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33

선천성 풍진 증후군 (Congenital rubella syndrome, CRS) 원인 증상 백내장 청력저하 소두증 심장기형 선천성 풍진 증후군 (Congenital rubella syndrome, CRS) 는 임신한 산모가 풍진에 감염될 경우,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발생하는 심각한 선천성 질환입니다. 풍진은 일반인에게 감염되는 경우 심하지 않은 감기와 발진 정도의 증상을 보이지만, 임산부에게 감염은 상당한 후유증을 남깁니다. 풍진에 대한 항체가 없는 산모가 풍진에 1차 감염되었을때 태반을 통해 넘어간 바이러스가 태아에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임신 초기 8주 이내 감염 시 태아 감염률은 50~80% 이며, 임신 2기에 감염 시 약 30% 임신 3기 감염은 드물게 영향을 줍니다. 주요 합병증은 초기에 감염될 경우 점점 더 그 심각성이 커집니다. 임신 초기 3개월에 산모가 풍진에 걸리게되면.. 2025. 6. 30.
풍진, 3일홍역 rubella, German measle, 3 day measles 원인 치료 증상 임상양상 풍진은 풍진바이러스 rubella virus 에 의해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아서 절반의 사람들은 감염이 되었는지도 모르고 지나갈정도로 경한 질환입니다. 홍역과 풍진은 많이 닮았습니다. 홍역 measle 은 다른말로 rubeola 라고하며, 풍진 Rubella 는 흔히 3일 홍역(German measles, 3-day measles) 이라 부릅니다. 이처럼 홍역과 풍진은 많이 닮았습니다. 풍진 rubella, 3 day measle 은, 비교적 가벼운 발열과 발진, 림프절 비대를 특징으로 하는 감염 질환입니다. 그러나 임산부가 감염되었을 경우 태아에게 치명적인 선천성 기형을 유발할 수 있어 선천성 풍진 증후군(CRS)이라는 중요한 산과적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풍진은 감염된 .. 2025. 6. 29.
홍역(Measles)의 합병증, 치료, 예방접종, 면역글로불린, IVIG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 질환으로, 3C 증상(Cough, Coryza, Conjunctivitis)과 함께 고열, 발진 등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 외에도 다양한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으며, 치료 및 예방 전략이 매우 중요합니다. 홍역의 합병증은 특히 5세 미만, 특히 1세 미만에서 잘 발생하며, 이후에는 오히려 20세 이후의 성인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1) 호흡기계 합병증 기관지 폐렴이 홍역으로인한 가장 흔한 사망 원인으로, 가장 바이러스성 간질성 폐렴과 세균의 중복감염에 의한 폐렴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외에도 기관지염, 세기관지염, 크루프(croup)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2) 급성 중이염 소아에서 가장 흔한 합병증 중 하나로, 급성 중이염이 가장 흔.. 2025. 6. 29.
상공막염 episcleritis 진단과 치료, NSAID 및 스테로이드 상공막염의 진단은 현재 충혈이 있는 혈관이 결막염인지, 상공막염인지, 그리고 상공막염인지 혹은 공막염인지를 확인하는것에서 시작합니다. 교과서적으로, 혈관수축을 통해 충혈을 억제하게하는 안약을 사용하였을때의 혈관의 반응을 통해, 결막염 , 상공막염, 공막염을 구분해 낼수 있습니다. 2.5% phenylephrine 안약을 점안하면, 결막 혈관을 하얗게 만들기 때문에, 결막염·상공막염 구분이 가능해집니다. 10% phenylephrine 을 점안하면, 결막과 표층 상공막 혈관이 하얗게 되기 때문에, 상공막염·공막염 구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현재 두가지 안약 모두 국내에서는 더이상 구할수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내용은 교과서적인 이론적인 내용일 뿐입니다. 상공막염은 특발성(원인불명)인 경우.. 2025. 6. 29.
상공막염의 원인 임상양상 증상 단순미만형 결절형 상공막염 상공막염은 안구의 흰자위부분인 공막위에 있는 상공막이라고 하는, 공막위의 조직에 발생하는 염증입니다. 공막위에 있다고 하여 한자로 위 상 上 공막염이라고 하고, sclera 위 (epi) 에 있다고 하여 episclera 라고 하는 조직으로, 얇은 결합조직(결체조직)에 발생하는 염증입니다. 상공막염의 원인은 대부분 특발성, 즉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30% 정도는 전신질환과 연관되는데, 이 때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ic arthritis)가 가장 흔합니다. 상공막염은 단순 미만형과, 결절형으로 나뉩니다. 단순 미만형 상공막염은 simple diffuse episcleritis 로 불리는데, 보통, 갑자기 발생하고, 안구 자체의 통증을 느끼는데, 안구건조증.. 2025. 6. 29.
