추어서 검사를 하곤합니다. 방법은.. 1m 거리에서 떨어져서, Direct ophthalmoscope로, 아이의 얼굴에 불을 비춥니다. 이때, 양안에 모두 빛이 가도록, 양쪽눈에 동시에 불빛을 쐽니다. 이때, 양쪽눈에서 반사되는 빛의 밝기와 빛의 위치를 관찰합니다. 두눈을 비교하여, 두눈이 모두 동일한 밝기로 보인다면 사시는 없습니다. 반면, 한쪽눈이 밝고 한쪽눈은 어둡게 보인다면, 어둡게 보이는 쪽이 주시안, 정상안이며, 밝게 보이는 쪽 눈이 사시안, 비정상안입니다. 이때 비정상적인 눈으로 판명된.. 2018. 12. 23.
의사소통이 안되는 영유아에서의 시력의 예측, 객관적 시력 측정 앞선 포스팅을 통해서 신생아와 영유아에서의 시력 검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사시] 신생아와 영유아, 소아에서의 시력검사, 시기별 방법, 어린이의 눈검사 1세 돌 전후에는 보통 Fix & Follow (F&F) 나, CSM 을 통해서 시력을 평가하게됩니다. 조금더 자라서 2세~3세 정도되면 0.63 정도의 시력이 나오게되나, 대부분 체크하는것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어려 숫자시력표를 이용한 시력 측정이 불가능한 상황이나, 소아의 협조의 부족으로 인해, 시력 검사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도 때로는 객관적인 시력 측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때 객관적인 유아의 시력은, VEP, Optokinetic nystagmus (OKN), Teller acuity card .. 2018. 1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