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43

유전구형적혈구증 Hereditary Spherocytosis (HS) 치료 – 비정절제술 수혈, 엽산 보충, 철분보충 유전성 구형적혈구증 Hereditary Spherocytosis (HS) 는 적혈구 세포골격 이상으로 인해 비장에서 파괴되는 용혈성 빈혈입니다. 중등도 이상의 경우 비장절제술(splenectomy)이 가장 강력한 치료법이지만, 그 시기와 적응증, 예방조치까지 꼼꼼히 판단해야 합니다. 대증적 치료, 즉 증상에 맞춘 대응적 치료를 우선하여야합니다. 신생아기 황달이 심할 경우 광선치료를 적용합니다. 수혈은 급격한 용혈이나 aplastic crisis 시 필요할수 있습니다. 그외에, 정상적인 성장이 이루어지고잇는지 정기 관찰하며, 황달 정도, 비장 크기, 감염여부, 특히 파보바이러스 B19 감염여부를 모니터링 합니다. 중등도~중증의 유전성 구형적혈구증은, 조혈 요구가 높아져서, Erythropoie.. 2025. 8. 4.
유전구형적혈구증 (Hereditary Spherocytosis, HS) - 유전구상적혈구증 원인 유전 증상 진단 Hereditary Spherocytosis (HS)는 적혈구 세포골격 단백질 이상으로 인해 동그란 구형의(spherical) 적혈구가 만들어지고, 이로 인해 비장을 통과하지 못하고 비장에서 파괴(용혈)되면서 빈혈, 황달 등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유전성 용혈성 빈혈입니다. HS는 상염색체 우성(Autosomal Dominant, AD)으로 유전하기 때문에, 가족력이 흔합니다. 유전성 구형 적혈구증은, α-spectrin, β-spectrin, Ankyrin, Band 3 protein 이라고 하는 세포막의 구성 성분의 이상으로, ① 세포골격의 불안정성 증가② Na⁺ 유출 증가로 인한 세포 내 수분 증가 ③ 수분 저류로 인한 적혈구가 원반형에서 구형(spherocyte)으로 변화 ④ 비장에서 쉽게.. 2025. 8. 1.
철결핍성 빈혈 iron deficiency anemia : 진단 지표와 철분 치료 용량 피검사 철결핍성 빈혈(IDA)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빈혈의 원인입니다. 진단은 RBC index와 Lab 패널, 치료는 oral iron 중심으로 접근하며, 연령별 철분 권장량과 철분 반응의 시점을 알면 치료 경과를 정확히 해석할 수 있습니다. IDA의 진단은 피검사를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빈혈의 정도가 심한 경우, RBC index 소견으로 추정하고, 검사를 통해서 확진할수 있습니다. IDA 철겹핍성 빈혈은 Microcytic, hypochromic anemia 소견을 보이기에, MCV↓, MCH↓등의 수치가 변화가 보이므로, 이를 통해서 의심합니다. 빈혈이 심하지 않는 경우에는 철패널 검사라고 불리는 혈청내의 철분에 대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철겹핍시 피검사 소견은, Ferritin ↓ (Ser.. 2025. 7. 28.
소아청소년 철결핍성 빈혈 (IDA, iron deficiency anemia) 원인 나이 철섭취부족, 모유수유 우유, 출혈 조산 미숙아 철결핍성 빈혈(IDA, iron deficiency anemia)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미세적혈구 저색소성 빈혈로, 이유식 시기 지연, 우유 과다섭취, 급성장기 수요 증가 등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서 발생할수 있는 만큼 성장 발달과 영양 패턴의 영향을 감안해야합니다. IDA의 원인은 철 저장 부족, 철 섭취 부족, 철 수요 증가, 실혈 등 총 4가지로 나뉩니다. 1) 출생 시 철 저장량 부족 임신 3기 후반에 태아의 신체에 철 저장이 증가하게되는데, 조산아의 경우는 빨리 태어나기 때문에, 조산 시 철 저장량이 부족합니다 쌍둥이는 모체 철분을 나누어서 사용하기에, 정상에 비해서 철 저장량이 부족하게됩니다. 분만 시 출혈이 발생한 경우, 즉 태반 손상, 탯줄 출혈, twin-to-twin .. 2025. 7. 25.
신생아 생리적 빈혈 수치 원인 치료방법 정상 빈혈 수치 소아에서의 빈혈은 소아청소년기 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모든 빈혈이 병적 상태는 아닙니다. 특히 생후 2~3 개월경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생리적 빈혈(physiologic anemia)은 병이 아닌 정상 발달의 일부이므로 불필요한 치료는 피해야 합니다. 특히 생후 3~6개월 사이 혈색소가 9.5g/dL까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 시기의 일시적인 빈혈은 대부분 생리적빈혈입니다. 소아에서의 빈혈을 진단하기 위한 , 각각의 나이별 혈색소 (Hb) 수치와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대혈≥ 13.5≥ 421개월≥ 10.0≥ 313~6개월≥ 9.5≥ 296개월~2세≥ 10.5≥ 336~12세≥ 11.5≥ 35 이 수치 보다 낮으면 빈혈이라 진단하게 됩니다. 생리적 빈혈 (Phys.. 2025. 7. 24.