상공막염과 공막염의 차이 분류 구분 증상 원인 공막염(scleritis)은 눈의 흰동자(sclera), 즉 결막 아래에 있는 눈알 안구 자체의 흰자 부분에 염증이 발생하느것이고, 상공막염(episcleritis)은 공막위의 조직, 공막의 표면 조직 , 즉 공막위, 결막 아래에서 염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단순 결막염이 충혈과 눈꼽, 아침에 눈달라붙음, 눈물 등이 증상인 반면에, 상공막염이나 공막염은 눈꼽이 동반되지 않는 충혈이 주된증상이며, 경우가 심한 경우 통증, 눈뿌리 아픔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상공막염이나 공막염을 넓게 공막염증성 질환으로 분류하게되며, 상공막염은, 단순 미만형(simple diffuse)과, 결절성(nodular, simple nodular)으로 분류되며, 공막염은 전안부 공막염 anterior scelriti.. 2025. 6. 26.
구리 대사이상 각막 구리침착 윌슨병 wilson disease, KF 링 Kayser Fleischer ring 카이저-플레이셔 고리 전신적인 대사의 이상으로 인해 몸에 전해질, 무기질의 농도에 이상이 생기면 각막에도 그 물질이 침착되게 된느데, 그중 유명한것중 하나가 구리의 침착입니다. Wilson disease 라는 구리가 체내에 쌓이는 질환에서는 각막 주변에 구리가 침착된 고리가 관찰되는데, 이를 Kayser Fleischer ring = KF ring 이라합니다. 윤부 주변의 투명대 lucid interval 없이 주변부 각막에 1~3mm 간격으로 침착되게되며, 깊이는 데스메막의 깊이에 있습니다 보통 10세 미만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이때는 chelating agent, 구리섭취의 제한으로 치료할수 있습니다. 더 진행된 윌슨 병에서는 구리의 침착으로 인해 전형적인 golden brown limbus arcus , 즉 구리.. 2025. 6. 24.
당뇨 각막변화 당뇨병성 각막병증, diabetic keratopathy, 감각신경감소 각막상처, 각막상피결손, 내피기능변화 대사성 질환에서의 각막 이상 중 탄수화물에 의한 각막이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중 가장 흔하고 가장 중요한 변화인 당뇨병에 의한 각막의 변화입니다. 당뇨병에서 각막변화는 여러가지 특징을 가집니다. 우선 각막 지각 감소가 나타납니다. 신경영양성 각막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각막에는 각막의 감각 신경의 둔화로 인한 지각감소로, 점모양 각막 상피 결손(Punctate epithelial erosion)부터 심한경우 신경영양성 각막염이 발생 가능합니다. 다음으로 외상후 상피 재생 지연이 발생합니다. 특히 당뇨병성 망막병증에 대한 DM vitrectomy 등을 하면서 각막상피부종이 발생하여 각막상피 제거후 상피 재생이 지연되면서, 지속적인 상피결손이 나타나곤합니다. 이는, ①비정상적인 각막의 성장.. 2025. 6. 24.
신생아 각막부종, 선천성 각막부종 , 분만외상 겸자외상, 포셉 손상 신생아가 태어나는 과정에서 출산 과정에서 겸자를 이용해서 아이를 끄집어내는 경우, 겸자, 즉 포셉에 의한 각막 손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태아가 좌전방 후두위 자세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보통은 왼쪽눈에 잘 발생하며, 이 경우 파열은 하비측 ~ 상이측 모양의 사선으로 각막을 가로지르는 모양을 하거나 태아가 일직선상으로 나오는 경우에는 수직선에 가까운 모양으로 각막을 가로지르는 양상을 하게됩니다. 겸자 분만에 의한 눈꺼풀 외상이 보통 동반되어 피부에 상처가 발생한것이 모이며, 손상에 의해서 각막이 바로 손상이 되면, 각막 부종은 생기게 됩니다. 때로 그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각막 부종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각막의 데스메막, 내피세포 등이 압박에 의해서 파열되면서 발생하게되며,.. 2025. 6.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