HSP 헤노흐 쇤라인 자반증 검사소견 , 예후, 치료약 완치 Henoch-Schönlein Purpura (HSP)는 자반, 복통, 관절통, 신질환을 주 증상으로 하는 IgA 매개 전신 소혈관염입니다. 앞선 포스트에서 증상을 다뤘다면, 이번에는 검사 소견과 치료, 예후 인자를 알아봅니다. 헤노흐-쉔라인 자반병 (Henoch-Schönlein Purpura, HSP) : 자반, 복통, 관절통 신장침범 단백뇨 혈뇨, IgA vasculitis 혈관염 헤노흐-쉔라인 자반병 (Henoch-Schönlein Purpura, HSP) : 자반, 복통, 관절통 신장침범 단백뇨 혈뇨, IgA vaHenoch-Schönlein 자반병(HSP)는 이름부터 한글용어로 표현하기 어려워 헤노흐-쉔라인 자반병, 헤노흐-쉰라인(쇤라인) 자반병 - 헤노호-쉘라인 자반병 등 다양한 한국명칭.. 2025. 7. 24.
헤노흐-쉔라인 자반병 (Henoch-Schönlein Purpura, HSP) : 자반, 복통, 관절통 신장침범 단백뇨 혈뇨, IgA vasculitis 혈관염 Henoch-Schönlein 자반병(HSP)는 이름부터 한글용어로 표현하기 어려워 헤노흐-쉔라인 자반병, 헤노흐-쉰라인(쇤라인) 자반병 - 헤노호-쉘라인 자반병 등 다양한 한국명칭으로 불립니다. 간단히 헤노흐 자반병이라고도 하는 이 질환은, 소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전신성 소혈관염으로, 피부·관절·위장관·신장을 주로 침범하며, 자가면역성 IgA 침착과 관련된 질환입니다. 다른 말로는 IgA vascularitis 로 불립니다. 병태기전은 작은 혈관 침범이 있는 소혈관염 입니다. IgA 신병증 (IgA nephropathy)와 유사한 신장 병리 소견을 보이는 것으로 주로 IgA 면역복합체가 혈관에 침착 되는것으로생각되지만, 명확한 병인은 불명확하고, 약 50%에서 상기도 감염이 선행합니다. 주 연.. 2025. 7. 24.
소아기 피부근염(JDM)의 치료와 합병증 : 스테로이드를 줄이는 전략과 폐렴 예방까지 소아기 피부근염(JDM, juvenile dermatomyositis)은 피부 증상과 근력 약화가 동반되는 자가면역 근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함께 적절한 면역조절 치료와 감염 예방 전략이 핵심입니다. 이번에는 JDM의 치료 단계와 대표적 합병증에 대해 정리합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환아에게 적용되는 관리사항은, 자외선 차단입니다. 이는 광과민성 발진을 막기 위해 선크림을 필수로 사용해야합니다 또한 골 건강 관리를 위해 Vitamin D + 칼슘 섭취를 해야합니다. 특히,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 사용 시 골감소증, 골절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우유, 유제품 섭취가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는 단계별 접근에 따라서 결정합니다. 질병 정도에 따라 치료 약제를 선택하게되는데, 경증 환아에서는 Pr.. 2025. 7. 22.
소아기 피부근염(Juvenile Dermatomyositis, JDM) : 피부 발진 및 근력저하 진단기준 증상 원인 Heliotrope rash Gottron papules 소아기 피부근염(JDM)은 피부 증상 + 대칭적인 근위부 근력 약화를 보이는 대표적 염증성 근육질환입니다. 진단적 가치가 높은 피부 소견과, 점진적인 근력 약화 양상을 함께 본다면 비교적 명확하게 진단 할수 있는 질환입니다. 소아기 피부근염 (Juvenile Dermatomyositis)는 소아에서 가장 흔한 염증성 근질환으로 여아 > 남아 (M:F = 1:2) 로 여아에서 더 자주 발생합니다. 장바이러스(콕사키바이러스)나 A군 사슬알균 등의 감염될때 생긴다고 생각되며, 국소적인 감염이 자가면역 유발 요인으로 작용하는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피부증상은.. Heliotrope rash: 눈꺼풀 주위 홍반 및 착색 Gottron papules: 손가락, 팔꿈치, 슬개골에 생기는 각질성 구.. 2025. 7. 22.
반응형